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질론, 행태론, 상황론으로 발전되어온 리더십 이론은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분명한 리더십 자질이나 행태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다보니 학문적 흥미가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P.292, 유민봉, 『한국행정학』)"
리더십 이론이 다시 주목을 받게 된 것은 1980년대 들어 '변혁적 리더십'이 등장하면서였다. 변혁적 리더십은 transformational leadership을 그렇게 번역해 부르는 것인데, '전환적 리더십'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카리스마 리더십도 실제 내용에 있어 유사한 점이 많아 변혁적 리더십과 구분하지 않고 쓰이기도 한다.
변혁적 리더십에서 주목해야 할 지점은 1980년대라는 등장 시점이다.
1980년대는 신자유주의의 세계적 확산이 본격화되던 시기였다. 1979년 영국에 대처 정부가 , 1981년 미국에 레이건정부가 들어섰고, 이는 이들 국가들에서 신자유주의적 개혁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했음을 의미했다. 리더십 이론이 조직 관리 이론의 한 분야로 연구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신자유주의적인 조직 관리, 신자유주의적인 인간 관리라는 맥락에서 변혁적 리더십을 이해해야 하는 것이다.
흔히 변혁적 리더십을 '거래적 리더십(transactional leadership)'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거래적 리더십 하에서 리더의 역할은 부하의 욕구나 직무수행에 필요한 자원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에 대한 보상과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때, 부하는 보상과 지원에 상응한 노력을 통하여 리더가 제시한 과업목표를 달성하게 된다. 한편, 변혁적 리더십 하에서 리더는 전 구성원이 함께 공유하는 새로운 비전(shared vision)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비전의 제시란 변화의 추구로 읽어도 될 것이다. 이외에도 영감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부하에게 지적 자극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라는 등 변혁적 리더십에 관한 설명은 다양하나, 이를 통해 '평소의 능력을 초월하는 힘을 발휘하도록 동기를 유발'(P. 294)야 한다는 점은 같다.
변혁적 리더십이 공유된 비전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성과주체의 형성'을 읽어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 보았다. 이런 생각을 한 것은 최근 등장한 리더십 이론이 셀프리더십이라는 점 때문이기도 하다. 셀프리더십은 개인 스스로가 자기 자신을 동기부여시켜 자기 과업을 성실히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기존의 리더십 이론과는 리더십을 발휘하는 주체가 아예 다른 듯하다. 말하자면 기존의 리더십 이론이 리더의 리더십을 이야기하고 있다면, 셀프리더십은 부하의 리더십, 리더와 부하를 포괄하는 모두의 리더십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스스로를 착취하는 성과사회의 주체가 바로 이와 같지 않은가. 그런데 무시무시한 점은 이것이다. 셀프리더십이라는 리더십 이론은 '셀프리더를 키우는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변혁', '리더십', '셀프' , 매끈한 말의 설득력이 두렵다고 생각한다면 한병철의『피로사회』를 읽어보아도 좋겠다. 서동진의『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