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번역출판 - 북페뎀 09
강주헌 외 21명 지음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기획회의란 잡지를 알고 몇권 사보았었다. 3개정도 읽고 느낀 소감은 그냥 잡문이구나 하는 거였다. 통찰력도 없고, 글을 쓴 이들의 내공도 부족하고, 사상적으로 좌파쪽으로 상당히 치우쳐져 있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그거야 잡지 마음이니까 그렇고.

 

번역출판이란 책이 나왔다는 광고를 보고, 혹시나 해서 없는 돈을 쪼게 사보는 용단을 내린다. 그리고, 다시 떠오르는 생각은 역시나 雜文이구나. 이 바닥을 전혀 모르거는 일반인이 아닌 이상, 맥아리 없는 글들이 8할을 차지하는 형국이다.

 

다른게 아니고, 번역출판을 위한 책에 심각한 오류가 있어서, 혹시나 독자들이 유념해 주기를 바라며 몇자 적는다.

 

P.158를 보면 강주헌씨가 번역한 내용이 나온다.

Oceania comprises the Americas, the Atlantic islands including the British Isles, Australasia, and the southern portion of Africa.

 

[오세아니아는 아메리카 대륙, 영국 섬을 포함하는 대서양제도, 오스트랄라시아, 아프리카의 남부로 구성되어 있다]로 번역했다.

 

여기서, southern portion이 남부가 아니라 남부일부라는 디테일을 간과했다는 것은 그냥 넘어가기로 하고, the British Isles을 보자.

영국 섬이라고 했다. 일단 영국 섬이라고 하면, 영국에 있는 섬을 가리킨다. 고유명사가 아니다. 영국에 많은 섬을 뭉터기로 가리키는 말이 된다. 그런데, 웬만한 사람은 아시다시피, 그건 영국諸島를 가리키는 고유명사이다. 영어로 번역하면서설마 영국지도를 본 적도 없는 지는 모르겠으나, 저런 상식을 모르고 번역을 하는 사람의 영어실력이 어떤 한 것인지를 다음 문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These romantic medievalists may moreover have strengthened Tolstoy's natural anti-intellectualism and anti-liberalism, and his deeply sceptical and pessimistic view of the strength of non-rational motives in human hehaviour, which at once dominated human beings and deceive them about themselves  -  in short that innate conservatism of outlook which very early made Tolstoy deeply suspect to the radical Russian intelligentsia of 1850s and 1860s, and led them to think of him uneasily as being after all acount, an officer and a reactionary, not one of themselves, not genuinely enlightened or revolt at all, despite his boldest protests against the political system, his heterodocxies, his destructive nihilism.

 

[게다가 낭만적 중세주의자인 슬라브파는 톨스토이의 천성적 反주지주의와 反자유주의적 성향을 더 부추기고, 인간의 행태에서 비합리적인 동기가 차지하는 부분에 대한 깊은 회의와 비관적인 생각을 고착화시킨 듯하다. 비합리적은 동기가 인간을 지배하는 동시에 인간을 자기기만에 빠지게 만든다고 톨스토이는 생각했던 것이다. 요컨대 1850년대와 1860년대 러시아의 급진적 인텔리아치아에게 일찍부터 의심을 품었던 톨스토이의 선천적 보수주의적 성향도 슬라브파의 영향으로 더둑 깊어졌다. 따라서 톨스토이가 러시아 정치체계를 대담하게 비판하고 이단적 면모와 파괴적 허무주의를 보였지만 러시아 인텔리겐치아는 그를 결국엔 백작이고 장교인 보주주의자로 생각하며 그들의 일원, 즉 진정으로 계몽되어 저항하는 지식인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번역했다.

 

이렇게 긴 영문과 번역문을 일부러 타자친 이유는 원문과 번역문이 완전히 다른 내용이란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다. 원문을 보지 말고, 번역문만 보면서, 설계도를 그려보면 앞뒤가 맞지 않는데, 그것은 영어의 原구조를 얼마나 허술하게 이해하고 있는 가를 반증하는 것이며, 무엇보다도 실질적인 상식 부재가 誤譯을 하고서도 과감하게 아무런 생각없이 편집자나 번역자나 그냥 뜻없는 한국말만 쓰고만다. 이런류의 글을 2번 읽고서 이해가 안가면, 대개 자신의 머리를 탓하기 보다는 오역이라고 생각하는게 현실적일 것이다.

 

강주헌씨는 which를 가리키며 'which에서 분명히 끊어 읽어야 한다'라고 하고 끊어번역하면서, which를 그 앞의 많은 명사중에서 non-rational motives를 단 하나 수식해 비합리적인 동기가라고 번역하고 있다. 난 이 글을 읽고 잠시 숨을 가다듬었다.

