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논어를 만나 행복해졌다 - 나로 살아가기 위한 든든한 인생 주춧돌, 논어 한마디
판덩 지음, 이서연 옮김 / 미디어숲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천만 독자의 독서회 리더 판덩의 '인생 논어 시리즈 3부작'의 마지막 책 《나는 논어를 만나 행복해졌다》는 논어의 핵심 진리이자 공자의 지혜와 성품이 잘 녹아있다.

 

우리는 힘에 겨울 때 고전을 찾게 된다. 저자 역시 불안할 때 논어를 읽었다. 논어가 자신을 살렸고 논어를 통해 행복해졌다며 우리는 인생의 불확실성을 받아들일 때 비로소 변화에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인생사 모든 일이 계획한 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운명이 우리를 어디로 데리고 가든지 우리는 자신의 길을 창조하고 개척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인생을 가장 편안하고 효율적으로 살아가는 방식이자 논어의 핵심이다.

 

학여불급, 유공실지

學如不及, 猶恐失之

 

태백(泰伯) 편에 나오는 '학여불급, 유공실지 學如不及, 猶恐失之'는 '늘 부족하다는 마음으로 열심히 배우고, 배운 것을 잃어버릴까 두려워하며 소중히 간직하라'라는 뜻으로, 인생에는 끝이 있지만, 배움에는 끝이 없다며 평생 배움에 정진했던 공자의 세계관이 잘 드러난다.

 

부지런함으로 학문에 존중을 표하는 공자는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제자 안회로부터도 많은 배움을 얻었다.

특히 공자는 제자들에게 '안회처럼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돼라'라고 주문했는데, 안회가 배움을 포기하지 않을 수 있었던 비결은, 배움을 '수단'이 아닌 '본질'로 여겼기 때문이라고 한다. 입신양명을 꿈꾸며 공자를 스승으로 여기던 다른 제자들과는 달리, 안회는 매일 배우는 과정을 즐겼는데, 이것이 바로 지식을 탐구하는 즐거움이라는 것이다. 안회는 '지지자불여호지자, 호지자불여락지자'를 실천한 인물이자 요즘 단어로 말하자면 몰입의 즐거움을 아는 인물이었던 것 같다.

 

일상을 살아갈 때 중용의 마음가짐으로 살아가기, 안회처럼 배움을 본질로 생각하고, 항상 좋은 사람이 되는 법, 어진 사람이 되는 법을 탐구하고 수련하면서 더욱 나은 사람으로 변화시켜가야겠다고 다짐해 본다.

 

《나는 논어를 만나 행복해졌다》는 논어의 백미인 술이(述而) 편, 태백(泰伯) 편, 자한(子罕) 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공자의 인품이 잘 드러나 있다. 공자의 지혜와 처세를 쉽게 알고 싶은 분이라면, 판덩의 인생 논어 시리즈를 만나보시길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