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피보팅 - AI는 어떻게 기업을 살리는가
김경준.손진호 지음 / 원앤원북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I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AI 피보팅>은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디지털 격변기에 AI는 어떻게 기업을 살리는지 알아보며 기업의 생존을 위한 7가지 전략에 대해 알아본다.

코로나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며 앞으로 기업의 격차는 디지털화에 달려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디지털 사업 모델로 혁신하기 위해서는 기존 사고방식에 한계가 있음을 직시하고, 그동안 누적된 관행과 산적한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인간의 기본적 교류 방식이던 콘택트 형식이 코로나19와 아날로그의 디지털화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하며 언택트 방식이 일상화되었다. 코로나19가 종식된다고 하더라도 언택트 방식의 편리함을 뒤로하고 다시 콘택트로 가기보다는 언택트와 콘택트 방식의 상호보완적인 딥택트 Deeptact 방식으로 대면과 비대면, 오프라인과 온라인,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접촉으로 확장될 것이라 예상하는 것이다.

디지털 피보팅이란 '업의 본질'을 유지하되 가치를 만들고 전달하는 방식의 변화다. DX(DIGITAL EXCHANGE)시대에 디지털 피보팅을 위해 AI가 지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인사이트 Insight, 인테그레이션 Integration, 임플리멘테이션 Implementation이 필요하다. AI 기술이 대중화되면서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경험을 바탕으로 축적된 직관, 노하우를 의미하는 통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AI 피보팅>은 기업의 생존을 위한 AI 디지털 전략 7가지를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1. 빅데이터로 빅 싱크 하라.

2. 선택이 아닌 필수다.

3. 전통적 아날로그 영역일수록 기회는 크다.

4. 세부 전술로 시작해서 포괄 전략으로 확장하라.

5. 기술은 필요조건 수용성은 충분조건

6. 외부 기술과 내부 경험을 연계하라.

7. 조직 문화와 리더십의 피보팅을 병행하라.


저자는 카이로스 관점에서 2020년은 아날로그의 종언과 디지털 신질서 확산의 분기점이었다고 말한다. 영역을 불문하고 AI와 디지털 기술이 주도하는 구조적 변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AI 전략은 개발자가 아닌 실무자들을 중심으로 이해하고 접근해야 하며, AI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앞으로 기업에게 주어진 과제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