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 플라톤의 대화편 현대지성 클래식 28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크라테스는 절대적인 불변의 진리를 추구하며, 질문과 대화를 통해 사람들의 무지를 일깨웠다. 그러나 기원전 399년 '청년들을 부패시키고, 나라가 믿는 신들이 아니라 아테네 사람들이 알지 못한 새로운 잡신들을 믿는다'라며 불경죄와 청년들을 부패시킨 죄로 고발되어 재판을 받았다. 죽음에 이를 때까지 자신의 사상과 철학을 지조 있게 지키며 서양 철학의 아버지로 자리매김했다. 소크라테스는 죽을 때까지 저서를 남기지 않았으나 그의 수제자 '플라톤'에 의해 소크라테스의 사상이 전해졌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변명>에는 불경죄로 고발된 소크라테스의 1차 변론과 2차 변론, 사형선고 후의 3차 변론으로 구성했다. 소크라테스는 청년들이 자신의 행위를 모방한 것뿐이기 때문에 청년들을 부패시켰다는 고발이 거짓이라 주장한다.

어떤 사람이 죽음을 두려워한다면, 그는 지혜로운 것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지혜롭지 않으며, 무엇을 아는 것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에게 허락된 모든 복 중에서 죽음이 최고의 복일 지도 모르는데, 사람들은 마치 죽음이 최악의 재앙임이 확실한 것처럼 죽음을 두려워합니다. 그런데 자기가 알지도 못하는 것을 안다고 생각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비난받아야 할 무지가 아닐까요?

<크리톤>은 소크라테스의 절친한 친구로, 사형선고 이후 소크라테스를 찾아가 탈옥을 권유한다. 만일 소크라테스가 죽는다면 "자신이 소크라테스를 살리기 위해 돈을 많이 썼다면 살릴 수 있었을 텐데라는 소리를 들을 것이고, 자신을 친구보다 돈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욕을 먹을 것이다." 그리고 소크라테스가 죽음을 택한다면 그를 고발한 이들을 돕는 행위가 되는 것이고 마지막으로 자식들에 대한 도리를 다하지 못한 것이라며 탈옥하라고 권한다. 그러나 이에 소크라테스는 탈옥할 수 없는 이유로 법에 복종하기로 했으나 탈옥하면 합의를 깨뜨릴 뿐만 아니라 수치스럽게 친구와 주변 이들을 욕보인다고 정의를 지키겠다고 말한다.

"그러니까 사람이 죽으면, 영혼은 몸으로부터 분리되어, 몸에 속한 그 어떤 것도 동반하지 않은 채로 홀로 순수한 상태로 있게 된다는 것이네. 영혼은 이승에서 살아갈 때에 몸과 어울리려고 하지 않고, 오히려 몸을 피해서 자기 자신 속으로 침잠해 들어가서, 늘 죽음을 연구하고 죽는 연습을 하지 않았던가? 사실 철학을 제대로 한다는 것은 기꺼이 편안하게 죽는 것을 연구하는 일 외에 다른게 아니기 때문이지. 철학을 한다는 일이 죽는 연습을 하는 것이 아니면 무엇이겠는가?"

소크라테스가 철학자의 죽음을 화(재앙)이 아니라 복이고, 이승에서 저승으로 가는 것은 영원히 축복받은 자들의 땅으로 가는 것이라 말하며 기쁜 마음으로 죽음을 받아들이는 모습을 <파이돈>에 담아냈다. 마지막으로 플라톤의 <국가> 다음으로 많이 읽히는 <향연>에는 소크라테스와 그의 추종자들이 '연애'의 신 '에로스'에 대한 예찬하는 내용으로, '이데아'를 관조하고 직관하는 경지까지 올라가야 비로소 '에로스'가 완성된다고 말한다. 소크라테스가 죽음으로 보여준 '무지를 아는 것이 곧 앎의 시작이다'라는 그리스 철학의 정수이자 서양 철학의 근간일 수밖에 없음을 다시 한번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