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의 역사 - 인류 역사의 발자취를 찾다
브라이언 페이건 지음, 성춘택 옮김 / 소소의책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고학이라는 학문이 유적지를 발굴하고 그곳에서 유물들을 발견하는 학문이라고 알고 있다. 하지만 단지 유물을 발견한다고 해서 고고학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건 아니다. 고고학의 역사에서는 250년 전 프랑스 외교관 폴 에밀보타 와 영국의 탐험가인 오스틴 헨리 레이어드가 성서에 기록된 창세기에 나오는 니네베를 찾아 나선 것을 고고학의 시초라고 한다. 그전에도 고대 유적과 유물을 찾기 위한 시도는 무수히 많았다. 하지만 그들의 목적은 오로지 유적과 유물을 팔아서 돈을 벌기 위한 수단으로서 즉 도굴이며 책의 표현에 따르면 보물 사냥에 불과하기에 인류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 고고학과는 엄연히 다른 것이었다.

 

 아프리카에서 고고학 연구를 하며 미국 산타 바버라 캠퍼스에서 강의하며 대중들이 이해하기 쉽게 고고학에 대한 내용을 풀어서 쓰는 것으로 유명한 브라이언 페이건이 고고학의 발전사를 다룬 고고학의 역사라는 신간을 내었다. 고고학의 역사는 고고학이 학문으로서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지금까지의 중요한 발굴과 사건들, 인물들을 기반으로 40개의 주제를 담고 있다. 과거 19세기 손과 곡괭이에 의지하던 시절에서 현재 발전된 과학기술을 동원한 특수장비까지 사용하며 발전한 고고학의 발전 흐름을 자연히 소개한다. 원론적인 부분의 내용들이 있어서 지루하고 따분하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으나 소설이나 영화로 간접적으로 접하는 고고학이 아닌 실제 고고학 분야의 전문서적을 처음 접하는 것치고는 이해하기 쉽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부분이 많아서 책장이 잘 넘어갔다. 특히 우리에게 진화론으로 유명한 찰스 다윈이 생물학자로 알고 있었지 그의 진화론의 기반이 고고학을 통해서 발견된 두개골에 중심을 두고 있는 것이며 4000년 전에 천지가 창조되었다는 기독교의 가르침을 반박하는 주장이었기에 사회적으로 문화적으로 인류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사례라는 것이 흥미로웠다.

고고학의 역사는 고고학이라는 분야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광대한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의 문화와 현재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려주는 책이다. 고고학은 단지 전공의 분야가 다르다는 이유로 관심 밖의 이야기가 아닌 내가 살아있는 그리고 앞으로 살아가야 하는 문화의 연장선상의 일부분인 것으로 앞으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