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을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 그리스신화에서 그리스도교까지
안계환 지음 / nobook(노북)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럽에 가면 그리스 신화와 종교화가 도처에서 만날 수 있다. <유럽을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저자는 유럽을 두 가지 키워드로 압축하여 그리스 신화 그리스도교로 해석해나간다.

 

유럽 러버의 한 사람으로서 유럽의 기원이 황소를 타고 크레타로 건너왔다는 페니키아 공주 에우로파 이름에서 시작되었듯, 유럽은 그리스 신화와 떼어놓을 수 있다. 그래서 그리스 신화를 이해할수록 유럽을 바라보는 시각도 이해도 깊어지게 되는 동시에 유럽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신화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저자는 그리스 신화를 시작으로 신화가 유럽에 미친 영향들을 소개하면서 유럽의 역사를 짚어본다. 헬라인에게 빼놓을 수 없는 철학과 문화를 거쳐 그리스도교의 탄생으로 이어져 중세 시대를 거쳐 종교 개혁에 이른다. 그리고 오늘날의 종교문화를 둘러보며 신화와 그리스도교와 함께해 온 유럽을 살펴본다.

 

그리스 신화는 헬라 문화 기반에서 탄생한 그리스도교로 이어진다. 제우스는 야훼로, 동방의 여신 숭배 문화는 마리아 존숭 사상으로 이어지고, 천상과 지상을 오기는 헤르메스는 대천사 가브리엘 천사와 닮았다고 해석한다. 그러나 헬라인은 인간을 세상의 중심에 두기에 신의 모습과 본성도 인간과 크게 다르지 않은 반면에 그리스도교는 절대적 창조주라는 점이 그리스 신화와 그리스도교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 주장한다.

 

그래서일까 막장의 전형이라 느껴지는 그리스 신화를 읽다 보면 인간보다 잔혹한 신들의 질투에 묘하게 빠져들게 되지만, 그리스도교의 역사에 대해서는 종교를 지니지 않는 한 어렵게 느껴진다. 이에 대해 저자는 우리가 서양 철학을 배울 때 이해하기 어려운 면이 많은 건 그 배경에 담긴 그리스도교를 다루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유럽 문화의 거의 모든 것이 신화와 그리스도교를 기반으로 하고 철학도 이를 기반으로 성장 발전했기에 유럽인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리스도교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는 만큼 보이는 게 역사와 문화이듯, 유럽 문화의 정수를 느끼고 싶다면, 그리스 신화와 그리스도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하늘길이 열렸으니 로마나 그리스를 비롯해 유럽 여행을 계획하고 있거나 유럽에 대해 이해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유럽을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를 정독하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