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지 않는 한국사 - 교과서에서 배우지 못한 우리 역사의 불편한 진실
최성락 지음 / 페이퍼로드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에 시대별로 외워야만 하는 국사가 싫었다.

다른건 몰라도 암기력만큼은 좋아서였을까? 이상하게도 시험은 잘봤다. 심지어 근현대사는 100점을 맞아 학력우수상도 받았다.

하지만 스토리가 있는 것도 아니고, 암기과목인 국사는 참 재미가 없었다.

그러나 세월이 흘러 '관광통역안내사' 시험을 보기 위해 필기시험 중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국사를 공부해야 해서,

공무원 준비를 하는 친구가 추천해 준 인강을 들었는데, 국사가 이렇게 재미있는지 처음 알았다.

우리가 사는 인생이 다음 세대에겐 역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평범한 우리들 이야기가 아니긴 하지만.....)  

재미가 들려, 한국사검정능력시험 1급도 따고, EBS에서 유명하다던 큰 별 강의도 들었다.

그것도 모잘라 KBS '역사 저널, 그날'을 꼬박꼬박 챙겨보았고, 예전에 그렇게 싫어했던 사극도 하나하나 보기 시작했다.

 

근데 국사 관련 책은 아직도 재미가 없다. 예전 학창시절에 공부했던 패턴의 책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눈길이 가는 책이 있었다. '교과서에서 배우지 못한 우리 역사의 불편한 진실'을 담은 책이라니!

불편하더라도 보고 싶었고, 알고 싶었다. 그래서 시간이 날 때 마다 꼬박꼬박 읽었다.

이 책을 읽고 있으면 주변에서 이런 질문을 많이 한다. "이 책의 사상은 진보야, 보수야?"

역시 역사라는 것은 어떤 사상이냐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깨닫기도 했다.

우선 나의 정치성향부터 밝혀야겠다. 나는 20대에서 보기 힘든 '중도'이다.

중도성향을 가진 나에게 있어 이 책의 성향은 보수 쪽에 가깝다고 해야 한다.

하지만 그런 성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극히 객관적으로 썼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가 '독도는 우리 땅'이라며 항상 외치지만, 실상 우리는 죽도와 독도가 다른 땅이라는 것을 잘 알지 못한다.

 우수한 우리나라 유물들 대부분이 약탈 당했다지만, 사실은 우리가 판 것이 더 많다.

우리나라는 단 한번도 다른 나라를 침략한 적 없다고 하지만, 고구려는 침략과 약탈을 일삼은 나라였다.

최초의 금속활자는 우리나라에서 만든 것이 맞지만 필요성을 못느끼고 없애려고 했었다.

일제강점기 시절에 80% 이상이 창씨개명을 했었으나 그들을 다 친일파라고 볼 수는 없다.

등등 불편한 이야기가 주를 이루었다.

그리고 이 저자는 말한다. 우리나라의 우수한 역사를 알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부끄러운 과거는 숨길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나는 가끔 독일이 부럽다. 자신의 부끄러운 역사를 당당히 밝히고 반성을 하니깐 말이다.

근데 어느 나라는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역사를 왜곡하려고만 한다.

이건 비단 우리나라 이야기만은 아닐거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벼랑 끝에 혼자 서라 - 절박함을 기회로, 포기만 하지 않으면 길은 있다
안겸지 지음 / 라온북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봉제공장 여공이 연 매출 20억 사장이 되기까지'를 담은 책이라 해서,

'또 하나의 휴먼스토리를 보게 되겠구나!'라는 기대감으로 보게 된 책.

근데 이게 왠열? 단지 어떻게 하면 대박 가게가 되는지 성공 노하우만 그럴싸하게 그려낸 책이라 누구보다고 실망이 컸다.

나는 창업할 생각은 꿈에도 없다. 하지만 나는 사람 냄새 듬뿍 나는 이야기를 좋아한다.

그래서 도서 장르는 에세이, 영화 장르는 드라마, 드라마 장르는 가족드라마를 좋아한다.

이 책 소개만 믿고 선택했던만, 그 어느 자기계발 책보다 못한 책이라니!

 

자신이 조그만 가게에서 여주의 최고 맛집이 된 이유는 원두커피, 인사성, 곱창김이라고 한다.

요즘은 원두커피를 무료로 주는 가게가 많지만, 본인이 원조라고 한다.

