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래의 부 - 인공지능 시대, 돈은 어떤 모습으로 다가오는가
이지성 지음 / 차이정원 / 2021년 7월
평점 :
인공지능, 5g, 메타버스, 자율 주행, 드론과 같은 4차 산업시대 용어들이 이제는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우리는 생활 속에 자리 잡아가고 있다. 눈앞에서 빠르게 세상이 변화하고 있는데 자신은 미래를 위한 준비 또한 변화해야 하는 게 맞는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자신의 미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꿈꾸면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R=VD라는 공식으로 유명한 <꿈꾸는 다락방>으로 베스트셀러에 오른 이지성 작가가 3차 산업 시대와는 다른 새로운 인공지능 시대에는 새로운 부의 흐름을 타야 한다고 한다고 <미래의 부>라는 책으로 돌아왔다.
저자는 과거에 우리가 알고 있는 노후준비 부동산, 연금으로는 미래에 편안한 노후를 보장받기 힘들다고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과거 부르는 게 값이었던 강남역, 홍대, 청담동과 같은 주요 대표적인 상업 부동산들이 공실이 폭발적으로 늘었다고 한다. 또한 재택근무의 확산으로 사무실의 축소 또는 중심지역 이전 현상도 동시에 이루어져 상업 부동산에 대한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코로나19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4차 산업 변화 속의 새로운 변화 속의 자연스러운 흐름이라는 것이 더 큰 문제이다. 그래서 미래에는 더 이상 부동산으로 월세를 받는 구조가 안정적인 노후수단이 되지는 못할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다음은 연금이다. 대한민국이 고령화 사회에 들어섰다. 그 말은 평균수명 늘어남에 따라서 국민연금 공단이 마법을 부리지 않는 이상 언젠가는 연금이 감당 못할 시기가 온다는 것이다. 통계청에서는 연금이 2045년이면 고갈될 것이라고 한다.
기존에 우리가 생각했던 방법으로는 노후준비가 어렵기에 이지성 작가는 노후준비의 원동력을 미국 우량 주식 장기투자에서 찾았다고 한다. 장기투자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저자는 최소 30년 이상을 말한다. 이 책에는 워런 버핏의 최선호 주인 코카콜라의 장기투자 이야기가 나온다. 당신이 1919년에 돌아가서 코카콜라 1주 40달러를 사서 100년이 흐른 뒤인 2019년 40달러는 35만 9332달러로 불어 난다. 여기에 100년간 배당금을 재투자했다면 40달러가 1030만 달러 이상으로 한화로 123억 원 이상으로 늘어난다. 이것이 미국 우량 주식 장기 복리 투자의 기적이며 미국의 장기 투자 시스템이다.
앞으로 우리가 노후를 여유 있게 보내기 위해서는 과거의 코카콜라 같은 주식을 사서 수십 년간 배당을 받으며 투자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투자해야 한다. 저자는 4차 산업 선도 섹터인 반도체, 테이터센터, 클라우드, 5G, 자율 주행, 헬스케어, 등에서 미래의 부를 창출하는 곳으로 보고 있다. 미래의 코카콜라를 찾아서 복리의 마법을 누리며 인생의 노후준비를 시작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