 

P.152에 보면,

[쉼표에서 쉬는 것이나, 마침표에서 쉬는 것이나 무엇이 다를까? 나는 이 문장을 세부분으로 나눠 번역했다]라고 나와있다. 쉼표와 마침표가 강씨에겐 별다른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한다. 그런 문장도 있을 수 있으니, 예외적인 경우를 인정한다치더라도, which가 받는 명사를 왜 저걸로 본 것일까. 상식적인 선에서 도저히 이해가 안갔다. 차라리 바로 앞의 human behavour라고 했으면, 실수할 수도 있겠지라고 여기겠지만... 그러나, 이건 엄연히 실력이란 것을 독자는 인지해야 한다. 그리고, 80%의 한국서적이 이렇게 번역되고 있다는 현실을 알아야 한다. 물론 편집자들이 이런 오류를 잡아낼 수준이 안되는 건은 당연지사다. 이 글은 잡지에도 실렸던 글인데, 버젓히 다시 책으로도 나오지 않는가. 아무도 의심하지 않는게 우리의 현실이다.

 

여기서는 which가 문제가 아니라, 이 단락 전체의 구조를 처음부터 다시 이해해야 한다. 정리하면, romatic medievalists가 Tostoy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는데, 그 사상은 which이하 human beings에게 영향력을 주었다는 내용이다. 그래서 '-' 이하는 in short로 연결되면서 앞에 있던 내용을 부연설명해주는 것이다. 즉, -앞뒤가 병치되는 구조다.

 

그런데, 강씨는 어떻게 번역을 했는가. which를 non-rational motives로 받고, 그리고 -이하의 문장은 2문장으로 나누고 '따라서' 인과관계적 번역을 함으로써, 마치 저자가 줄표를 사용한 이유를 망각하게 만들었고, 앞의 내용이 이유가 되고 뒷문장이 결과가 되는 식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하는 그저 앞문장의 부연일뿐이다. (한국어 문장을 그냥 읽어보아도 논리적으로 틀린 문장이다.)

 

문장을 나누려고 했다면, -줄표를 중심으로 나눴어야 한다. 줄표뒤에선 앞의 문장을 서술하기 때문이다. 강씨는 '따라서'라는 원문에도 없는 말을 써서 혼란을 더더욱 가중시키고 있는데, 그의 허술한 번역관은 자신의 말로 입증된다.

 

P.152

[여기에서 '...but..."과 'But...'은 구체적으로 어떤 문체적 차이를 가질까? 또 '...and...' 'And....'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내가 과문에서 그런지 몰라도 별다른 차이를 느낄 수 없다]라고 적고 있다.

 

and와 but의 위치가 변화하는데도 별다른 차이가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한 주관적 견해는 추진력을 얻어, therefore에 상당할 '따라서'라는 말을 집어넣고도 문장의 인과나 역접의 향방이 만들어 내는 결과에 대해선 도체 생각이 없는 듯하다.

 

P.154 'they stand in front...'이하 문장에 대해서도 할 말이 있으나, 시간이 아까워서 그만 적기로 하겠다. 이 사람의 책엔 오역이 100개 어려운 책일 경우엔 대략 300개에서 400개는 무난히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터무니없는 비방이 아니다.

 

대한민국의 현실은 출판번역이라고 해서 나온 책에도 말도 안되는 오역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쓰레기같은 책들이 도서관과 서점에 가득한 현실을 일반인들은 깨달아야 하고, 멍청한 출판사 사장들은 앞가림이나 제대로 하길 바랄 뿐이다. 한국은 누구 말대로 일본의 메이지 시대에도 미치지 못하는 誤譯王國임을 깨달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암흑의 핵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
조셉 콘라드 지음, 이상옥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을 번역하는 사람은 번역가라는 말로 적당하지 않다. 예술가에 가깝다고 해야겠다.

 

첫 페이지 첫 단락을 보자.

 

The Nellie, a cruising yawl, swung to her anchor without a flutter of the sails, and was at rest. The flood had made, the wind was nearly callm, and being bound down the river, the only thng for it was to come to and wait for the turn of the tide.

 

[쌍돛대 유람선 <넬리>호의 돛은 펄럭이지 않았고 배는 닻을 내린 채 이리저리 흔들리다가 멎었다. 조수는 이미 밀려들고 있었는데 바람은 거의 불지 않았다. 그래서 강 하류로 내려갈 예정이었던 배는 정박한 채 조수가 썰물로 바뀔 때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었다.]

