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 필로소피 - 아침을 바꾸는 철학자의 질문
라이언 홀리데이.스티븐 핸슬먼 지음, 장원철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 루틴에 하나의 항목이 추가되었다. 바로 QT 하듯 '매일 아침 철학 한 문장 읽기'다. 미라클 모닝하면서 아침 시간에 여유를 확보하고 아침을 깨우는 말씀에 이어 실용적인 지혜로 채우고자 시작한다. 『데일리 필로소피』는 스토아 학파 철학자들의 명문장을 하루에 한 문장씩 소개하며 삶에 적용시키기를 권하기에 아침을 여는 철학책으로 안성 맞춤이다.

 

지난 봄 『스토아 수업』으로 우리의 삶에 철학을 깊숙이 스며들게 한 저자 라이언 홀리데이는 매일 하루에 한 문장씩 소개하며 삶에 적용하기 쉽도록 해설을 더한 신작 『데일리 필로소피』로 돌아왔다. 저자는 기계적인 반복을 타파하기 위해서 철학을 공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1년의 주기에 맞춰서 1분기를 철학자처럼 아침을 시작하는 법으로 시작해 나를 지키면서도 단단하게 관계 맺기, 지치고 불안한 마음에 용기를 더하는 말들, 매일 저녁 나의 하루를 의미있게 만드는 질문들로 분기별로 나누어 자신을 돌아보고 단단하게 만들어 가도록 구성했다.

 

"철학은 이때 시작된다.

자신의 지배적 도덕원칙에 관해 분명하게 인식하기 시작할 때."

-에픽테토스, 대화록, 1.26.15

 

이처럼 철학은 인간을 인도하는 합리성을 훈련하고자 할 때, 감정과 믿음 그리고 누구나 인정하는 진리에 의문을 품게 되었을 때 비로소 철학이 시작된다고 한다. p.75

 

여전히 수많은 이가 스토아 철학을 찾는 이유는, 스토아 철학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가치가 아니라 일상을 살아가는 데 쓸모있는 실용적인 답을 찾는 학문으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 데일리 필로소피는 이미 익숙한 문장들이지만, 주옥같은 문장들이라 여전히 한번에 소화하기는 버겁다. 다시 하나하나 곱씹으면서 소화시키고 싶어 성경책과 함께 침대 맡에 자리해 놓았다.

 

황제가 되려고 하지 말라. 권력에 물들지도 말라. 이런 일은 당신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순하고, 선량하고, 순수하고, 품위있고, 가식 없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라. 정의의 친구가 되고, 신을 공경하고, 자애롭고 다정하며, 맡겨진 임무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되도록 하라. 철학을 공부하면서 희망했던 사람이 되고자 최선을 다하라. 신을 두려워하고 이웃을 돌보라. 인생은 짧다. 우리가 삶에서 거둬들여야 하는 수확물은 건강한 인격과 공공의 선을 위한 행동이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6.30 p.112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우리가 알다시피 황제이자 당대 최고의 부자였으며 가장 강력한 군대를 이끄는 장군으로 로마 시민에게 신으로 추앙받던 인물이었다. 그의 명상록은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였기에 권력과 부의 정점에서 자신의 자리를 지킬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우리가 정점에 이르고자 하는 이유는 자유를 얻기 위함이지만, 정작 성공과 부의 정점에 이른 이들의 삶을 살펴보면 그들의 성취는 자유의 댓가임을 목도하게 된다.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이고, 나는 무엇을 위해 달려가고 있는걸까. 나의 삶이 좋은 습관으로 채워져 보다 유익한 삶이 되길 바라며 스토아 학파의 기본 원칙을 되새겨 본다.

 

★스토아 학파의 기본 원칙★

- 정확하게 인식하라

- 적절하게 행동하라

- 통제할 수 없는 것들은 기꺼이 받아들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