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ry Potter and the Deathly Hallows (Harry Potter, Book 7): Volume 7 (Hardcover) Harry Potter 미국판- 하드커버
조앤 K. 롤링 지음 / Scholastic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상깊은 구절 

... It felt most strange to stand here in the silence and know that he was about to leave 

the house  for the last time...

위 평점은 씨리즈 전체에 대한 평점이다. 

같이 읽으면 좋은 책 

His hand closed automatically around the fake Horcrux, but in spite of everything, in spite of the dark and twisting path he saw stretching ahead for himself, in spite of the final meeting with Voldemort he knew must come, whether in a month, in a year, or in ten, he felt his heart lift at the thought that there was still one last golden day of peace left to enjoy with Ron and Hermione.

6편 `해리포터와 혼혈왕자`는 이렇게 끝을 맺는다. 앞으로 펼쳐질 내용에는 Bill과 Fleur의 결혼식이 있을테고, 또한 해리포터... 그의 앞날에는 순탄치 않을 장애물과 시련들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 어렵지 않게 예상된다. 막중한 압박으로 다가오는 Horcrux에 대한 해결을 남겨 두고 있는 시점에서 이야기들이 어떻게 전개될지 적지 않은 흥미를 동반한 기대감이 생겨난다.

하지만, 그래도 해리곁에는 깊은 우정을 나누는 친구들이 있고, 주위에 그를 감싸고 사랑하는 많은 이들이 있어 그는 용기를 잃지 않을 것이다. 하얀색에다 붉은 눈을 가진 뱀같은 얼굴의 Dark Lord와 그를 추종하는 `죽음을 먹는 자들`과의 피할 수 없는 한판 대결. 그리고, `로켓(Locket)`의 행방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치열한 행보. 거기다 덤블도어가 해리포터 일행에게 주는 물건들과 그에 얽힌 수수께끼 등 극적이면서 빠르게 진행되는 작품의 전개에 몰입된다. 그런데,

... has been smooth and virtually silent. Naturally many people have deduced what has happened : There has been such a dramatic change in Ministry policy in the last few days and many are whispering that `Voldemort` must be behind it. They daren't confide in each other, not knowing whom to trust ; they are scared to speak out.... remaining masked has created confusion, uncertainty, and ......

여기서 Voldemort를 MB로 바꾸어서 읽어보세요. 볼드모트와 그를 추종하는 세력인 `죽음을 먹는 자들`... 마법부와 예언자 일보를 장악하고, 마법 세상을 자기들의 방식대로 바꾸려는 모양새가 현 MB 정권과 그 도당들이 벌이는 모습과 같아 보여 이 부분의 책을 읽는 동안 지금의 우리나라 상황과 자꾸만 겹쳐보이는 아이러니가 계속되는건 또 뭐람. 예언자 일보는 꼭 조중동 같아 보여. 또라이들, 해리포터의 결말이나 신문기사에 싣고 말이야. 아우~ 재수없어.

해리포터 씨리즈와 함께 한지도 9년여의 시간이 흘렀다. 아직까지 이 책을 손에 잡을 수 있었던 것은 아마 9년전 어느 따스한 봄날 아주 우연히 이 책과 함께 잠시 마법의 세계로 여행을 떠났던 열흘 동안의 추억이 남아있어서였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리 포터와 혼혈왕자 1 (무선) 해리 포터 시리즈
조앤 K. 롤링 지음, 최인자 옮김 / 문학수첩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6편 시리즈는 지금까지의 대체로 비슷하면서 일정한 이야기 시작 도입부와는 달리 무언가 모종의 큼직한 사건들이 여기저기서 일어나면서 심상치 않은 분위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른바 물밑작업들이 한창 진행중임을 암시하며 등장인물들의 행보가 급박하다.

1~3편 까지는 다소 어린 등장인물들을 위주로 이야기가 전개되어 왔으나 4편에서 악의 세력이 그 머리를 들고, 5편에서 본색을 드러내면서부터는 등장인물들의 비중이 다양해져가기 시작하고 있다. 그래도 여전히 이야기의 중심은 해리포터를 가운데에 두고 있다.