 

잠깐, 번역가의 약력을 보자. 서울대 영문학과, 뉴욕주립대 영문학 박사, 서울대 교수역임. 현재 서울대학원장에 재직중인 사람이다. 약력은 뒤통수치는 예라고 해야겠다.

 

첫 단락의 정조는 어떠한가. 고요함 그 자체이다. at rest, calm, come to, wait for로 연결되는 문장이다. 번역문장은 펄럭이지 않았고 흔들리다가 멎었다. 밀려들고 있는데, 내려갈 예정이었던 으로 묘사하고 있다. 문학의 번역은 문학적이어야 한다. 콘레드의 문장은 대단히 영국적인 동시에 고전적 향기를 뿜어내고 있다. 한국어 문장을 읽고서 지옥의 묵시록을 상상하기는 힘들 것이다.

 

첫째, 돛은 펄럭이지 않았고라고 했다. 돛이 펄럭이기를 바라는가.

둘째, 흔들리다가 멎었다는데, 흔들거렸던 배가 이제 조용히 물위에 있는 모습이다. 흔들리다가 멎는다하면 정적인 느낌은 다 어디로 가는가.

셋째, 조수는 이미 밀려들고 있었는데라고 했는데, The flood had made로 이미 밀물이 들어왔다는 얘기다. 밀려들어오는 것은 동적이다.

넷째, 내려갈 예정이었던 배라고 했는데, 이 부분이 이 단락을 오역으로 인해 동적으로 만들어준다. bound가 어디 행이라는 뜻도 있지만, 여기서는 bind의 과거분사형으로 묶여있는 형국을 말한다.  여기서 나오는 배가 어디를 출발할 예정이라는 이미지와 Heart of Darkness란 제목과 일치하는가. 서울대 영문과 교수가 이러고 앉아 있으니...

 

어떤가. 약력과 실력이 일치하는가. 문학번역의 치밀함은 정조를 얼마만큼 제대로 전달하는냐에 달려 있다고 본다. 더군다나 이런 분위기는 콘레드의 기저를 만들어준다. 콘래드에 관한 논문까지 쓰면서, 이런 식으로 작품을 접근해서 작품에 손상을 입히는 경우는 파다하다. 대한민국의 문학수준은 정말 개똥도 안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렇게 쉽지 않은 고농도의 작품의 번역을 맡길 사람이 이 땅에 몇 명이나 될까. 아시는 분은 알겠지만, 5명이나되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왜 이런 책이 나올 수 밖에 없는 걸까. 우리나라에서는 전문가를 아무도 알아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후진국이라 불리는 거다.  

 

PS. 제목을 암흑의 핵심이라고 번역할 수 있는 번역자와, 그걸 고대로 두는 출간하는 민음사는 정말 대단하다고 말하고 싶다.  암흑의 핵심도 수학정석의 핵심이나 성문영어의 핵심처럼 쪽집게처럼 암흑을 들여다보고 싶다는 뜻에서 쓴 것인가. 한국사람한테는 한국말 우기기 없기~

그런데, 이런 책이 한국영문과 교수들이 뽑은 '영미명작 좋은 번역을 찾아서'에 추천본으로 되어있다. 참으로 기가차서 말이 안 나온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9-06-18 07:22   좋아요 0 | URL
아 왜 이렇게 웃기지..ㅋ

알비스 2011-01-30 08:44   좋아요 0 | URL
아마도 학생한테 번역을 맡겼나 봅니다.
그래서 저는 민음사 세계전집을 별로 신뢰하지 않지요.

책실이 2011-02-01 20:38   좋아요 0 | URL
학생이라면 더 못했겠죠..^^; 대산재단에서 지원해서 나온 책들이 그나마 수준이 나은 것 같던데요.. 쓰레기 번역문제는 사실 한국 출판의 근본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독자들도 알고서 미래를 생각해봐야 할 문제이죠.. 자기 자식도 그런 책들을 읽고 자라야 하기 때문인데.. 번역가, 저작권, 인세 등의 것들이 총체적으로 고려되어야 나아질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건 주요 출판사 편집자들마져 역량이 수준이하이기 때문에 현상황에서는 나쁜 책을 고를 수 있는 안목을 기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교과서를 덮으면 외국어가 춤춘다
이서규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도서관에서 빌려보는 맛에, 설렁설렁 책고르기를 하기도 하는데, 정말 빨리 절판되기를 바라마지 않는 책이다. 독서의 기술에는 쓸데없는 책을 버리는 기술이 들어가야 한다.

