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자신이 겪지 않은 일은 수백권의 책을 읽는다 해도 겪지 않은 일이다. 겪지않고 책으로 만난 고통이 아무리 크다해도 겪은 이들의 고통에 비교되지 못한다. 고통의 크기가 똑같지 않다해서 간접 고통의 이유가 없는걸까. 아니, 우리는 충분히 고통스러워야 한다. 울만큼 울어야 한다. 더 많은 사람이... 겪지 않은 더 많은 사람이 고통스러워야 하고 울어야 한다. 그래야 세상이 바뀔 가능성이 손톱만큼이라도 더 많아지는 것일테니. 세상은 불공평하다. 그것이 진리일지 모른다. 어디에도 평등은 없다. 누군가는 누군가를 지배하고 올라서려한다. 발밑에 누군가가 고통스럽게 무너지는 것 따위는 관심도 없다. 다수가 소수를 이기지못하는 불합리가 세상에는 분명 존재한다. 언제고 정의가 이긴다는 마징가제트 식 논리로는 부족하다. 서로가 서로를 위해 같이 고통스러워하고 같이 눈물 흘리고 같이 저항해야 한다. 내 나라, 내 가족, 내 일이 아니라고 회피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나’를 넘어 ’우리’를 살리는 일이기 때문이다. 가끔씩 신문을 장식하는 티베트에 관심이 없었다. 중국이 그들을 탄압하던 말아먹던 ’나’와 관련없는 일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이 한권에 동화로 어른인 나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세상을 바꾸기 위해선 알아야 한다. 작가는 이 한권의 책속에 티베트와 과거 일제시대의 우리 모습과 약한자에 대해 담았다. 힘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힘없는 자의 편에 서서 세상을 산다는 것은 멋지기만 한 일은 아닐 것이다. 멋지기만 한 일은 아니지만 가치가 있는 일이다. 우리 아이가 이 책을 읽고 알았으면 하는 것이 바로 그 가치에 대해서이다. 목숨을 걸고 히말라야를 넘었던 보건이의 소망처럼 나도 티베트가 독립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