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수리와 비둘기 - 안데르센상 수상 작가가 들려주는 세상 이야기 동화는 내 친구 75
제임스 크뤼스 지음, 이유림 옮김, 류재수 그림 / 논장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안데르센 수상작가가 쓴 책이랍니다. 아마도 최고의 덩화책작가에게 주는 상일덴데 요즘엔 우리나라도 출판사 자체내에서 수상하는 작가들 책도 많은데... 독일 작가입니다. 사실 우리나라는 영미권 책들이 더 많아서 독일작가의 책도 좋을 것 같네요. 대표적으로는 미하일 엔데가 생각이 나는데... 그림은 우리나라 동화책그림을 그리시는 류재수님입니다. 노란우산 책으로 유명하신 분이죠. 저는 이 책이 원래 그림이 없는 책인지? 아니면 일부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그림을 넣어신 건지는 알 수 없지만 그림이 있는 책이라면 원본그림을 보고싶다는 생각이 들어요. 이 책처럼 이런 경우가 더러 있는데 뭐 설명은 없어서 잘 모르지만 그 나라 사람이 그나라동화책에 맞는 그림을 그리는 것은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림이 있으면 궁금해지기도 합니다. 아이들도 글자만 있는 것보다는 그림이 있으면 그림도 보면서 이해도 빠르죠.

 갑자기 폭풍우를 만난 비둘기가 독수리를 피해 바위밑으로 들어간 이야기로부터 시작을 합니다. 진퇴양난이라고 할만큼 앞에는 독수리가 언제라도 잡아먹으려고 노려보고 있고 바위밑은 막혀있지만 뒤쪽의 틈을 찾아냅니다. 생각을 하죠. 꼬리로 땅을 파서 도망을 가야겠다. 하지만 독수리의 공격을 어떻게 막아낼까 골똘히 생각을 합니다. 독수리에게 말을 걸어요.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달라고 합니다. 독수리는 뭐 언제 죽을지 모르니 소원을 들어주겟다고 합니다. 8가지의 이야기를 차례대로 시작을 합니다. 제목도 참 재밌습니다. 거미가 고마워한다고 해서 사람한테 자랑거리가 되는 건아니지, 주인에게 저항한 당나귀들 등등... 당나귀들이 사람들을 향해 시위를 하는 장면은 너무 재밌습니다. 연대하자는 그런 말도 나옵니다. 우리나라 시위대에서 많이 나오는 말인데 일을 안하고 무화과 다 먹어치우고 하니 사람들도 당나귀를 더이상 때리지 않고 인격적으로 대해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등학교 1학년 때 철수야 놀자. 영희야 놀자 이런 내용이 있었는데 출판사 이름이 특이하네요. 정치인으로 변신한 안철수의원님과 개콘에서˝앙대요˝를 외치는 김영희님 생각이 나는 건 왜 일까요? 재미있는 출판사 이름입니다. 좋은 책 많이 내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2년의 영광을 다시 한 번. 호날두, 메시 같은 선수는 없지만 모두 최선을 다해 주길 바랍니다. 대한민국 화이팅!!! 개인적으로 손흥민, 이청용 선수 잘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일본편 1,2권 잘 읽었습니다. 일본으로 건너간 우리문화들을 일본은 너무도 잘 발전을 시켰네요. 예전에 일본사람들이 임진왜란 때 기술자들을 왜 끌고갔나?하는 의문이 다 풀렸어요. 임진왜란으로 끌려간 도공들의 활약을 보니 약간 배가 아팠다는... 하지만 장인을 높게 대우해주고 그들이 수출까지 할 수 있게 한 점, 찬란한 도자기 문화를 이끈 점은 높이 사야할 것 같아요. 우리나라에 그 사람들이 계속 있었다면 천대와 멸시를 받으며 양반들의 하수인 노릇밖에는 안했을 듯. 3편도 일본의 경주라고 불린다는 곳이라는데 기대가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참으로 흥미로운 책임은 분명하지만 애들이 읽기엔 조금 어려울 것 같아요. 좀 지루하기도 하고. 하지만 뉴턴이라는 위대한 과학자의 생애가 담긴 이야기라 관심이 갑니다.

 과학시간에 뉴턴에 대해서 많이 배웠습니다. 만유인력의 법칙등 해서. 책을 읽어보니 그 때 그 배운 내용이 생각이 납니다. 우선 뉴턴이 살던 시대는 시대적으로 혼란을 거듭했던 때이기도 하고 어려서 엄마에게 약간의 버림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대학교육을 받은 외삼촌 덕에 공부를 계속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 때야 일반적인 서민이 대학공부하기는 정말 어려웠을 거예요. 나이많은 계부가 죽자 어머니는 그 유산으로 형편이 좋아졌는데도 불구하고 뉴턴에게 많은 교육을 받게 하긴 싫었나봅니다. 농장의 관리인이 되어서 농장이나 관리하라고 했다고 하니 그대로 했으면 오늘날 과학의 발전이 더디게 되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농장일을 싫어하고 서툰 뉴턴은 하인들에게 그다지 유능한 경영자로 보이진 않았나봅니다.

 앞에서도 이러한 언급이 있긴 했는데 뉴턴의 업적은 그의 혼자만의 것은 아닌가 봅니다. 많은 또 다른 이들의 업적에 본인이 연구한 것을 더한 느낌도 있었는데 요즘 같으면 표절에 걸리지 않을까하는 의구심을 가진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 당시에는 그런 개념이 좀 더 없었을 겁니다. 그리고 혼자 연구하기를 좋아하고 사람 사귀는데 별취미가 없던 관계로 자신이 쓴 논문들이 발표되는 것을 두려워했다고 하네요. 참 흥미로운 사람이긴 한 모양입니다. 논문쓰고 난 뒤 무려 30년이 지나서 발표한 것도 있다고 하니 말입니다. 하여간 과학에 대해 관심을 갖게하고 그 과학자의 생애를 알아가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아이들이 이 책을 읽고 의문이 생기면 스스로 찾아서 해결하려는 그런 의지를 보엿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