"오늘도 희망과 절망 사이를 오가는 선생님들을 위한 위로와 치유의 심리학서"라는 책 소개 글이 마음을 움직였다.
교사들의 권위가 바닥으로 떨어진 지 오래다. 교사로 일하고 있는 친구들은 자주 하소연을 한다. 정년퇴직까지 버티기가 어려울 것 같다고. 아이들로부터, 학부모로부터, 상급 관리자로부터 받는 상처가 교사로서의 사명감을 잃게 만든다고. 세상을 충격에 빠뜨렸던 서이초 교사 사건 이후로 교사들에 대한 대우는 좀 달라졌을까? 상황은 좀 나아졌을까? 궁금증과 걱정과 씁쓸한 마음으로 첫 장을 펼쳤다
정신과 교수 김현수가 교사들로부터 직접 들은, 그들이 받은 상처의 종류는 매우 다양했다. 제도로부터, 철학으로부터, 관계로부터 받은 교사들의 상처 가운데 상당 부분은 개인적 차원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교육 제도나 시스템에서 오는 피할 수 없는 것이라는 사실(7쪽)이 안타깝다. 시스템이 바뀌기를 기대하는 일은 여전히 요원한 일인지 답답함을 금할 수 없다. 교사들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는 각자의 자리에서 분투하고 있다. 사회안전망이 부재한 가운데 개개인 스스로가 자기 자신을 지켜내야만 하는 나라에서 살고 있다. 교육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사회 전반이 그러하다. 슬픔이 차오른다.
교사들은 명백히 감정노동자이다. 무방비 상태로 무자비하게 휘두루는 상처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보호막이 없다. 그들은 상처받을 걸 뻔히 알면서 교사로서의 권위를 내세워 엄하게 가르쳐야 하는지, 상처받지 않기 위해 아이들의 잘못된 행동을 보고도 모른체해야 하는지 고민할 수밖에 없다. 체벌의 수위에 따라 자칫 아동학대자라는 오명을 뒤집어쓸 수도 있기에 늘 두려움과 위험에 처해있는 것이다. 게다가 교사를 무력하게 만드는 스몰 트라우마 역시 위협적이다. 동료 교사들이 무심코 하는 말, 관리자들이 혼내는 말, 학부모들이 교사를 신뢰하지 않는 말, 아이들이 막무가내로 부리는 투정 등이 교사에게는 다 스몰 트라우마가 되어 상처를 남긴다(54쪽)는 것이다.
교사와 아이들은 적대적 관계가 아니라 '배움과 성장'이라는 배에 함께 올라탄 공동체(58쪽)가 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적으로 상호 간에 라포가 형성되어야 한다. 교사와 아이들 간에 신뢰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기본적인 대화도 이루어질 수 없고, 교사가 아이들의 이로운 결정을 돕는 협력자라는 사실 또한 깨달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