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니체와 함께 산책을 - 세상의 속도에 휩쓸리지 않고 나를 여행하는 법
시라토리 하루히코 지음, 김윤경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1년 9월
평점 :
위대한 철학자들의 명상법은 제각각이다. 니체는 산책 중에 삶의 기쁨을 발견하고, 괴테는 밤하늘을 보며 감각을 되찾았으며, 릴케는 길가의 꽃을 보며 시를 체험했다. <니체와 함께 산책을>은 위대한 사상가들의 일상 명상법을 통해 세상의 속도에 휩쓸리지 않고 나를 여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진정 위대한 모든 생각은 걷기로부터 나온다"_니체
<니체와 함께 산책을>의 1부는 니체, 릴케, 괴테 등 철학자의 명상법을 살펴보며 일상에서 나를 여행하는 기술을 배우고, 명상이 우리에게 주는 것들을 살펴보면서 나의 영혼을 되찾는 시간을 가지라고 말한다. 2부에서는 일상에서 얻은 깨달음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나만의 가치관을 창조하고, 관조와 명상을 생활화하며, 누구나 자신을 구원할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우선 관조, 명상, 초월에 대해 짚어본다.
관조는 사고와 감정을 배제하고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다.
명상은 사고를 멈추고 무언가에 집중하는 상태다. 언제나 관조와 연결된다.
초월은 깨달음으로 관조와 명상이 깊어지면 깨달음에 이르기도 한다.
명상은 생각의 눈을 감는 것으로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고,
무언가를 눈으로 보더라도 거기에 의미를 두지 않는 일이다.
바쁨의 미학을 즐겨왔던 터라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세상에서 제일 어려운 것 같다. 뇌에 휴식을 주기 위해서라도 멍 때리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휴식을 취하려고 가만히 누워도 내 머릿속은 항상 무엇을 할지 생각하거나, 책을 읽거나, 스마트폰을 들여다보고 있으니 말이다.
코로나로 반강제적 집에 머물면서 미타임의 중요성을 다시 느꼈다. 자발적인 고독의 시간이 중요함을 알면서도 스마트폰에서 자유로워지는 게 쉽지는 않았지만 최근에는 집에 머무는 시간에는 휴대폰을 무음으로 하고, 따스한 차 한 잔과 함께 책에 빠져드는 고독의 시간을 즐긴다. 이 미타임 덕분에 친구와의 수다 그리고 여행의 재미가 아닐지라도 책으로 떠나는 여행을 만끽하며 코로나 블루를 겪지 않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
<니체와 함께 산책을>에서 저자는 세상사에 늘 얽혀있으면 관조와 명상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 관조와 명상의 기본자세라고 한다. 머리로 이해하려고 하기보다 현재를 즐기며 느낌으로써 깨달음을 얻는 3-step이 나의 습관이 되기를 바라본다. 언제 어디서나 자연스럽게 빠져들 수 있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 명상을 즐기며 오롯이 나를 마주하는 나만의 시간이 습관화되면 어떠한 시련을 마주할지라도 버틸 수 있는 단단한 마음의 소유자가 될 테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