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5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박찬기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중에서 베르테르는 자유를 찾아 중앙 관직을 버리고 시골로 내려 왔지만, 그는 모르는 것이 있다. 그건 바로 인간은 절대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다. 물론 나 역시 자유를 무척 사랑한다. 난 모든 것이 절대적으로 자유로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랑 또한 자유이다. 구속하면 안 된다. 어떤 사람은 새장 속의 새를 날려보내는 것이 새에게 자유를 주는 것이 라고 내게 말하지만, 그건 새에게 자유를 주는 것이 아니라 선택하지 않은 죽음을 주는 것 밖에 되진 않는다. 내가 새를 사랑한다면, 다만 새장의 문을 조용히 열어 주겠다. 새가 훨훨 날아가든지, 아니면 이곳에 머물든지 그 선택을 새에게 주겠다. 그리고 나는 가능하면 모든 것에 자신을 가두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하다 못해 꽉 끼는 옷 속에라도 날 가두지 않는다. 이처럼 자유를 사랑하는 내가 인간은 절대 자유로울 수 없다고 단언한다. 물론 조금이라도 자유롭고 싶어하는 베르테르의 몸부림은 이해가 가지만, 난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성숙한 행동이라고 평가하고 싶다.

인간은 안정을 바라면서 변화를 추구한다. 인간의 이러한 모순은 그렇기 때문에 인간을 모든 것에서 완전히 자유롭게 해주진 않는다. 자유롭다고 느끼는 순간 새로운 모순과 갈등에 부딪히게 된다. 때문에 인간의 발달도 일정한 한계 안에서 일어나는 것이고 인간은 자신의 모든 결정을 이 한계 안에서 맞추어 나가야 한다. 아무리 자연을 비롯한 모든 것의 주인이 되고 싶어하는 인간이지만 인간도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계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베르테르의 7월16일 편지는 로테에 대한 그의 사랑이 얼마나 큰지를 짐작 할 수 있게 한다. 비록 길지는 않았지만 사랑이라고 느꼈던 시절에 나 역시 이러한 감정을 가졌었다. 그는 로테와 함께 있는 시간을 천국이라고 표현했다. 왜 천국이라고 표현했는지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그것은 사랑이 없는, 참 사랑이 없는 이 세상이 그만큼 남루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백꽃 - 한국문학 3, 김유정 단편집
김유정 글, 박철민 그림 / 글송이 / 2001년 2월
평점 :
절판


소작인의 아들과 마름의 딸은 쉽게 어울릴 수 없다는 소극적인 생각을 가진 '나'는 아직 성적으로 미숙하다. 반면에, 점순이는 남녀의 애정에 일찍 눈을 떠서 '나'에게 관심을 보인다. 이들의 갈등은 닭싸움을 매개로 하여 점진적으로 고조되어 가다가 점순이의 닭이 죽음으로써 절정을 맞게 되고, 이 사건을 계기로 대립적 관계에 있던 두 사람은 화해하게 된다. 이러한 두 사춘기 남녀의 대비적 성격이 맞부딪혀서갈등을 자아내고 희극적 분위기를 연출하게 된다. 이를테면, 닭싸움은 '나'와 '점순이'의 심리적 관계를드러내는 구성적 장치이다.

닭싸움을 통한 두 남녀의 대립은 자못 긴장된 느낌을 주기도 하지만, 닭의 죽음에서 보여 주는 나의 순박함과 점순이의 영악함의 대비(對比), 그에 이어지는 관능적인 행위들에 의해 긴장감은 해소되고 독자들은 오히려 희극적인 해방감을 맛보게 된다. <동백꽃>은 나에게 시골이라는 곳은 참 정겹구나라는 느낌을 다시금 새기게 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점순이와 나로 인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엔트로피
제레미 리프킨 지음, 이창희 옮김 / 세종연구원 / 200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저엔트로피의 사회가 자원의 낭비와 오염을 줄인다는 말은 옳은 말이다. 현재 세계에서는 화석연료인 석유가 사용연료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 석유 연료가 연소될 때 공기중에 생물에게 나쁜 물질들을 배출하게 되어 엔트로피를 크게 증가시킨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결국 인간의 문명을 발달시키는 동시에 이러한 연료를 태양에너지나 풍력, 조력, 지열 발전 등 엔트로피를 적게 증가시키는 물질로 대체한다면 우리는 더욱 큰 효과를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나는 이 책을 읽고 이러한 '엔트로피'에 대한 연구가 가장 현실과 근접되어 있고 가장 우리 사회에서 필요한 연구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나는 이 '엔트로피'의 증가에 대한 연구와 '저엔트로피' 사회를 만들기가 곧 과학의 목적이라 생각되었고 이를 위해 평생을 바쳐 연구해볼 가치가 있다고 여길 수가 있었다. 어쩌면 과학자의 길로서 가장 큰 목적인지도 모르는 길..... 바로 내 마음속의 무언가를 이끄는 '엔트로피'의 연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조세희 지음 / 이성과힘 / 200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본문에서의 난쟁이의 대사와 같이, 사랑으로 바람을 불러 작은 미나리아재비 꽃줄기에까지 머물게 하는 그런 달나라를 희망하며 이야기는 비극적으로 끝난다. 그때도 행해져 왔고 어쩌면 지금도 일부에서 그렇게 행해지고 있을 그러한 이야기들이 나에게 너무나도 큰 아픔으로 다가왔다. 현실을 알아 간다는 것이 사람들의 생각을 눌러 버리고 작은 난쟁이로 만들어 버리는 것 같다. 그러나 난쟁이들에게는 늘 희망과 사랑이 존재한다. 그런가 하면 난쟁이를 난쟁이이게 하며 난쟁이가 있기에 거인이 거대해 보이는 세상은 여전히 비슷한 모습들이다.

사실, 그런 현실 속에서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하는 질문을 감히 내 자신에게 던질 용기가 없다. 하지만 내 자신이 난쟁이란 사실이 자랑스럽다. 아직 거인들에게 없는 '사랑' 과 '희망'이 내 안에도 숨쉬고 있을 테니 말이다. 거대한 모든 것도 무섭지 않다. 사랑이 있다면 나를 소외시키고, 난쟁이들을 소외시키는 사회 모든 것까지 사랑할 수 있으니 말이다.그리고 아버지가 끝까지 간직하고 싶었던 희망과 사랑을, 쇠공을 내 마음 속에 영원히 간직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대 한국문학대표작선집 2
염상섭 지음 / 문학사상사 / 199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의 우리 나라는 위기에 빠져 있다. 다른 나라에서 몇 백 동안 이루어 놓은 문화를 우리 나라는 몇 십 년만에 받아드려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그 결과, 우리는 서양 문화를 무분별하게 받아드렸고 과소비와 외제만을 좋아하는 풍속이 생겨나고 IMF시대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 내게 되었다. 도덕시간에 배웠듯이 우리는 전통도덕과 서양의 시민 윤리를 조화시켜 우리만의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신세대적 지혜도 필요하겠다.

염상섭의 「삼대」를 읽고 나 아니 우리 신세대들이 너무 우리의 생활방식만이 옳다고 생각하고 기성세대들에게 이해만을 요구했지 않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기성세대들의 이해와 문화의 흐름에 대한 변화도 필요하겠지만 덕기처럼 우리가 신,구세대의 조정자로서 기성세대들의 이야기를 들어봄이 어떨까 이 모두가 신세대가 풀어 나갈 숙제 인 것 같다. 아마도 우리는 덕기처럼 잘 해낼 수 있을 것이다. 아니 해낼 것이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