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인과 바다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8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김욱동 옮김 / 민음사 / 2012년 1월
평점 :
운동에 '스티킹 포인트'라고 있다. 웨이트 운동에서 임계점을 넘어서면서 더이상 들어올릴 수 없는 지점이 있는데 이 지점이 '스티킹 포인트'다. 트레이너들은 이 포인트부터 '성장'이라고 여긴다.
실제 무하마드 알리에게 한 기자가 몇 개의 팔굽혀펴기를 하는지 물었을 때, 그가 답했다.
"처음부터 갯수를 세지는 않습니다. 고통이 느껴지면 그때부터 숫자를 셉니다."
모든 걸 소진 한 후의 투쟁이 진짜 투쟁이다.
노인과 바다는 벌써 여러차례 읽은 책이다. 단순히 줄거리를 묻는다면 노인이 물고기 잡는 소설이다. 그 짧은 한 줄의 줄거리가 어떻게 이 소설을 '고전'의 반열에 올려 놓을 수 있었을까. 그것은 이 책이 바라보는 시기와 시선에 따라 완전히 다르게 읽히기 때문이다.
노인과 바다는 줄거리를 알고 있더라도 언제나 흥미롭게 읽힌다. 청새치를 잡아 올리는 노인의 분투가 여지 없이 드러난다. 대상과 자신의 투쟁에서 이기고 지는 과정이 여과없이 드러난다. 무언가를 투쟁할 때, 겉으로 보기에 밋밋해 보이는 결과물이라도 거기에는 수많은 생각이 담겨져 있다. 좌절하다가 다시 시작하고, 포기했다가 재도전한다. 현상은 모든 걸 결과로 말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 과정을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노인이기에 쉽지 않겠지."
"노인이지만 대단하다."
결과를 두고 단순히 평가 내리기에 그 과정에는 실패와 성공이 반복적으로 일어난다. '노인과 바다'는 엄청나게 많은 '대화'가 들어 있다. 다만 아니러니 하게도 이 소설에 등장 인물은 다섯이 채 되지 않는다. 거기에 소설의 99%는 노인이 망망대해 바다에서 겪는 일이기 때문에 노인이 대화할 상대는 전무하다. 초기에 노인과 함께 대화하는 '소년'을 제외하고 '노인'의 대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럼 나머지 대화는 어디서 이루어지는 걸까. 그 모든 대화는 청새치, 상어, 바다 등이다. 다시말해 이 소설은 '노인의 독백'으로 이뤄져 있다.
헤밍웨이가 주인공을 '노인'으로 설정한 이유는 무엇일까. 한때 대단했던 청년은 이제 노인이 되어 가까스로 투쟁할 수 있는 나이가 됐다. 언젠가 젊은 시절에도 그의 특기는 인내였다. 하루를 꼬박하고 한참이 흘러도 끝나지 않는 팔씨름에서 기어코 이겨내던 그 것은 '힘'이 아니라 '인내'의 산물이다. 노인은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심지어 모든 것을 소진한 후에도 결코 그것을 놓아주지 않는다. 그것을 행하는 와중에는 미래에 대한 걱정이나 고민도 하지 않는다. 아니, 다시 말하자면 그것을 이내 뒤집으며 번복한다. 이 과정이 '투쟁'이다. 그깟 청새치나 상어가 아니라 노인이 투쟁을 하는 것은 바로 그것이다.
내가 이 소설을 다시 읽은 이유는 내 안의 목소리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다. 앞으로 나아가는데 나를 괴롭히는 수많은 생각이 따라온다. 나의 삶의 모토인 '주체성', '긍정' 또한 이런 생각에게 한없이 나약하고 초라할 뿐이다. 내 머릿속을 괴롭히는 그런 부정적인 것들을 부정할 수는 없다.
"너는 할 수 없을 거야"
"지금 하고 있는 일들이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
나의 모토가 '긍정'이지만 그런 생각은 나의 의지를 넘어서 '자동'으로 생성된다. 결국 나는 부정적인 사람이다. 그러나 다시 고개를 흔든다. '그래, 그럴 수도 있지. 그나저나 지금 해야 할 일부터 처리하고 생각하자.'
배보다 큰 물고기를 어떻게 배에 실을지 노인은 고민하지 않는다. 상어가 물어 뜯는 와중에 그 투쟁이 어떤 결과를 만들어 낼지 그는 생각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자면 고민을 하고, 생각도 하지만, 이내 그것을 세차게 흔들며 자신을 다잡는다.
다 소진한 무기들, 식사와 물. 그런 것들이 하나씩 소진되더라도 노인은 그저 하고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한다.
모든걸 소진 한 후의 투쟁. 그때부터가 진짜 싸움이다. 동기부여와 에너지가 충만하고 왜 해야 하는지도 명확하고 나를 둘러싼 모든 상황과 환경도 완벽할 때, 그때의 도전은 진짜가 아니다. 그런 것들이 모두 소진되고 스스로의 의심이 스스로를 갉아 먹고 '이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를 고민하다가 정신을 차리다가를 반복하는 그런 나약해진 그 지점.
자신의 약점이 여실하게 자신에게 보여질 때, 그때부터 진짜 싸움이 시작된다. 노인과 바다는 단순히 물고기를 낚는 노인의 이야기가 아니라, 삶을 살아가는데 우리가 우리에게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 알려준다.
이 소설은 사실, 몇 번의 소설을 읽었으나, 가끔 구독하여 영상으로 뜨고 있는 유튜버 '만만송' 님의 추천을 보고 재독했다. 누군가가 '추천'하는 책을 볼 때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저 사람은 이 책을 읽으면서 어떤 생각을 했을까. 어떤 부분이 마음에 들었을까.'
그러고 나면 역시 책은 다른 의미로 읽혀진다.
처음에는 보이지 않던, 두 번째에는 느껴지지 않던 것들이 느껴진다. 헤밍웨이는 이 소설이 너무 다양한 각도로 해석되는 것을 경계했다. 그저 노인이고 그저 소년이고 그저 낚시하는 이야기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나 독자는 거기에서 자신만의 이야기를 찾아낸다. 생각해보면 지는 낙엽을 보고 청춘이나 쓸쓸함을 떠올리는 것은 '낙엽'이 그 의미를 숨겨 두고 있어서가 아니라, 우리가 '낙엽'을 보고 그런 마음을 찾아내서 그런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