독자의 눈은 해리포터의 행보에 촛점을 맞추며 그가 알게 되어 가는 과정을 따라간다. 그 점이 책을 읽는 흥미가 될 수도 있겠다. 이미 어둠의 세력이 그 이름에 걸맞게 상당 부분 세력을 은근히 잠식해 오고 있는 와중에 주요 등장인물들은 '보이지 않는 위협'을 느끼면서도 여러가지 보호장치가 잘 구비되어 있는 호그와트에서 그들의 새 학년 생활을 하고 있다. 그뿐만이 아니다. 사춘기를 지나고 있는 이들에겐 새로운 감정들이 복잡하게 얽혀 들어가는데 이성에 눈뜸과 동시에 복잡한 심리를 가지는 신경전과 서투른 사랑싸움 등이 펼쳐진다. 어린 것들이...

하지만, 해리포터는 자신이 처한 상황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에 더욱 신경을 쓰며 나름대로의 추리를 퍼즐조각 맞추기 삼아 그것을 밝혀 내려고 애쓰는데 여기에는 '드레이코 말포이'가 은밀하고도 깊게 연루되어 있다. 말포이를 의심하는 해리포터... 어떤 음모가 감추어져 있는지 알아내려는 노력과 함께 덤블도어의 도움으로 이 모든 사태가 일어나게 된 이유를 쫓아 중요 인물들이 가지고 있던 과거의 기억을 하나씩 알아가는 해리포터의 앞날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예언에 나온 그 '선택된 자'에 대한 불투명한 암시와 우연히 손에 들어온 비밀스런 의문의 책 주인인 '혼혈왕자'는 누구일까. 디지털이라곤 전혀 없는 아날로그 마법 세계에서 펼쳐지는 아마겟돈이 서서히 다가오고 있다. 어찌보면 추리소설의 형식을 띄고 있는 것 같기도 한 이 책을 읽는 또 다른 묘미는 직관에 의한 의심(? 표현이 좀 애매하지만)이다. 이 의심이 때로는 어떤 우려가 되기도 하고, 이 우려가 기대로 바뀌기를 몇 번 거치면 어느새 안개가 걷히면서 사건의 전말이 서서히 드러난다.

대체로 느끼는 거지만 작품의 구성은 정말 잘 짜여졌고, 얼마 안있어 영화로도 개봉을 앞두고 있다. 이제 마지막 편만 남겨놓은 시점에서 해리포터의 홀로서기가 이루어질 것인데, 이야기가 어떻게 정리되고 마무리 될지 참으로 기대가 된다. 바램이 있다면, 해리포터... 7편에서는 인정사정 볼 것 없이 기냥 한 판 쌔리 엎어부러~. 기대하겠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서운 세계사의 미궁
키류 미사오 지음, 양억관 옮김 / 열림원 / 2000년 11월
평점 :
품절


일단 제목은 무섭다. 여기서 이 '무섭다'라는 말의 개념을 한 번 짚고 넘어가자면 이 '무섭다'라는 것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고 간략하게 설명을 할 수 있겠다. 첫째는 시각적인 측면으로 흔히 우리가 공포영화를 볼때 연장이라든지 벌건 물엿 등을 봄으로써 또한 금속을 긁는 듯한 효과의 음향이나 비명이 합쳐져서 느껴지는 '말초신경'자극으로 인한 것이 있겠고, 두 번째는 전자의 것들이 아닌 뒤늦게 알게 되는데서 오는 심리적인 섬뜩함으로 인해 모골이 송연해서 느껴지는 '중추신경'을 살살 잡아당기는 것이 있겠다. 

이 책에는 귀신이나 초자연적인 존재, 또는 현상들은 등장하지 않으므로 첫번째의 경우에 의한 무서움은 없다. 사실은 오히려 재미와 흥미로운 내용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본 책에서 펼쳐지는 내용은 모두 역사적인 사실이다. 주로 유럽 역사 속의 인물들과 역사의 베일에 가려진 에피소드를 나열한 일종의 '유러피안 나이트'라고나 할까. 