 

책을 읽으면서, 초반에 이상한 기운을 감지할 때가 있다. 이건 실수가 아니라 실력이다라는 감이 올 때는 잽싸게 덮고, 더 좋은 책을 찾아가야 시간을 번다.

 

P.28에 보면, 효순미순사건을 보고 미국에서 Tragic Accident라고 했는데, 미국드라마에선 사람이 숨진사건을 homicide라고 하니, 은폐적 성격의 Accident를 homicide라해야한다는 주장을 한다.

 

독자는 이 한줄을 읽고, 미소를 지으며 책을 빨리 덮을 줄 아는 용단을 내려야 한다. 나같은 경우엔, 5개국어를 한다하여 혹시나 비장의 공부법을 한줄이라도 숨겨놨을지고 모르겠다고 생각했다가, 중학교 1학년 단어인 accident를 이해 못하는 자가 책까지 쓰는 용단을 내릴 수 있다는 생각에 헛웃음이 났다. 그런데 참으로 이해할 수 없는 건 이 작가가 International Herald Tribune에서 일했다는 사실이다. 세상엔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많다.

 

나도 이런 외국어 학습관련책에 관심이 있지만, 이 책은 내가 본것중 거의 바닥에 가깝지 않나한다. 나는 그냥 찍찍이를 사서 공부하라고 권하고 싶다. 언어공부도 마이크로 메크로의 접근이 필요한게 아닌가 싶다. 메크로는 영화보고 TV보고 음악듣고, 등등일테고, 마이크로는 아는 것도 반복하는 방법이 아닐까 싶다.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모르는게 얼마나 많던가. 이 작가처럼 되서는 안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 고치기 전략
장하늘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이 저자의  들어가는 글을 읽으며, 과연 이 사람이 한국어를 가르칠 만한 사람인가라는 의심이 바로 들었다.
"지금도 오사카 어느
 변두리엔, 초로의 작달막한 사나이가 부지런히 곡괭이질을 하고 있것다. 하다 부치어 이국땅에서 고혼으로 부서질망정 일본 문장론에 빌붙지 않는 내 나라 문장론을 세우려 오기를 부리다..."
이 문장에 이 사람의 무능이 가득 담겨 있다.
 
글감만들기란 섹션에 보면,
나무꼴 환치기(tree-diagram), 지도 환치기(mapping), 그 외에 얼개 환치기등을 말하는데, 내가 보기엔 참으로 정신없는 말이다.
diagram은 a simplified drawing이라고 사전에  나오는데 비해, 저자가 쓴 환이란 개념은 '마구 그린 그림'을 말한다. 마구 그린 그림 vs diagram, 너무나 안깔끔하고 황송하기 그지없는 쓸데없이 토속적인 번역아닌 번역이다. 
 
45페이지에 보면,
"일본에서도 100년후면 한자가 없어질 것이라 주장하는 사람이 있지만(야스모토 교수), 우리에게 역시 한자는 배워봤자 원전도 못 읽은 낡은 골동품일 뿐이다" 

 정말 대단한 논지이지 않은가. 들어가는 글에 왜 오사카 변두리가 나올까. 유추해보건데, 저자는 오사카에 간적이 있고, 일본을 할 줄 알며, 일본에 대한 나름의 동경을 가지고 있는 덕이라고 보여진다. 일본에서도 주장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런 이유로 해서, 우리에게 역시 한자는 배워봤자 별 볼일없다라는 주장. what a logic here! 정말 무식의 소치가 심하다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렇게 중대한 문제가 겨우 경도대학 교수 한사람의 말로 전도될 수 있는 거라면,, 그의 식민지근성은 한국말 학자라기엔 역겹다 아니할 수 없었다.    
 

그는 언제 쓴 기사인지 출전도 명확하지 기재하지 않은 채, 한겨레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라고 쓰면서 잘못된 예로서 신문의 글들을 인용한다. 참으로 몰지각한 행동이다. 논설인지 기사인지하는 내용도 표기하지 않음으로 해서, 마치 신문전체가 과거에서 지금까지 우를 범하고 있다는 착각마저 들게한다. 신문의 잘못된 표현을 표기할 때는 어느신문, 언제, 어디에서가 명기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 독자가 그런 부분적인 실수가 있었다는 판단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정말 통곡할 부분은 여기에 있다. 그는 센텐스란 말을 사용하는 것이다. 문장이란 말대신 '월'이란 단어를 쓰고 (센텐스)하고 괄호를 덧붙여 준다. sentence를 센텐스라 말하는 것은 일본에서 가타가나로 쓰는 말이다. 편집자에게 존경을 표한다. 

