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잼 토론 전략 - 실전 자신감을 키워주는 50가지 방법
김건우 지음 / 푸른들녘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물 실험에 반대하는 사람은 제육볶음을 먹으면 안 되는 걸까? 《꿀 잼 토론 전략》은 학창 시절 동물 실험에 반대한다는 저자에게 '제육볶음 잘 드시던데요?'라는 인신공격으로 저자를 곤란하게 했던 질문으로 시작한다. 재밌게 책장을 넘기다 보면 논리의 패턴이 눈에 들어온다.

 

저자는 토론은 누군가를 죽이기 위한 게임이 아니라, 싸울 땐 진심을 다하되 끝난 후에는 안아주는 게임, '권투'와 같다고 말하며 《꿀 잼 토론 전략》에서 잘 싸우는 방법을 알려준다.

 

우선 논제를 해석하는 방법으로 시작해 논리 구조를 이용해 상대의 의견을 반박하는 방법을, 논리적 오류를 파고드는 법, 토론에 자주 등장하는 패턴 대응법, 통계나 여론조사의 자료를 활용하는 법 등을 소개하며 최종적으로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팁을 전한다.

 

질문을 통해 상대방 스스로 자기 논리의 모순을 드러내게 하는 '소크라테스 문답법', 악어처럼 상대의 논리를 물고 놓치지 않음으로써 약점을 드러내는 '크로커다일 공격', 인신공격에 대처하면서 가정을 통한 반박 등의 전략적 기술과 메타포를 통해 감성을 자극하고, 교차 조사에서 당황하지 않는 방법 등 상대가 절대로 피하지 못할 체크메이트 기술을 알려준다.

 

Chat GPT 시대에 우리에게 요구되는 기본 역량은, 빠르게 생각하고 적절한 질문을 던지는 사고력과 순발력이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유독 질문과 발표에 약한 편이다. 어려서부터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에 익숙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지식을 아는 것에 그치기보다, 인문과 과학 그리고 예술까지 통합해 자신의 견해로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하다. 저자는 이에 가장 좋은 방법이 '토론'이라고 단언한다.

 

《꿀 잼 토론 전략》은 중·고등학생은 물론이고 사회생활을 하는 어른들이 읽어도 충분히 유익한 책이다.

 

우리 사회는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기기도 하고 부조리를 보면서도 넘겨야 하는 상황도 있다. 누군가는 사회생활을 할수록 싸움닭이 되는 이도 있지만, 학창 시절에 논리적이었던 사람도 사회생활의 연차가 길어질수록 싸움하는 방법을 잃어버리기도 하기 때문이다.

 

의견 충돌이 있을 때, 시간이 흐르고 나서야 '그때 이렇게 말할걸!'하며 후회한 경험이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이는 자신의 의견을 적시에 피력하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고 지적하며, 토론 전략을 익히면 이불킥의 상황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꿀 잼 토론 전략》에서 소개한 50가지 토론 전략을 익혀 적절한 상황에 자신에게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는 토론 스킬을 습득하기를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