우리가 지금까지 배우거나 알고 있는 세계사는 어디까지나 소위 '교과서적'인 역사이다. 따라서 달리 말하면 '표면적인' 것이다. 그것도 학교다니면서 해당 수업시간에 '수박 겉을 쒸~웁' 핥듯이 책장을 넘기며 지나갔을 뿐이다. 굳이 교훈까지는 바라지 않더라도 일견 깨끗하면서 정리가 잘 되어 있다. 하지만, 이미 우리는 '인간'이라는 존재가 어떠한 것인지 자~알 알고 있다.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욕망의 덩어리' 정도... 이러한 역사의 이면과 인간의 어두운 부분을 알고 있는 우리는 이제 세계사 교과서를 집어 던질 폼을 잡아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나온게 이 책이다라고 말할 수 있겠다. 학교에서는 가르치지도 않고 배울 수도 없는 '어둠'의 역사를 기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둡다고 해서 오로지 사악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보다 정확히 표현하자면 '이면'의 역사라고 해야할 것 같다. 이런 저런 사건들에 휘말려 본인의 의지로든 아니든 이리 저리 밀려다니다 결국 역사의 저 너머로 책장 넘어가듯이 가버린 사람들. 그리고 미스테리와 수많은 논란만 남기고 공중에 떠버린 사건들... 이런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결국 종착점은 '인간의 탐욕이나 지나친 욕망 또는 야심'이라는 심연에 다다르게 된다. 책의 원제 또한 'Episodes from the Abyss'이다. '무서운 세계사...'라고 지은 것은 아마 독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서라고 생각된다. 나도 제목 보고 샀다. 이런~

여러가지 사건들을 읽어나가다 보면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와 그 마음의 밑바탕에 도사리고 있는 무서운 심리가 느껴지면서 위에서 서술한 두 번째의 공포를 느낄 수 있다. 다양한 사건이 소개되는데, 그 중에서도 개인적으로 가장 끌렸던 내용은 주로 '역사상 세계 제일의 위조 지폐범'이나 '엄청난 유산을 상속받은 사기꾼' 등에 관한 것인데, 역시 '돈'의 위력은 무시못하겠군. ^^

그 외에 황금의 전설에 자신의 인생을 포함. 모든 것을 한 방에 '올인'한 사람들의 리얼한 생고생과 2차 세계대전 동안 전 세계를 오고 간 수많은 보물들(짜식들, 전투는 안하고). 거기에 얽힌 많은 사람들의 제로섬 게임. 중세 시대부터 이른바 '보물섬'을 찾아 나선 사람들의 모험담 등이 나온다. 어릴 때 '보물섬'이라는 만화 재미있게 봤던 기억이... 이 부분에서는 우리가 언젠가 한 번씩은 들어봤음직한 지명들이 등장하는데 예컨데, 예전에 유명했던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도 캐리비안 어딘가에 침몰해서 바다 속에 보물이 묻혀 있지 않을까 하는 추측에 대한 전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지 않나 싶다. 비단 이 영화뿐만이 아니라 상당수의 보물에 관련된 모험을 쓴 작품들이 이러한 전설을 소재로 삼았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서도 예수님과 막달라 마리아 그리고 성배와 성당기사단의 이야기가 등장하는데, 일견 '다빈치 코드'와 조금 다른 해석을 제시하고 있는 점도 흥미로운데다가 '푸코의 추'에서 읽었던 '비밀 집단'에 대한 이야기도 살짝 얹혀져서 나온다. 그걸로 인해 개인적으로 푸코의 추에서 약간 의아했던 내용과 인물에 대한 궁금증이 풀어지는 보너스를 얻었다.

사람인 이상 어느 정도 욕심을 부리게 되고 적당하다면 그것을 성취할 수 있는데, 문제는 더욱 큰 것을 끊임없이 요구하는 그 욕망을 제어하지 못하는 것이 인간의 가장 큰 병폐이고, 그것이 곧 모든 '화근'을 불러와서 결국에는 본전도 못 뽑는 일들이 비일비재한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보이지 않는 주제는 '1절만 하자'가 아닐까. 또한, 몇몇 사건들은 그 결말이 미해결인채로 남아 오늘날까지 많은 궁금증과 논란만 남기고 있는 사건들도 있는데, 차라리 오히려 밝혀지지 않는 편이 더 나을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하지만, 흥미로운 것은 오늘날에도 그 사건들에 관심을 가지고 자기의 인생을 걸고 모험에 도전하는 불굴의 정신을 가진 '인디아나 존스'들이 많다는 것을 보니 역시 대단한 인간들이라는 생각이 든다.

어쨌든 흘러간 과거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여 그 이면에 나오는 수많은 인물들과 미궁에 빠진 사건들을 다시 생각해보는 것은 재미있다. 그 과정에서 새로운 사실이나 미스테리도 발견이 되면서 이 세계에는 불가사의함이 존재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왕자의 별자리여행 - 한승유레카 18
김상구 지음 / 한승 / 199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밤하늘을 쌍안경으로 바라보니 너무나도 많은 별들이 보였다. 한 마디로 '별천지'였다. 눈으로 볼 수 없는 별자리들을 관측하는 즐거움이 의외로 상당했다. 이렇게 쌍안경으로 별자리를 관측하려면 별자리나 그 위치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하는데 잘 모른다 하더라도 이 책만 있으면 크게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처음에 시행착오는 겪을 것이다.

