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처음공부 - 첫걸음부터 꼼꼼히 배워 바로 써먹는 처음공부 시리즈 3
성상민 지음 / 이레미디어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부터 주식에 대한 관심은 많아서 인터넷에서 검색해보고

은행에 가서 증권 계좌를 만들기도 했었는데,

정작 어떻게 하면 주식을 살 수 있는건지 기초적인 부분은 1도 알지 못했었다

시간이 흘러 핸드폰에 증권사 어플을 설치해보기도 했지만

잘 알지도 못하면서 덜컥 주식을 주문하려니 겁이 나서 선뜻 매매를 하지 못했는데,

그렇게 계속 주춤하는 사이에 나같은 사람을 부르는 '주린이' 라는 단어도 생기고,

얼마 전부터는 주린이를 위한 책들도 다수 나오고 있는 것 같다

완전 기초부터 주식을 공부해보겠다고 나름 유명한 책을 사보기도 했는데

처음부터 어려운 이야기가 나와서 얼마 읽지 못하고 중고책으로 되팔았던 적이 있다

그에 비해 <주식투자 처음공부>

'HTS 세팅부터 모조리 다 알려주는 입문서의 결정판!' 이라는 문구 그대로

주식투자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이 알아야하는 것들이

하나씩 어렵지않게 잘 설명되어 있었다

주린이라면 HTS 를 설치해놓고도 우왕좌왕했던 경험이 한 번씩은 있을텐데

<주식투자 처음공부> 에서는

HTS 에 대한 부분과 주식시장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비롯해

왠지 어렵게만 느껴졌던 전자공시

자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재무재표 를 보는 방법과

차트, 배당투자 에 관한 부분까지

주식에 관심이 있던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사항들에 대해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도록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어서

주식투자에 관한 책이지만 한 번 잡으면

소설책 읽듯 재미있게 읽어나갈 수 있었다 :)

컬러플하고 큼직큼직한 글자와 풍부한 관련자료들로

읽는 재미가 있었던 <주식투자 처음공부> ~!

여태까지 내 머릿속의 주식투자는

너무 대충~ 대충~ 이었다는 걸 이 책을 통해 알게되었다.. ㅠ

'이렇게까지 공부해야 하는거였나?' 라는 생각에 조금 겁이나기도 했지만

책에서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조급해하지 않고 차근차근 따라하다보면

머지 않아 나도 '감' 이나 '카더라' 가 아닌

'가치' 에 근거해서 투자할 수 있게 될 것 같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의 금융 수업 - 세계 1% 리더들은 복잡한 재무의 세계에서 어떻게 인사이트를 찾는가
미히르 데사이 지음, 이종호 옮김 / 더퀘스트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동안 얼마나 경제나 금융에 관심 없이 살아왔는지

지금 살고 있는 집으로 이사 온 이후로 계속해서 온몸으로 느끼고 있다

재미있는 소설이나 에세이를 읽는 것처럼 쉽게 읽히지는 않지만

조금씩 경제 분야에 대한 독서를 늘려가는 중인데,

그러던 차에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의 금융 수업> 이라는 책을 읽게 되었다

제목을 보고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가 풀어나가는 금융 이야기는 어떤 내용일지 궁금했는데

이 책은 다름이 아니라 '기업 재무' 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대학에서 경영학을 공부하면서 재무관리 라는 과목을 수강해본 사람이라면

이 책의 내용이 그리 어렵게 느껴지지 않을 것 같았다

예~~전에 공부했던 재무관리는

공부할 당시에 너무 어렵게 느껴지기도 했고 시간이 많이 지나 기억에서 거의 사라졌었는데,

(초반부는 어렵게 느껴지긴했지만)

이 책을 통해 비교적 어렵지 않게 재무 의 전문적인 내용을 훑어볼 수 있었던 것 같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기업의 재무적 숫자들이 말 그대로 그저 숫자 로만 느껴졌었는데,

(적어도 어려운 계산 문제는 없어서인지) 저자의 친절한 설명에 힘입어

부족하나마 재무제표에 있는 숫자들의 의미를 조금은 유추해볼 수 있게 되었다

책의 초반부 부터 숫자가 나와서 펜을 들고 초집중해서 읽어나갔는데,

책의 중반부에는 자본 시장 참여자 들과 기업의 가치 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와서

조금은 더 편안한 마음으로 읽어나갈 수 있었고

책의 마지막 부분에 가서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와

기업이 가진 자본을 어떻게 배분하는 것이 최적일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어려운 계산 문제가 없으니 기업 재무에 대한 이야기도

이렇게나 재미있게 읽을 수 있구나 싶었다 ㅠ

재무의 궁극적 존재 의의돈과 현금이 아니라

주주나 경영자 / 기업과 투자자 사이의 정보의 비대칭인센티브의 문제

해결하는 데 있다는 것도 이 책을 통해 새롭게 배운 사실이었다 :)


기업 재무 어떤 기업이 과연 수익성이 있는지

(& 그 기업의 가치는 얼마 정도인지) 확인하는 방법과

기업의 가치어떻게 평가할지에 관한 내용이라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이제서야 깨닫게 된 것 같다


이런 부분들은

경영학을 공부하는 학부생들 뿐만 아니라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에게도 꽤 많이 유용할 것 같은데,

한 번쯤은 집중해서 이 책을 전체적으로 읽어본다면

생각보다 많은 도움이 될거라는 생각이 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