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잘하는 사람은 논어에서 배운다 - 절대 흔들리지 않는 공자의 일의 법칙
김은애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를 뛰어넘는 베스트셀러를 꼽으라면 『논어』가 TOP 3에 들어가지 않을까. 《일 잘하는 사람은 논어에서 배운다》는 절대 흔들리지 않는 공자의 일의 법칙을 소개한다.

 

子曰 知者樂水 仁者樂山 知者動 仁者靜

자왈 지자요수 인자요산 지자동 인자정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하며,

지혜로운 사람은 동적이고,

인자한 사람은 정적이다.

지혜로운 사람은 즐겁게 살고,

어진 사람은 오래 산다."

논어 論語 옹야雍也

 

저자는 공자가 지혜로운 사람을 '물'에 비유하고, 어진 사람을 '산'에 비유한 의미를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지혜로운 사람은 늘 주변 상황을 호기심 있게 바라보고 배움을 게을리하지 않으며 배운 것을 몸소 익히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한다. 늘 바쁘게 움직이니 즐겁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 공자가 바라본 지혜로운 사람인 것이다. 반면에 어진 사람은 산과 같이 자신을 성찰하고 끊임없이 의심하며 신중을 기하므로, 성정이 고요하고 마음이 평온하여 장수할 조건을 지닌 사람이라 설명한다.

 

더불어 요즘 유행하는 MBTI로 나의 성향을 정형화된 틀에서 정의하기보다 내가 지혜로운 사람인지 어진 사람인지 알기 위해서는 여러 경험을 통해 자기 자신을 온전히 이해해야 한다고 당부한다. 이는 지혜와 인을 모두 갖춘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나 자신이 가장 먼저 바로 서야 한다는 공자의 가르침과도 일맥상통한다.

 

《일 잘하는 사람은 논어에서 배운다》는 커리어, 일의 태도, 일잘러로 성장하는 법, 잘 되는 사람들과의 관계법, 사람을 생각하는 리더십에 대해 짚어본다. 저자는 공자의 가르침의 핵심을 '문행충신 文行忠神'이라 요약한다.

 

문文: 지식을 습득하고 배움에 게으름이 없어야 한다.

행行: 배움에 그치지 않고 실천해야 한다.

충忠: 충실하게 성실해야 한다.

신信: 그 모든 것의 바탕에 믿음이 있어야 한다.

 

문행 충신은 아는 것에 그치지 않고 흔들리지 않는 공자의 가르침을 삶과 일에 적용하며 몸에 체득할 때까지 익혀야 한다는 뜻으로, 공자의 가르침을 몸에 익혀야 비로소 절대 흔들리지 않는 삶을 살아갈 수 있다는 당부의 메시지로 들린다.

 

『논어』는 본디 좋은 이야기가 많아서인지 사회생활과 접목한 저자의 글들은 술술 익힌다.

모든 것은 '나'로 인해 비롯된다는 사실을 되새기며 책장을 덮는다.

 

지금 나는 잘 살고 있는지 고민되는 사람, 보다 더 나은 내일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일 잘하는 사람은 논어에서 배운다》를 찬찬히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