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시장의 포식자들
장지웅 지음 / 여의도책방 / 2021년 10월
평점 :
절판
금융시장에도 강한자만 살아남는다는 정글의 법칙은 적용된다. 오히려 정글보다도 더 철저하고 무자비하다. 다수의 금융시장 거래가 상대방을 알지도 못하며 볼 수도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니 자비라는 감정이 발동할 리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금융시장에서 살아남아 금융시장 생태계를 평정하고 있는 피라미드 상단에 위치하는 상위 포식자들은 어떤 식으로 생각하고 행동할까?
<금융시장의 포식자들>은 금융시장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포식자들의 마인드와 그들의 먹잇감이 되는 피식자들의 마인드를 과거 실제 사례들을 통해 비교하여 개인투자자가 금융시장의 포식자 마인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내용들로 담겨있다.
금융시장의 포식자들은 포식자 대기업, 포식자 행세하는 피식자 노조, 포식자 기관, 포식자 글로벌 기업, 포식자 이웃나라와 일본과 중국으로 다섯 챕터로 구분돼 있다.
포식자 대기업 편에서 한국 대기업의 승계 과정에서 불거지는 문제들에 대해서 포식자와 피식자의 프레임으로 바라보는 부분이 신선했다. 현재 대한민국의 상속법상 상속가액의 절반을 국가에 세금으로 납부하게 되어있다. 3대가 가업을 승계하려면 반의반을 납부하게 되는 구조인데 지분 50% 이상 확보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해서 기업의 경영권 승계가 어렵다. 한마디로 3대가 기업을 승계 받으려면 정상적인 방법으로 힘든 구조인 것이다. 그렇다면 3대부터는 전문경영인에 의한 경영이 불가피 한데 이것이 과연 투자자의 입장에서 유리한 것인가 저자는 질문한다.
삼성 창업주인 이병철 회장이 반도체 산업을 진출을 모색할 때 삼성 내부에서도 반대가 극심했으며 한국개발연구원은 인구 1억 명 이상이며 1인당 국민소득 1만 달러 이상인 선진국에서나 가능한 사업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을 정도이다. 하지만 무모한 도전이라는 냉소를 뚫고 뚝심 있게 자신의 모든 것을 밀어붙인 오너 경영인의 용단이 없었다면 대한민국의 반도체 강국의 이미지는 없을 것이다. LG의 구본무 회장도 1995년 2차 전지 사업을 시작하여 매년 2000억의 적자를 보면서도 미래에 대한 선구안을 믿고 지속적인 투자를 감행한 결과 LG화학은 세계 1위 2차 전지 제조사로 변모했다. 과연 매년 2000억 원의 적자를 내는 전문경영인을 주주들이 내버려 두지도 않겠지만 전문경영인 스스로도 될지 안될지 모르는 미래에 대한 투자를 시도조차 하지 않을 것이다. 과거 30년 동안 삼성전자와 LG화학 주가의 엄청난 상승을 보면서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치는 오너 경영인과 당장의 실적에 급급한 전문경영인 중에 투자자에게는 누가 기업의 키를 가지는 게 유리한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한다.
금융시장에서 개인투자자는 피식자의 입장이다. 정보력도 자금력도 무엇 하나 월등한 것이 없다. 그래서 운이 좋아서 몇 번은 살아남을지 몰라도 최소한 포식자의 생각과 마인드라도 알아야 지속적으로 살아남을 수 있다. 금융 투자와 더불어 모든 투자에 앞서 포식자들의 마인드를 먼저 파악하고 그들의 흐름을 따라가는 자세로 지속적으로 살아남는 투자자들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