그래서 동네 어머님들이 식사를 하고 2차로 카페를 가지 않아도 이 식당에서 모든게 해결되니

입소문이 나서 지금의 가게가 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곱창김을 선보여 선물용으로 사갈 수 있게 하여 부수적인 매출도 올랐다고 한다.

본인은 자랑하듯이 얘기하지만 내가 보기엔 별로 특별하지는 않다.

하지만 이 가게는 어느 가게보다도 인사성이 밝다고 한다.

나 또한 그렇다. 맛없는 음식은 그냥 먹어줄 수 있는데, 인사성 없는 가게는 꼴뵈기도 싫다.

(그래도 이왕이면 맛있고 인사성 좋은 가게가 좋긴 하다.)

그런데 이 저자는 좋은 말로 하면 붙임성이 좋고,

나쁜 말로 하면 오지랖이 넓다고 할 정도로 손님들이 다시 오게끔 만드는 친화력을 가졌다.

나는 친해지면 한없이 밝아지지만, 초반에는 낯을 많이 가리는 성격으로,

이 저자의 성격이 너무나 닮고 싶었다.

 

만약 내가 여주 시민이라면 이 가게 단골손님이 되고 싶지만,

이 가게에서 일하고 싶지는 않을 거 같다.

본인은 누구보다도 직원들을 생각하고 위한다고 하지만, '을'의 입장인 내 시선에서는 봤을 때 전혀 직원들의 마음을 모르는 사장임에 틀림없다.

 

책을 쓰는 것이 최고의 성공이라고 믿는 그녀,

그래서 진심보다는 그럴듯한 미사여구가 많아 '책을 쓰기 위한 책'으로 느껴진 책.

그냥 그녀가 한 가지 일에만 집중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킬링 리더 vs 힐링 리더
송수용 지음 / 스타리치북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내 능력에 비해서 리더역할을 한 적이 있었다.

비록 회사가 아니지만, 동아리&교회에서 리더를 맡았었다.

그러곤 느꼈다. '리더라는 자리는 잘하면 본전 못하면 욕먹는,

잘해봤자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자리구나.'라는 것을.

그래서 다시는 리더는 맡지 않을 거라 다짐했다.

하지만 리더는 내가 하고 싶으면 하고, 하기 싫으면 안하는 자리가 아니다.

누군가가 리더를 맡으라고 하라면 어쩔 수 없이 맡을 수밖에 없다.

비록 지금 나는 신입에 가까운 사원이지만, 언젠가 나이를 먹으면 리더의 자리에 갈 수도 있다.

그렇다면 미리 공부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그래서 '킬링 리더 vs 힐링 리더'라는 책을 읽게 되었다.

리더의 자질에 따라 승승장구하는 부서가 있을테고,

계속 하락세를 타며 불화가 항상 일어나는 부서도 있을 것이다.

자기는 열심히 한다고 하는데, 부서원들의 마음을 못알아준다면 킬링리더가 될 수 있고,

부서원들의 마음을 헤아려 함께 으쌰으쌰 한다면 힐링리더가 될 수 있다.

이 책은 킬링리더와 힐링리더를 비교함과 동시에

어떻게 하면 힐링리더가 될 수 있는지 예문을 들어가며 알려준다.

특히 이 책이 더 좋았던 점은 꼭 리더인 사람들만 볼 수 있는 책이 아닌,

사회생활을 한다면 어떻게 사회생활을 해야하는지도 알려주니 그야말로 꿀팁이다.

 

우리 회사 부서 분위기를 잠깐 이야기하자면, 한 사람으로 인해 전체분위기를 망치고 있다.

특히 우리는 대면서비스를 하기 때문에 팀워크가 첫번째인데,

팀워크가 되지 않으니 대면서비스까지 영향을 끼친다.

그 한 사람이 쉬는 날이면 분위기가 화기애애 하지만, 그 사람과 함께 일한다면 같이 어두워진다.

사회생활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다.

자기가 기분이 나쁘다고 해서 상대방한테까지 자신의 기분을 표출해서는 안된다.

물론 같이 일하는 동료에게 마음이 상했다면

같이 이야기를 나누고 화해를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같이 잘해보려고 했지만 아직도 독불장군이신 그 분께 이 책을 선물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벽에 혼자 읽는 주역인문학 - 세상에서 가장 쉬운 주역 공부 새벽에 혼자 읽는 주역인문학
김승호 지음 / 다산북스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인류의 최고의 학문이지만 어려운 학문 중에 하나인 주역.

