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빠르게 실패하기
존 크럼볼츠.라이언 바비노 지음 / 스노우폭스북스 / 202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현재의 자신보다 더 의미 있는 사람이 되고 싶어 한다.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더 의미 있는 사람을 만들어줄 그 무언가를 찾기 위해 20년간 진행한 〈인생 성장 프로젝트〉의 결과물이기도 한 《빠르게 실패하기》는 천 개의 성공을 만든 작은 행동의 힘에 대해 이야기한다.
지금 보다 더 의미 있는 사람으로 만들어줄 그 무언가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시작한 인생 성장 프로젝트는 일반인은 물론이고, 연구진, 유명한 학자 그리고 성공한 CEO까지 포함하여 해답을 찾아냈다.
바로 '빠르게 실패하기'이다.
일반적으로 성공하는 사람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완벽한 계획을 세우는데 많은 공을 들이고 그 계획을 실행으로 옮겨 성공의 단계까지 도달했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오히려 정반대라고 한다. 그들은 계획하는데 적은 시간을 사용하고 행동하는데 많은 시간을 사용했다. 계획을 하며 시간을 보내기보다 세상에 나가서 새로운 것을 시도해 실수하고 실패하며 얻은 경험과 기회들이 쌓여서 얻는 무언가를 중시하는 것이다.
《빠르게 실패하기》는 스탠퍼드 평생교육과정에서 20여 년 동안 연구해 온 9개의 핵심 내용들을 토대로 9개의 챕터로 사례와 실험 결과를 소개한다.
지금 바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일인가?
가능한 더 빨리 시작하고 최대한 더 많이 실패하십시오.
성공의 본질은 무엇인가?
언제나 따라다니는 저항의 속성에 맞서라.
철저한 준비와 계획? 그건 그저, 지금 생각일 뿐
몸 사리며 인생을 살아야 할 이유가 있는가?
좋아하지도 않는 일에 인생을 낭비하지 마라.
해답을 발명해 줄 수 없다. 그저 옳은 질문으로 해답을 드러내는 수밖에
배경이나 관점이 전혀 다른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가라
이처럼 성공한 사람들은 실패를 피할 방법을 찾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으며 오히려 능력과 지식의 한계를 드러낼 기회를 찾는데 시간을 쓰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무엇이든 재빨리 배우게 만드는 동인이 되는 동시에 미숙한 준비야말로 성장을 위한 최적의 조건임을 깨닫게 해준다. 이와는 반대로 실패하는 사람들은 준비가 되지 않으면 시작해야 하지 않는 신호로 여기며 계획을 새롭게 세우고 준비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쏟아붓고 있었다.
실패를 거듭해 성공한 사례로는 세계적인 커피전문점 스타벅스의 설립자 하워드 슐츠의 성공 스토리가 유명하다.
현재의 스타벅스가 있기까지 수천 가지의 실수와 실패의 실험과 개선의 과정이 있었다. 스타벅스 설립 당시 미국 소비자들에게 이탈리안 커피숍의 경험을 체험하게 한다는 전략으로 바리스타는 나비넥타이를 착용하고 오페라 음악을 틀고 심지어 메뉴판도 이탈리아어로 제작하기도 했다고 한다. 지금의 스타벅스 콘셉트가 되기까지 스타벅스 역시 소비자들에게 외면받는 시기도 있었으나 많은 시행착오들을 겪어낸 덕분에 전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커피숍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실패의 어머니라 불리는 토머스 에디슨 역시 1만 번의 실패 경험을 통해 전구를 발명했다. 실패라는 과정을 통해 성공의 불확실성을 하나씩 하나씩 제거해 나가면서 결국에는 인류에게 전구라는 위대한 발명품을 내놓은 것이다.
실패는 부끄러운 것이 아닌 당연한 과정이며 이 과정 없이는 어떠한 목표도 끝에 도달하기 불가능하다. 끈기 있게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것은 중요하다. 단, 빠르게 실패하라는 제목처럼 빠르게 성공하기 위해서는 빠르게 실패해야 한다는 사실을 짚어준다.
완벽주의를 표방하면 귀찮음과 게으름이라는 함정에 빠지기 쉽다. 계획 세우고 수정하는 데 시간을 할애하기보다 실패하더라도 일단 시작하는 태도로 바뀐다면 성공에 한 걸음 더 다가가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