이런 쓰레기같은 책이 세상에 돌아다니고 있다는 생각에 귀찮지만, 한문장만 더 쓰겠다.

58페이지에 보면,
[그들이 다시 독립을 부르짖으며 독립에 정력을 헛되이 쏟아붓는 낭비가 없어야 한다] 000문화평론가 

이 문장을, 저자는 이렇게 바꾼다.
[그들이 다시 독립을 부르짖는, 독립에 정력을 헛되이 쏟아 붓는 낭비가 없어야 한다]

저자의 말은 부르짖으며와 쏟아붓는 병치관계에 있는 데, 이를 분명히 하기 위해서 부르짖는, 쏫아 붓는으로 바꿔야 한다고 한다.

그런데,
저자가 바꾼 문장이 좀 이상하지 않은가. 누가 저런 문장을 쓰는가.
내가 보기에 위에 문장은,
그들이 다시 독립을 부르짖으며 , 독립에 정력을 헛되이 쏟아붓는 낭비가 없어야 한다

콤마만 집어넣어도 충분히 의미전달을 한다고 본다. 여기서 '부르짖으며'는 진행되는 상황을 보여준다, 뒷문장을(독립에~) 전체적으로 꾸며주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저자가 바꾼 것은 무언가. 부르짓는, 은 종속절인데도 병치로 해석하니, 부르짓는 & 쏟아지는 낭비가 없어져야 한다는 말을 하고 만다. 너무 부르짖지 말자는 얘긴데, 부르짖으면 모두 낭비인것처럼 해석하니, 어디 이런 쇠대가리가 어디있는가. 

쓸데없는 한자가 무척이나 많고, 쓸데없이 억지로 끼어다 넣은 토종어로 된 조어를 보다가, 
센텐스란 일본어에,
한국말도 제대로 읽지 못하는
얼치기 선생을 보게 된다.
내가 몇 년간 읽은 책중에서 가장 저질스런 책이다. 이런 사람이 10권정도의 문장관련 책을 내고 있으니, 작가탓만 할 것도 아닌 거 같다. 우매한 저자와 출판사가 함께 공모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렇게 말도 안되는 소설책이 잘도 팔린다.

그만큼 영화의 힘이 큰 것이다.

이 책은 오역만 수백개 나온다.

첫페이지에서 몇개만 잡는 걸로 대충 갈음하길 바란다.

 

번역 - 횡단보도 걸어가는 사람형상에 파란불이 들어왔다.

원문 - At the pedestrian crossing the sign of a green man lit up.

 

*횡단보도로, 걸어가는 사람형상의 파란불이 들어왔다로 바꿔야 한다.

 

 

번역 - 그 줄무늬를 얼룩말로 부르지만, 그것처럼 세상에 얼룩말을 닮지 않은 것도 없을 것이다.

 

원문 - There is nothing less like a zebra, however, that is what it is called

 

* 횡단보도를 zebra crossing이라고 불리고 있는데, 얼룩말을 꼭 빼닮았다. 얼룩말과 다를바 없다는 뜻이다.less에 대한 기본 이해도가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번역 - 마침내 파란 불이 켜지고, 차들은 활기차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원문 - The green light came on at last, the cars moved off briskly.

 

* 이건 일종의 독해능력인데, 전체적인 분위기로 보아서, brisk를 활기차게로 하면 전체톤이 갑자기 밝아진다. 여기서는 도시의 차갑고 바쁜 일상사를 그리는데, 갑자기 활기차게 움직인다? 여기서는 '바쁘게 빠져나간다'정도로 바꿔야 한다. brisk가 영한사전에 '활기있는'로 되있으니까 이 사람은 brisk가 나오면 무조건 똑같이 활기있게 적어나갈 것이다. 이런 사람이 쓴 번역본이 한국소설 10안에 현재 4권이상 포진해있는 형편이다. 정보가 있는 사람이면, 정영목의 번역본을 보지 않는다. 해냄출판사의 편집자들이 워낙 실력이 없기 때문에 첫장에 수두룩한 오역을 잡아내지 못하는 것이다. 정말 나도 실력없지만, 이 정도 실력없는 사람들이 한국 번역소설을 장악하고 있다는 것을 독자들은 깨달아야 한다. 여기서는 대략 수준만 적어놨다.  

 

 

거짓말 안하고, 이 책의 오역은 수백개의 오역이 인산인해를 이룬다고 보면 된다.

그런데, 이 사람도 가르쳐 줘도 모르는 축에 들 것 같다. 독자가 판단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