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그렇게 생각한다 - 공감의 두 얼굴
프리츠 브라이트하우프트 지음, 두행숙 옮김 / 소소의책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까지 우리가 몰랐던 공감의 진짜 모습을 파헤치는 사례들을 통해 공감 능력이 인간 존재에게 어떤 의미인지 살펴보고 '공감 능력을 지닌 인간'의 문제점을 짚어본다. 공감은 곧바로 행동에 나서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때문에 공감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오히려 공감해서 참혹한 행동이 벌어지는 경우가 많다. 아울러 공감 능력이 반드시 다른 사람을 위한 개입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공감의 위험성을 자아 상실, 흑백 사고, 동일시, 사디즘, 흡혈귀 행위 등 다섯 가지 경향으로 나누어 이야기한다.

첫째. 공감은 자아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의 사상을 바탕으로 '자아'와 '자아 상실'의 전제와 결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이는 오늘날 공감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통계 자료에 대한 고찰로 이어진다.

둘째, 공감은 흑백 사고, 또는 '친구 아니면 적'이라는 식의 사고방식을 보인다. 갈등을 공감하고 있음에도 커지는 것이 아니라 공감하고 있어서 커지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누구의 편을 들 때면 자신이 선택한 쪽을 공감적으로 미화하기 때문이다.

셋째, 공감은 늘 동일시하는 것으로 혼동되어 잘못 표현되곤 한다. 사람들은 곤경에 처한 사람과 함께 느끼는 대신 자신을 구원자이자 조력자로 생각한다. 이것은 공감적인 사람에게는 즐거운 일이겠지만 곤경에 처한 사람은 대가를 치르게 된다.

넷째, 인간이 다른 사람의 고통을 즐기는 것은 예외적인 일이 아니다. 공감적인 사디즘에는 정신병적인 행위만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남을 모욕하고 깎아내리고 폭로해서 웃음거리로 만드는 등의 행위를 비롯한, 일상적인 수많은 행동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도덕적으로 위험한 공감의 또 다른 양상으로는 다른 사람을 수단 삼아 자신의 체험을 넓히려고 하는 '흡혈귀 행위'가 있다. 흡혈귀 행위는 자신에게 불가능한 것을 자식들을 통해 체험하고 싶어 하는 '헬리콥터 부모'와 '스테이지 맘'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다른 사람들 속으로 파고드는 공감 능력은 보통 도덕적인 행동의 근간이자 호의적인 반응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상대방을 의도적으로 비하하면서 잔인해지는 전제 조건으로 드러나거나, 때로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 이 책은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공감의 이면도 들여다보아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그동안 우리가 단순하게 긍정적으로 생각해왔던 '공감'이라는 이면에 숨겨있는 부정적인 모습들을 보여줌으로써 우리 인간의 복잡한 내면의 감정에서 나타나는 속성임을 밝혀준다. 또한 공감이 일으키는 현상, 그 진행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공감하는 우리의 내면에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