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 프레임 가이드
김종식.박민재.양경란 지음 / 지식플랫폼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지털화의 사회적, 변혁적 환경에 처한 기존 기업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할까?

 

스타벅스는 디지털과 상관없어 보이는 커피 업계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장 먼저 도입하여 비즈니스의 성장과 수익을 창출한 선도자가 되었다. 디지털 기술과 휴대폰을 연결해 고객이 긴 줄을 서지 않고 주문이나 결재를 하고 수집된 고객 정보를 활용하여 새로운 메뉴를 경험하게 하는 비즈니스 변신이 바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다. 세상에는 스타벅스와 스타벅스가 아닌 커피전문점들만 있다는 말이 생기듯 스타벅스는 디지털과 상관없어 보이는 커피 업계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장 먼저 도입하여 비즈니스의 성장과 수익을 창출한 선도자가 되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내 페이스로 달리는 마라톤 경주가 아니다. 바로 사막의 자동차 경주, 다카르 랠리(Dakar Rally)다.

대부분의 조직은 성과를 최고의 덕목이자 전략의 목표로 삼는다. 성과는 당연히 중요하다. 그러나 더 중요한 이슈는 지속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지속적인 성과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조직의 역량과 건강한 문화의 형성이다. 건강한 닭이 달걀을 지속해서 낳는다. 닭에게 건강한 환경을 만들어주지 않고 달걀을 얻을 수 없다. 건강하지 않은 환경에서 닭이 병들어 죽듯이 조직도 건강한 환경과 문화가 훼손되거나 뿌리를 내리지 못하면 장기적으로 죽은 조직이 될 수 있다. 이런 조직에서 윗사람이 성과를 더 내라고 다그친다고 그 결과는 지속하지 않는다. 성과는 목표가 아니라 건강한 조직 문화의 선물이기 때문이다. 특히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매우 유연하고 수평적이며 개방적인 기업 리더십과 문화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에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건강한 조직 문화와 역량을 갖출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해 리더들이 해야 할 임무가 무엇인지 여러 기업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주로 제조업체이다 보니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수행한다는 것이 막연했다. 투자 전에는 불가하다고 생각했던 품질과 납기 그리고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던 요인은 바로 디지털 트래랜스포메이션 과정에서 모든 제조 공정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활용하는 스마트 팩토리화와 물류 관리를 통한 효율성 향상이었다. 디지털화로 주요 고객의 공장과 실시간으로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가 공유되면서 고객과의 소통이 향상되어 고객의 만족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게 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전문가 및 관련 연구 기반은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백년대계를 생각하고 기술 정책의 수립과 기업의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글로벌 트렌드를 이끄는 국가들의 4차 산업 정책적 방향을 알아보고 우리에게 기회가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