그래서 나는 '주역'을 펼쳐볼 엄두가 나지 않는다.

그런데 '세상에서 가장 쉬운 주역 책'이 나왔더니, 이런 횡재가!

그래서 나는 이번 기회에 주역을 공부하겠다고 마음 먹고 이 책을 정독하기 시작했다.

'주역'은 64개 궤상만 알면 반을 알고 들어가는 거라며 쉽게 설명했지만, 

해독문자에 가까운 궤상을 보고 있자니 머리가 아프다.

하지만 주역은 이분법적이다. 예를 들면 행복하다 <-> 슬프다 같은 개념이다.

하지만 이런 이분법적 성격을 궤상으로 나타낸다면 내 머릿속은 혼동으로 가득하다.

 

그리고 미신적인 요소들이 많이 나온다. 우리가 잘 가던 길에서도 갑자기 넘어지거나,

바람도 불지도 않았는데 마당에 나무가지가 꺾어진다면 그것은 불길한 징조라고 한다.

단지 우연히 아닌 징조이니 잘 체크하라는 당부를 남긴다.

내가 종교가 '기독교'인 것도 있지만, 내 성격 자체상 미신을 믿지 않는다.

행동 하나하나를 다 의미를 둔다면 세상 살기가 너무 힘들고 숨막힐 거라 생각이 든다.

분명 우연을 가장한 인연이 있을 수도 있지만, 그런 일들은 다 우연이라고 생각 된다,

아니 그렇게 믿고 살아가고 싶다.

 

이 책은 단순히 한 번 읽으면 이해는 커녕 읽기도 버겁다. 역시 '주역'은 아무리 쉽게 표현을 한다 하거늘 어려운 학문인게 틀림 없다.

아직도 나에게 있어 '주역'은 너무나 어려운 학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애하듯, 여행 - 배낭을 메고 세계여행을 하며 웨딩사진을 찍다
라라 글.사진 / 마음의숲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꿈꾸는 결혼식이 있다.

정말 친한친구와 가족들만 초대해 간단하게 결혼하고 신혼여행을 즐기는 것.

하지만 이러한 꿈이 실현되기 위해선 부모님을 설득해야 하며,

상대방을 포함해 가족들까지 설득해야 한다.

그만큼 결혼식이 나혼자 꿈꾼다고 해서 간단히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물론 결혼식을 호화롭게 치루고 싶은 사람도 있겠지만,

내 주변 사람들은 나같이 꿈꾸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말이다.

단지 '그림의 떡'에 불과한 이러한 결혼식을 보란듯이 치룬 사람들이 있었으니,

바로 '연애하듯 여행'의 저자 부부이다.

여행에서 만나 사랑을 하고,

간소하게 결혼식을 올린 뒤 6개월 동안 배낭을 메고 신혼여행을 간 이 부부,

영화에서나 볼 듯한 스토리다.

이 책을 펼치기 전부터 이 부부가 마냥 부러웠다. 책을 한 장 한 장 펼쳐 읽으니 더 부러웠다.

과연 나도 이들 부부처럼 살 수 있을까?

 

그렇다고 해서 이 부부가 신혼여행 중 마냥 영화같은 삶을 산 건 아니다.

사소한 일에 충돌하고, 어머님의 걱정스런 전화 한 통으로 부부싸움이 되고,

여행 중 발견한 서로 맞지 않은 성격으로 이별까지 할 뻔한 여러가지 스토리도 있었다.

그렇다. 여행이라는 자체가 마냥 낭만적일 수도 없다.

여행 또한 우리의 인생 중 일부에 불과하니까 말이다.

 

나는 여행스타일이 비로소 까다롭다.

입도 짧고, 더러운 화장실은 차라리 참아버리고 말지 절대 못 가는 편이다.

그래서 사실 나는 이 책에 나오는 여행스타일과는 거리가 멀다.

깨끗하고 난방 또는 냉방시설이 잘 되는 숙소를 잡고,

현지 음식이지만 나와 입맛을 맞는 음식점에서 음식을 먹고,

모험에 가까운 여행보다는 주변 유적과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여행이어야 한다.

이들이 한편으로는 존경스러우면서도,

한편으로는 내가 죽어다 깨도 절대 하지 못할 여행이라고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부러운건 왜일까?

현실의 걱정을 벗어 던지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먼저 하는 그들의 용기가 부러운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