책의 구성은 '견우'라는 이름의 아이와 그 아빠가 대화를 하는 형식인데 아버지가 아들에게 아주 자상하게 설명해주는 흐름이라 읽으면서 매우 쉽게 이해가 되고 별자리에 대해 친밀하게 접근할 수 있다. 추천의 글을 쓰신 조경철 박사님의 말대로 이 책이면 별자리에 관한 다른 책을 읽을 필요가 없을 정도로 구성이나 내용이 잘 되어있다.

부록으로 따라오는 CD도 각각의 계절별로 별자리를 찾는 법에 대해 움직이는 화면과 함께 아주 상세히 설명을 해주고 있다. 별도의 인스톨 과정이 필요없고 드라이브에 넣으면 바로 실행되는데 용량도 얼마되지 않아 하드디스크에 복사를 해서 쓰는게 편하다.

밤이 기다려지는(?) 요즘 한 손엔 쌍안경을 들고, 다른 한 손엔 이 책을 들고 옥상에 올라 탁 트인 공간에서 하늘을 올려다 보니 올 여름 이보다 더한 피서는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후레쉬가 되는 열쇠고리를 얼마전에 샀는데 이 때 도움이 될 줄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코의 진자 1 - 개정판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메아리(움베르토 에코 교수)씨'는 인간의 본색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사람의 본질이 아닌 인간 그리고, 대중의 본색을....

전 3권으로 된 장편소설이다. 좀 난해한 책이다. 달리 말하면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지루함을 느낄 때쯤에 한 가지씩 툭 던지는 저자의 정보전달은 호기심의 발동과 함께 3권이나 되는 책을 계속 이어서 읽게 하기에 충분하다고 본다.

그것은 성당기사단이 구성된 이유에서부터 그들의 초기 임무, 성당기사단의 독자적인 행보가 시작되면서 알게된 그들만의 사실과 정보, 확보한 물건들, 결국 프랑스 왕에게 배신당하고 제거되어 가는 과정, 끝까지 비밀을 지키며 순순히 제거되어 소멸되는 듯 했으나 훗날을 기약하며 비밀리에 살아남는 치밀한 계획.

중세시대, 십자군 원정이 시작된 이래로 결성된 성단기사단에서부터 비롯된 하나의 '음모'... 그것으로부터 줄기차게 파생되어 이어져 온 비밀결사의 역사. 그들이 궁극적인 목표로 삼았던 것. 그리고, 세월이 흐르면서 이어져 내려온 비밀들을 작가는 마치 해독된 암호코드들처럼 주렁주렁 이 책에 쏟아내고 있다. 이른바 '음모론 총집합'이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니다. 비밀은 비밀이되, 그것이 사람들을 거치면서 또 세월을 거치면서 감당할 수 없을 만큼의 거대한 무게로 부풀려져서 과연 진실이 무엇인지와 본질이 오도되어가는 과정을 보면서 '비밀'이라는 것에 지나치게 광적인 집착을 보이는 인간들의 감춰진 내면 심리에 대해서도 한 번쯤 생각하게 한다.

역사적으로 너무나 오랜 세월동안 명확하지 않은 비밀. 시간적인 단절 때문에, 그저 단편적인 소문으로만 떠돌던 이야기들을 재구성하는 거대한, 그러면서 보이지 않는 '프로젝트'. 누가 주최가 되고, 누가 참여하며, 어떤 식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전혀 알 수 없지만 무언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일들은 우리들의 인생이 그러한 것처럼 차라리 한 편의 무대위 연극이 아니었을까.

사람들은 이 '비밀'이라는 것에 대해서 어떤 종류의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단순한 호기심?, 다른 사람은 모르는 나만이 알고있는 은밀한 정보?, 진실을 알고싶다?, 그걸 알고 있는 나는 특별한 존재?, 무언가 대단한 보물 같은 것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무수한 생각들을 가진 '어중이 떠중이'들의 한 판 조용한 장막 뒤 광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검증되지 않은 진실들에 대한 맹목적인 관심과 아우성이 '은근슬쩍 흘리기'와 '살짝 떠보기' 기술과 함께 어우러져 작품의 진행을 담당한다. 여기에 휘말려 시류에 올라탄 주인공들의 운명의 향방은 어떻게 될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