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백하게 산다는 것 - 불필요한 감정에 의연해지는 삶의 태도
양창순 지음 / 다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누구도 어느 정도 삶을 살아보기 전에는 자기 인생에서

 

경험하게 될 행복과 기쁨, 성취와 감사, 변수와 얼룩, 상처와

 

아픔의 총량이 얼마가 될 지 알 수 없다."


프랑스의 시인, 아르튀르 랭보가 선언했듯이, 
상처 없는 인생이 어디 있으랴. 그로 인한 흉터와 얼룩이 없는 인생도 없다.  그러므로 또 다른 최선은 인생 자체에 얼룩이 질 수 밖에 없음을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앞에서 조금이라도 의연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 p.12


인생이 찰나처럼 짧은 데 왜 불필요한 감정에 시간을 쓰는가?

"지나친 기대와 욕심을 내려놓을 때 삶도, 인간관계도

더 담백해진다."

담백함이란 마음의 여유가 있을 때 누리는

행복감일 수도 있고,
또 그렇게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담백한 삶'이란 무엇일까?

덜 감정적이고, 덜 반응적인, 의연한 삶을 뜻한다. 
살아오면서 저지른 실수와 허물에 담담히

웃을 수 있는 용기, 
나를 들볶던 마음을 내려놓는 유연함, 
나만 억울해 죽을 것 같을 때 상대의 입장도 이해하고

헤아릴 수 있는 태도까지..

삶이 담백해지면 나를 괴롭히던 감정들에서 벗어나

 더 행복하고 여유 있는 하루하루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담백함이란, 자신과 타인에 대한 지나친 기대치를

 내려놓을 때 느낄 수 있는 기분이다. 

 

담백한 관계란, 지나치지 않고 적절하게' 상대의 입장과

욕구를 배려하는 데서 시작한다. 더불어 상대가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서도 적절히 마음을 쓰며 내 행동을

조심해야 한다. 그런데 그게 말처럼 쉽지가 않다.

'적절하다'는 것이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_58p

 

 

 

 

 

 

"담백함은 잔잔하고 한결같은 것"




'인복이 있다'는 말은 자신을 아낌없이 사랑해주고
물질적으로 풍요롭게 해주는 배우자나 부모, 혹은 친구를

만났음을 의미한다. 

우린 너 나 할 것 없이 담백하고 편안한 사람에게

호감을 느낀다. 
그리고 호감을 느낀 상대에게 잘해주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게 인지상정이다. 

결과적으로 내 주위에 그런 사람이 많을수록

'인복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다. 
내 인복은 내가 만들어갈 수 있다는 뜻이다. p163



소소한 것에 감사하는 마음,
담백하고 긍정적인 삶의 자세는 그 어떤 야망이나

부유함보다 중요하다.
하루하루 감사하는 마음만으로도 더  건강하게 더 즐겁게

 삶을 누릴 수 있으니 
이보다 더 좋은 일이 어디 있을까.


우리에게 있는 것은 지금, 그리고 여기뿐,
지금 그리고 여기를 살아내는 것에 바로 
우리 삶의 유일무이함, 
우리 삶의 경이로움이 있다는 것이다.


마음의 여유를 갖는 건 삶의 어느 순간에서든

정말로 중요하다. 
인간관계도 담백해지므로 누구에게나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다. 
비록 인생의 마지막이 無라 하더라도 
현재를 충실히 살아가며 나를 만들어가는 것만큼
담백하고 유익한 삶이 있을까.




 

담백한 마음 처방전 <담백하게 산다는 것>


2018년이 두 달 남짓 남은 이 시점에 정독하기

좋은 책으로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