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아, 안 죽어 - 오늘 하루도 기꺼이 버텨낸 나와 당신의 소생 기록
김시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3월
평점 :
품절


 

 

괜찮아 안죽어의 작가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나드는 치열한 전쟁터와 같은 곳에서 10여 년 일한 응급의학과 의사였던 저자가 동네의원으로 일터를 바꾸며 새로운 상황과 마주한다.

 

 

응급실에서는 '이 사람이 당장 죽을 것 같은가'에 대해 고민하고 급박하게 행동했었는데, 동네 의원에서는 약만 며칠 먹으면 좋아질 증상으로도 큰일이 생긴 것처럼 호들갑을 떠는가 하면, 응급실을 가시라 권해도 귀가 어두운 할머니 할아버지를 상대하고 있다.

 

 

진료실에서 언제든 도망칠 준비를 하고 있었다는 저자는, 크게 걱정하지 말라는 위로이자 자신을 귀찮게 하는 이들과 거리를 두는 방법으로 "괜찮아, 안 죽어"라는 말로 방어벽을 쳤다고 한다.

 

어느 날, 진료실에서

 

"할매"

"왜?"

"괜찮아, 안 죽어요."

 

라는 말에 할매는 '아이고' 소리를 내며 허벅지 주무르던 것을 멈추고는 별말 없이 천천히 자리에서 일어선다... (중략) 진료실을 나서려던 할매가 천천히 몸을 돌려 나를 물끄러미 쳐다본다. 인사를 하시려나 생각하며 고개를 들어 마주 보는데 할매가 말한다.

"다 죽어, 사람은."

 

 

짧지만, 이 묵직한 대답은 저자가 살아왔던 인생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된다. 심장이 멈추고 의식이 사라진 환자를 원래대로 돌리는 것만이 사람을 살리는 일의 전부가 아님을. 그리고 우울하고 허무해서 도망치고 싶었던 일상이 결국 자신을 지켜주고 있음을 아주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깨달았다고 한다.

 

이 세상은 누구에게나 녹록지 않다며 투정을 그만하라는 의미에서 시작된 '괜찮아 안 죽어.'가 삶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단초가 될 줄은 생각지도 못했을 것이다. 저자의 시니컬함과 할머니들의 인간미 넘치는 따뜻한 에피소드들로 인생 선배들의 이야기를 전해 들을 수 있었다. "다 죽어, 사람은"은 삶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 나는 오늘 살아가고 있는 걸까? 죽어가고 있는 걸까? 고민해보며 오늘 하루를 어떻게 버텨야 할지 유한한 인생을 어떻게 살아나가야 할지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