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기 쉽게 풀어쓴 현대어판 : 인간혐오자 ㅣ 미래와사람 시카고플랜 시리즈 5
몰리에르 지음, 김혜영 옮김 / 미래와사람 / 2022년 12월
평점 :
현재 우리 사회의 이슈 중 하나가 혐오 사회라서 일까. 몰리에르의 대표작 《인간 혐오자》가 400년이라는 긴 시간이 무색하게 괴리감 없이 다가온다.
비열한 아첨과 부당한 행위, 배신, 교활함에 치를 떠는 알세스트는 위선이 팽배한 세상을 혐오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교태를 부리고, 다른 사람들을 헐뜯기를 일삼는 요즘 세상 사람의 모습을 단적으로 잘 보여주는 여인, 사교계의 많은 귀족들에게 구애받는 아름다운 어린 과부 셀리멘을 사랑한다.
"완벽한 이성을 지니고 싶다면 생각이 극단적으로 치우치지 않게 절제할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해. 아득한 옛날의 미덕을 고집하면서 너무 뻣뻣하게 버티면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와 충돌할 수밖에 없어. 사람들에게 완전무결하기만 바라면 안 돼. 아집만 내세우지 말고 시대에 유연해져야지. 세상을 고쳐 볼 생각만 하고 관대해지지 않는다면 그건 그저 미쳐 날뛰는 광기에 불과해" p.18
한편, 불편한 소송에 휘말렸음에도 불구하고 알세스트는 타인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침착하라는 친구 필랭트의 조언에도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고, 셀리멘의 도움을 청하려고 셀리멘의 살롱을 방문한다. 예상치 못한 손님들과 맞닥뜨리면서 얽히고설킨 관계들이 수면 위로 드러난다. 사랑을 쟁취하기 위한 오롱트와의 소네트 논쟁은 법원에 제소되는 빌미가 되고, 셀리멘의 마음을 확인하고 싶었던 알세스트는 어장관리하며 배신을 일삼는 셀리멘의 진면목을 마주하며 사교계를 떠나고 싶어지는데...
스무 살 셀리멘의 살롱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희극 《인간 혐오자》는 사랑과 권력, 배신 등 당대 사교계의 민낯을 들춰낸다. 자신의 마음을 정확히 표현하지 않고 사람의 감정을 저울질하는 셀리멘, 자신의 부와 권력을 이용해 사랑을 경쟁하려는 귀족, 이득을 위해서라면 기만과 배신을 일삼는 인간들의 전형이 녹아있다.
비록 귀족 신분임에도 사교계의 관습과 부패한 사회에 분노하며 인간을 혐오하는 알세스트지만, 타락한 여인을 자신의 사랑으로 깨끗하게 만들 수 있다 여기는 것 또한 연약한 인간의 한 단면인 교만함이 아닐까. 교만의 끝은 외로운 결말임을 예상할 수 있는데... 과연 셀리멘은 어떤 귀족을 택할는지, 몰리에르는 《인간 혐오자》를 열린 결말로 마무리한다.
《인간 혐오자》는 짧은 운문 형태라 쉽게 읽혀 가독성도 좋지만, 귀족들의 오가는 멘트가 현재와 다를바 없다는 사실에 읽어 볼 가치가 있는 작품이다.
올해가 17세기 프랑스 고전 희곡의 완성자 몰리에르의 탄생 400주년이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몰리에르 400주년을 기념해 「타르튀프」, 「인간 혐오자」의 희극 공연이 연출되었었다. 인간이 살아가는 세상에 위선 없는 세상이 존재하지 않을 테니 몰리에르의 작품은 시간이 흘러도 두고두고 회자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그렇기에 고전 중의 고전으로 꼽히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