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 쉬운 우리 아이 성교육 - 성교육 처음 시작하는 부모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
이석원 지음 / 라온북 / 2020년 3월
평점 :

표현을 잘 하지 않았던 소심한 여자친구의 문제로 연애 문제가 끝났다는 일방적인 생각을 했던 저자는 엄마로부터 가장 중요한 인간 관계에 대해 책이라도 사서 공부를 해 보는 게 어떻겠냐는 말을 듣는다.
"학교에서 국, 영, 수 같은 과목은 잘 가르쳐 주는데, 왜 나에게는 여자를 사랑하고 존중하는 법에 대해서는 알려주지 않았을까. 내가 성과 사랑에 대해 알려주는 성 교육을 제대로 받았다면 어땠을까."
아직 결혼하지 않은 그것도 남성이 어떻게 성교육을 잘 할 수 있냐는 질문에 그때마다 저자는 이렇게 대답했다고 한다. 법률스님이 부부 상담을 하듯, 꼭 그 입장이 되어야만 잘하는 것은 아니라고, 그 이유의 첫 번째를 엄마와의 성에 대한 소통을 이유로 들었다. 두 번째로는 따뜻한 공감 능력과 끝없이 노력하는 태도라 말한다. 아이들이 성 상담을 부모에게 하지 못할 때 처음 만나는 자신에게 털어놓는데, 음란물에 중독된 한 중학생 아이가 상담을 받고는 음란물 중독을 이길 힘을 얻었다는 말을 들었다고 했다. 이 부분은 같은 남성의 입장으로 대답해줄 수 있는 부분이 반드시 있기 때문에 성 상담을 하는 이가 여성도 좋지만, 남성일 때는 또 다른 장점이 발휘되는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과거의 성교육은 인식 자체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혹은 성교육 자체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시작점이 너무 느린 경향이 있던 때였다. 지금에야 성교육의 인식이 달라졌고, 빨리 교육 할수록 좋은 방향으로 흐른다는 인식이 절대적이지만...
놀랍고 자극적인 어떻게 보면 있을 수 없을 이야기가 뉴스에 소개된 적이 있었다. 6살 유치원 남자아이가 같은 반 여자아이를 성추행 하고는 엄마에게 말하지 말라며 마이쭈를 건넸다는 것이다. 가해자 아들을 둔 부모나 피해자 여자 아이를 둔 부모 모두 경악을 금치 못했을 것이다. 아직 초등 학생도 안된(초등학생이어도 놀라운데..) 6살 남자 아이가 여자아이의 팬티에 손을 넣은 사실. 이는 무얼 말하는 것일까...
많은 이들이 분개하고 광분했던 이 사건은 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성인이 되기 전, 올바르게 자라나야 할 성에 대한 인식이 트라우마로 남는다는 사실이다. 현재 피해를 받은 딸은 오빠나 아빠도 같은 남성이라는 이유로 가까이 가길 꺼려하고 있다고 한다. 더 큰 문제는 피해를 준 남자 아이가 여자 아이와 불과 몇 m밖에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초등학교도 같은 학교로 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언제까지 이런 성교육에 대한 늦은 인식으로 피해를 만들어야 하는지 답답하기만 하다. 과거와 달리 인터넷을 하는 연령은 점점 어려지고 이제 4살부터 아이들은 인터넷 검색으로 쉽게 연결되는 자극적인 광고과 성에 노출되어 훨씬 어린 유아때 부터 성에 노출된다. 그것은 아이 스스로가 원했든 원하지 않았든 무조건이다. 스마트폰을 보유하지 않아도 인터넷을 할 수 있는 연령대라면 여자아이 남자아이 가리지 않는다. 특히 유튜브의 경우는 무작위의 노출빈도를 보여 특히 위험하다.

생각보다 많은 여자아이들이 피해를 보고 있음은 확실하다. 그것이 가족간의 관계일 경우는 특히나 더 쉬쉬하는 것으로 보인다. 어른들의 입장에서야 너만 조용히 하면 문제없는 일을 왜 들추는 것이냐 하겠지만. 어릴 적 부터 당한 성 범죄에 그 아이가 과연 남성에 대한 인식을 올바르게 하며 클지는 의문이다. 그리고 평생을 그 기억에서 살아야 하는 아이는 또 무슨 죄인가....
page 27.
성교육은 어느날 갑자기" 성교육을 해야겠다" 라고 마음 먹고 시작하는 것이 아니다. 태어나면서부터 부모와 함께 시간을 보내고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모든 것이 성교육이 될 수 있다. 아이에게 성 지식과 함께 규칙에 대해 잘 알려주는 시기는 아이가 어느 정도 의사 표현이 가능한 3~4세가 적당하다.
이 부분은 특히 공감하는 부분이다. 과거 벌어졌던 나이와 달리 현재는 더 어려졌다. 범죄를 아이가 인식조차 못하고, 그저 욕정에 못 이겨 하는 행동이 피해자를 만들고, 그 부모는 자식의 인생을 거들먹 거리며 오히려 가해자인 자식을 두둔하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해 성범죄 만큼은 친족 강간과 아동(10세 이하의 아동) 의 성범죄의 경우는 가중처벌과 최고 형량을 구현해야 한다고 본다.
그렇다면 성교육을 지도하는 방법이 있을까. 부끄럽고 민망해서 교육하기가 힘들다고 대답한 부모들은 저자가 말한 성교육 교재를 구매해 읽어보거나, 저자의 유튜브 강의를 꾸준히 복습 중 이라고 했다. ( https://www.youtube.com/channel/UCyliCYJxjR4arzTmpQ38-zQ/featured ) 유튜브 영상을 찾아 확인해 보니 저자의 강의는 유머스러웠으며, 중요한 부분을 콕 찝어 재미있게 강의 했다. 어린 아이를 둔 부모라면 특히 꼭 영상 한 두개 정도는 확인해봤으면 좋겠다.

책에는. 성교육은 인성교육이며, 아이의 성교육의 주체는 부모이기 때문에 부모가 아이를 위해 성교육을 듣고 가르쳐야 하며, 1970년부터 성교육을 필수 과제로 지정한 핀란드의 성교육에서 배워야 한다고 말한다. 성교육을 주입식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토론을 하며, 역할극을 만들어 상대를 이해하도록 돕는것.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는 방법,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는 핀단드의 교육방식을 차용하는 것도 좋다고 말한다.
빨라진 성범죄만큼 성경험도 빨라지고 있다. 피임에 대해 (질외사정: 남성이 성관계 후 여성의 질 밖에서 사정하는 행위)가 피임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라 잘못 알고 있는 청소년들이 아직도 많다. 차라리 아이들에게 콘돔 사용법을 알려주는게 낮다고 한다. 그리고 음란물을 보는 행위에 대한 대처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훨씬 좋다고 한다. (실제 PC방에서 음란물을 보는 아이들을 본 경험이 있는데. 아이는 생각보다 훨씬 어렸다.;;;)
성교육이 오히려 아이들을 자극하는 것이 아니냐?
9세 남자아이가 자꾸 엄마의 배와 가슴을 만지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아이와 영상을 보다가 부끄러운 장면이 나오는 장면을 봤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아이가 부모의 성관계를 봤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처럼 중요한 질문들에 시원한 대답을 주는 이 책으로 기본적인 성교육의 출발점을 알고, 저자의 의견처럼 거침없는 아이의 성 질문에 더는 난감해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