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제적 캐릭터 심리 사전 - 창작자를 위한 캐릭터 설정 가이드 ㅣ 문제적 심리 사전
한민.박성미.유지현 지음 / 시크릿하우스 / 2022년 10월
평점 :
#한줄평
ㅡ 캐릭터 한명을 탄생시키는 일이 이렇게나 많은 것을 고려해야 할 일임을 깨닫게 되었다.
#작가 소개
✅️한민 ㅡ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심리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로 문화심리학에 대한 글을 쓰지만, 심리학으로 할 수 있는 더 많은 일에 관심이 있다. 책, 애니메이션, 드라마, 영화를 즐기면서 그 속에 감춰진 사람들의 마음을 찾아왔다.
✅️박성미 ㅡ 20대의 상당 부분을 고려대학교에서 문학과 심리학을 공부했고, 그 중 문화심리학이 작가님의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줬다. 현재까지 문학과 심리학을 통해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해 '어떤책장'으로 워크숍과 강의를 이어가고 있다.
✅️유지현 ㅡ 경찰에 범죄분석요원(프로파일러)으로 임용 후 과학수사와 형사과 업무를 탐색해오가, 현재는 범죄심리 중에서도 거짓말에 관한 폴리그래프 검사 업무를 전담하고 있다. 사람이범죄를 저지르는 동기의 원천인 마음속 심연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책내용 간략소개
📍1장. 자기중심적이며, 자기 믿음이 강하다.
: 복수의 화신 '조커', 조용하고 별난 '아웃사이더', 머리속 꽃밭 '오타쿠'
📍2장. 감정적이며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려 한다.
: 반사회적 성격 '무법자', 히스테리성 성격 '프로관종러', 자기애성 성격 '사이코', 경계선 성격 '자기 파괴자'.
📍3장. 불안을 느끼며 두려워한다.
: 강박성 성격 '완벽주의자', 회피성 성격 '은둔형 외톨이', 의존성 성격 '맹목적 조력자'
📍4장. 방어기제, 인간의 본능과 감정을 다루는 무기
: 투사, 부정, 환상, 행동화, 이지화, 전위, 해리, 반동형성, 억압
*성숙한 방어기제 : 이타주의, 억제, 예상, 유머, 승화
📍5장. MBTI 성격 스펙트럼
📍6장. 정신장애, 문화와 사회적 영향을 받는다.
: 다중인격장애, 해리성 장애, 서번트 증후군, 아스퍼거 증후군, 리플리증후군, 품행장애,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 화병(신체 증상 장애), 신병과 빙의
📍7장.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어라.
: 실전. 어떤 성격 유형의 캐릭터를 만들까?
#발췌
📌p6
저자들은 '문제적 캐릭터'에 주목했다. 저자들 자체가 약간씩은 문제적 캐릭터이기도 하거니와, 창작물에서 문제적 캐릭터 만큼 중요한 존재가 없기 때문이다. 주연이 됐든 조연이 됐든 인물이 가진 어둠은 서사에 깊이와 이야기를 부여한다.
📌314
주변 사람 중 비슷한 사람을 떠올렸을 수도 있고, 심지어는 자신의 일부분이 어느 유형에 속할지도 모른다는 자기 분석을 마쳤을 수도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머릿속에서 충분히 어떤 캐릭터에 대한 대략의 설정을 마쳤다. 이제는 그 캐릭터를 밖으로 끄집어내서 생명을 불어넣어 줄 차례이다.
ㅡㅡㅡㅡㅡㅡㅡ
창작물을 만들 때 사건들도 중요하지만 그 속의 개성 넘치는 캐릭터들도 아주 중요하다 생각한다. 캐릭터가 좀 더 실감나게 표현되기 위한 다양한 성격들, 방어기제, MBTI적인 설명들까지 작가님들의 직업(프로파일러, 문화심리학자, 작가) 특성을 십분 발휘하여 디테일하게 일러주신다.
한가지 성격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해주고, 대표적인 행동 특성, 무의식적으로 하는 행동과 욕구를 영화 속 캐릭터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왜 그런 성격이 형성되는지, 또 캐릭터의 성장배경, 갈등요인들에 대한 팁들도 잊지 않고 일러주신다.
또 요즘 유행하는 MBTI를 이용해 문제적 성격, 다양한 방어기제들과 접목해서 설명한 것을 보고는 섬뜩했다. 모든 사람들에게는 문제적 성향이 곳곳에 숨어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면 아마도 모두가 놀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마지막 장에서 그럼 이제 캐릭터를 창조해보자고 독려한다. 읽는 순간 심장 두근거리는 경험을 하게 되는 책이었다.
글을 쓰는 독자도 사람을 알고 싶은 독자도 모두가 읽으면 좋을 책이다.
#문제적캐릭터심리사전#한민#박성미#유지현#시크릿하우스#성격스펙트럼#방어기제#정신장애#문화심리학#범죄심리학#MBTI#서평후기#완독후기#채성모의손에잡히는독서@a_seong_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