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서의 뇌 - 초등 읽기/쓰기의 힘
김영훈 지음 / 스마트북스 / 2023년 2월
평점 :
언어적 재능은 50%만 유전되고, 읽기와 쓰기 같은 학업 능력은 20%만 유전자의 영향을 받는다. 즉, 언어 발달은 '유전자'보다는 '경험'과 '학습'이 더 큰 원인이다.
'미국인 부모'라고 해서 영어를 잘하게 되는 유전자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부모가 미국인이라도 자란 환경이 '한국'이라면 '한국어'가 유창해지는 법이다. 따라서 영어를 잘하는 부모를 가졌다고 해서 영어 단어가 저절로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
'공부'의 정의를 보자. '공부'는 대체로 '연구'와 그 어원을 공유하며, '학문'이나 '기술'을 익히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학문'이나 '기술'은 어떻게 발전하는가? 바로 '이름짓기'다.
인간의 학문은 복잡한 현상을 이해하고 체계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우리는 대상을 관찰하고, 이를 분류하여 특정 개념으로 이름을 붙인다. 이것이 바로 '학문'이다.
생물학을 예로 들어보자. 생물은 동물과 식물로 나눌 수 있다. 동물은 움직이며 먹이를 찾고, 식물은 고정된 채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얻는다.
이제 동물이라는 범주를 더 나눠 보자. 동물은 척추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뉜다. 척추가 있으면 척추동물, 척추가 없으면 무척추동물이다. 무척추동물에는 곤충, 달팽이, 해파리 같은 생물이 포함되고, 척추동물에는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 등이 있다. 척추동물에는 젖을 먹여 새끼를 기르는 포유류가 있다. 고양이, 개, 사자, 인간 등이 그 예다. 이처럼 생물학은 동물과 식물에서 시작해 점점 더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분류를 통해 생물들의 체계를 정립하고 이름을 붙인다.
모든 학문은 이런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예를 들어, 뉴턴은 나무에서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그 현상에 '만유인력'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후 '만유인력'은 '질량을 가진 물체 사이에 끌어당기는 힘'이라는 의미로 자리 잡았다.
결국 학문은 모두 '분류학'이다. 학자들은 체계와 현상을 찾아 명명하고, 학생들은 이러한 체계를 익히는 것이다.
중학교 수학에서는 수, 무리수, 유리수, 소수 등의 분류가 있고, 피타고라스의 정리, 근의 공식, 지수 법칙 등 여러 가지 법칙들이 존재한다. 이 법칙들도 모두 이름을 붙이고 그 의미를 정립한 것이다. 따라서 수학에서는 그 이름이 왜 붙었는지, 그 법칙과 공식의 유도 과정과 정의가 가장 중요하다.
사회 교과서에는 '헌법과 국가기관'이라는 목차가 있다. 사회라는 과목은 인권과 헌법으로 나뉘고, 헌법에서 국가기관으로 분류되며, 그 안에서 국회, 정부, 법원, 헌법재판소 등으로 다시 세분화된다.
대부분의 시험은 이러한 명명된 체계들을 묻는다. 혹은 그 명명된 이름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묻는다. 국어, 역사, 사회, 과학 모두 그렇다.
이러한 명명된 것들을 익히고, 익힌 것을 확인하는 과정이 '시험'이다. 그 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이 '공부'다. 그런데 공부가 '유전자'일 수 있을까?
결론적으로, 어떤 과목이든 상관없이 '체계화하고 언어화'하는 데 익숙한 뇌가 결국 '우수한 학습능력'을 갖는다.
그렇다면 이것이 '독서'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
'스티븐 코비'의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을 예로 들어보자. 이 책은 '개인의 성공을 위해 습관이 중요하다'는 주제를 다룬다. 책의 구성은 목차에 잘 정리되어 있다. 그렇다면 목차는 어떻게 분류되어 있는가?
개인적 승리
주도적이 되어라
목표를 명확히 하라
소중한 것부터 하라
대인관계 승리
상호 이익을 모색하라
먼저 이해하고 이해시켜라
시너지를 만들어라
지속적인 성장
이 책은 '개인의 성공을 위해 습관이 중요하다'는 주제를 가지고, '개인적 승리', '대인관계의 승리', '지속적 성장'이라는 세 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명명에 대해 세부 사항을 정의한다. 이처럼 대부분의 책은 하나의 주제에 대해 체계를 잡고, 세부적인 사항을 분류하며 명명한다.
이렇게 분류하고 체계를 잡고 명명하는 모든 과정은 인간의 학문을 익히는 과정과 매우 유사하다. 그렇다면 이렇게 체계화하고 명명하는 데 익숙한 뇌의 학습 능력은 어떨까? 당연히 우수할 것이다.
또한 글은 '문단'마다 들여쓰기를 통해 구분하고 그 '각 문단'은 소주제를 가지고 있다. 이 소주제들은 다시 모여 하나의 주제를 만들고 그 주제가 하나의 꼭지를 달성한다.
즉, 좋은 글을 읽는 것은 '체계잡힌 사고'를 자연스럽게 익히는 일이다.
학문이 아니더라도, 목표를 달성하고자 할 때는 비슷한 과정이 필요하다. 최초의 목적이 필요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체계가 필요하며, 그 체계에 맞는 명명이 필요하다.
비록 책을 읽지 않더라도, 이런 사고방식에 익숙한 사람들은 '뛰어난 학습능력'을 가질 수 있다. 마치 노래를 배우지 않았어도 그냥 잘하는 사람이 있는 것처럼 말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방식은 영어에 노출되면 영어 어휘가 늘어나고, 한국어에 노출되면 한국어 어휘가 늘어나는 것처럼 단순한 방식으로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인지능력'이나 '집중력', '인내력' 등의 다양한 변수가 필요하지만, 독서가 습관이 되면 이러한 능력들도 쉽게 훈련될 수 있다.
그렇다면 아이가 학업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바로 체계적인 사고방식, 즉 프로세스를 갖추는 것이 첫 번째이고, 그에 맞는 여러 명사를 익히는 것이 두 번째다.
결국 '독서'가 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