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다시 만날 것처럼 헤어져라 - 일과 삶을 성공으로 이끄는 인간관계의 기술
조우성 지음 / 서삼독 / 2023년 3월
평점 :
절판


세상에서 가장 힘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것 또한 '인간관계'다. 《마흔, 다시 만날 것처럼 헤어져라》는 베테랑 변호사의 일과 삶을 성공으로 이끄는 인간관계의 기술을 담아냈다.

 

26년 차 변호사인 저자는 인생의 전환점에서 관계 맺고 끊기의 지혜를 깨달았다고 한다. 인간관계에도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이 있다며 관계 기술을 계절에 빗대어 소개한다.

 

관계는 인간은 원래 자기중심적인이라는 명제를 전제로 타인이 자신보다 우선될 수 없는 것은 당연지사이며, 누구나 인정욕구를 지니고 있음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우선 바른 관계는 기본이 바로 서야 한다며 타인에게 호감을 얻는 방법이나 짧은 만남이 더 중요한 이유라든지 돈 저축보다 중요한 것이 인심 저축이라고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설파하면서도 인연이 다한 관계를 아쉬워하며 억지로 잡고 있을 필요가 없다는 단호함을 보이기도 한다. 번뇌만 주는 관계는 잠시 쉬어가는 지혜와 더불어 돌아서야 할 때는 굳이 적이 되어 헤이지거나 냉정하고 칼같이 헤어지기 보다 언제든 다시 만날 것처럼 여지를 남겨두는 정도로 관계 정리의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우리는 흔히 관계가 깊어지려면 자신의 약점을 드러내고는 한다. 때로는 약점을 드러내는 사람이 단단한 사람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기쁨은 나누면 배가 되고, 슬픔을 나누면 반이 된다'라는 이야기는 어쩌다 마주할 수 있는 옛말이 되었다. 우리는 "기쁨을 나눴더니 질투가 되고 슬픔을 나눴더니 약점이 되더라"라는 씁쓸하지만 인정할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현실 속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드라마에서도 "네가 나한테 어떻게 그래!"라는 대사를 숱하게 마주한다. 나에 대해 잘 아는 가장 가까운 사람이 가장 아픈 공격을 하는 게 세상이다. 지혜로운 사람들이 최대한 말을 삼가고 애당초 자신이 공격당할 빌미를 제공하지 않고 살아가는 것도 이와 비슷한 이유일 터. 혹 관계를 오래 유지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징징거리기보다는 유익이 되는 이야기로 더 많은 시간을 함께하고 싶은 사람이라는 인상을 심어주는 것이 올바른 관계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마흔, 다시 만날 것처럼 헤어져라》는 수많은 사람을 만나는 변호사의 직업 특성상 대인관계에 대해 고민하며 살아올 수밖에 없었을 저자의 인생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인간관계는 설령 기버로 잘 퍼 준다 한들 유지되는 것도 아니고, 내 마음대로 되는 것도 아님을, 칭찬과 격려의 차이 등 관계의 내공을 엿볼 수 있다.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에피소드로 활용되기도 했다는 저자의 전작 <한 개의 기쁨이 천 개의 슬픔을 이긴다>도 읽어보고 싶어진다.

 

나이가 들수록 변하지 않는 관계란 없다는 것을 몸소 느껴와서 인지 관계에 연연하지 않는 편이다. 마음속 거리 두기를 잘하기는 하지만, 냉정하게 돌아서기도 한다. 그래서 《마흔, 다시 만날 것처럼 헤어져라》에서 헤어질 것을 알기에 현재에 최선을 다하고 다시 만날 것처럼 여지를 남겨두며 잘 헤어져야 한다는 저자의 말이 지혜롭게 들렸다. 내 인생을 더 풍요롭게 하기 위한 관계의 나무를 잘 가꾸기 위해 어떤 가지를 어떻게 정리하고, 어떤 가지를 더 키워낼 것인지 잘 판단하며 살아가야겠다고 다짐해 본다.

 

"아픈 손가락을 드러내지 마라. 당신이 아픈 손가락을 먼저 나서서 드러내는 순간 모두가 그곳을 찌를 것이다."라는 중세의 현자 발타자르 그라시안의 말을 마음에 새기며 풍요로운 삶을 위한 관계의 정리 기술을 적용해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