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람이 조금 변하기까지 이렇게나 많은 장면이 필요하다 - P1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피같은 말에 딱히 집중하지 않게된 지 오래야. 이제는 그저 아워를 생각해. 섣부른 기대와 실망 없이 의젓하게 시간을 맞이하고 흘려보내는 사람이 되고 싶으니까. 평생 못 될 것 같지만 말야. - P1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난 5년간 한 명 하고만 연애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적어도 네 번이상의 연애를 겪은 느낌이었다. 한 사람이랑도 여러 번의 다른 사랑을 하게 된단 걸 지난 연애에서 처음 배웠다. - P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모든 연인은 서로의 광기를 일면 참아주고 있어 - P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 이게 뭐라고
장강명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하는 인간의 아름다움 읽고 쓰는 인간의 질서정연함

말하기의 세계의 나는 무척 어설프다. 거의 평생을 듣고 말했지만 나는 내가 제대로 말하고 있는지 확신하지 못한다. 전달하려는 바가 잘 상대에게 가서 닿는지도 모르겠고 내가 상대를 불쾌하게 하진 않는지 혹은 내가 너무 없어 보이지 않나 불안하다.

읽고 쓰는 세계에서의 나는 비교적 온전하다. 내가 쓰는 문장 안에 생각이 갇혀 버린 것처럼 갑갑함을 느끼곤 하지만 어차피 생각한 만큼만 쓸 수 있고 쓸 수 있는 만큼만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단념해 버리면 마음이 편하다. 말하기처럼 상대의 기색을 실시간으로 살피지 않아도 되고 진심이 아닌 말을 뱉고 전전긍긍할 이유도 없다. 말하는 나는 껍데기이고 읽고 쓰는 내가 진짜라고 생각한다. 까놓고 말하자면 말하는 인간에 비해 읽고 쓰는 인간이 더 우아하다고 내심 우쭐해한다.

그럼에도 말하는 세계의 인간은 무척 아름답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육체 귀를 잡아끄는 목소리 쾌활한 웃음 리드미컬한 문장. 말하는 내용과는 상관 없이 앞에 있는 상대를 압도한다. 내가 갖지 못한 이런 인간적인 매력들을 생각하면 약간 위축되는 기분이 든다.

인류의 스승들은 문자 언어가 아닌 음성 언어로 제자들에게 가르침을 설파했다. 궁극의 진리는 사람이 이해할 수 없는 모순을 품고 있고 인식을 넘어서 미적인 측면이 강하다고 생각한다. 일관성과 논리를 추구하는 글이 아닌 아우라와 아름다움이 강조되는 음성 언어만이 진리를, 아주 일부라고 하더라도 드러낼 수 있는 것 아닐까. 강박적인 논리의 세계를 붙들고 있는 나 같은 바보에게는 허락되지 않은 세상이다.


작가는 미래인과 소통하는 고전의 반열에 오르는 작품을 쓰고 싶다는 뜻을 여러 차례 밝힌다. 고전이고 뭐고 일단 건강해야 쓴다. 작가의 행복을 진심으로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