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제2국면 - 코로나 롱테일, 충격은 오래간다
우석훈 지음 / 문예출판사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 팬데믹 현상이 발생한 후 서점에는 코로나19와 관련된 수많은 책들이 쏟아져 나왔다. 당시에는 코로나19라는 처음 보는 질병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했기에 다룰 수 있는 내용은 한계가 있었다. <팬데믹 제2국면>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선언되고 백신이 나온 후 시점을 기준으로 코로나19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데이터를 가지고 현재를 판단하고 그 흐름의 연장선에서 미래를 예측했다.

<팬데믹 제2국면>에서는 과정을 네 가지 국면으로 나누었다. 코로나 백신이 등장하기 이전까지를 제1국면, 선진국에 백신이 보급되기 시작하는 제2국면, 개발도상국과 일부 저개발 국가에도 백신 접종이 보급되는 제3국면, 아프리카와 저개발국가에 보급이 되는 제4국면으로 나누었다. 국면을 나누는 기준을 백신으로 현재 제2국면에 위치하고 있다.

2000년 이후 인류에 2002년 사스, 2009년 신종플루, 2015년 메르스, 2020년 코로나19라는 전염병들을 대략적으로 5년을 주기로 나타났다. 세계적으로 대유행하는 전염병이 진화를 거듭하며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WTO의 예측대로 2~3년 뒤에 코로나19가 종식이 된다 해도 저자는 이러한 유행성 전염병은 앞으로도 변이되어 나올 수 있다고 한다. 즉 팬데믹은 이제 잠시 왔다가 사라지는 일시적 재난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오는 주기형 재난이라고 말한다.

주기형 재난은 앞으로 사회의 사회적 계급 또한 변화 시킨다고 한다. 우리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바뀐 사회 모습 중 단연 눈에 띄는 것은 직장의 재택근무의 확대다. 원격근무가 가능한 전문직, 관리직, 기술직들은 팬데믹 상황 속에서 소득이 감소하는 게 아닌 오히려 증가했다고 한다. 저자는 미래에 재택근무자들이 사회에서 제1계급이 될 거라고 말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충격 속에서 이제 팬데믹이라는 단어는 우리의 일상에서 익숙한 단어가 되어 버린 지 오래다. 하지만 팬데믹 속에서도 새로운 기회를 잡아 성장하는 분야도 새롭게 생겨나고 있다. 코로나19팬데믹을 변곡점의 기회로 삼아서 성장의 디딤돌로 삼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