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동산 트렌드 2026 - 하버드 박사 김경민 교수의 부동산 투자 리포트
김경민 외 지음 / 와이즈맵 / 2025년 9월
평점 :
#협찬 #서평
>>
"4년 연속 집값 전망 완벽 적중"
요즘 뉴스에서 “집값이 오른다”, “정부가 대책을 내놨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하지만 실제로 언제 집을 사야 할지는 누구에게나 어려운 문제다. <<부동산 트렌드 2026>>은 이런 혼란 속에서 지금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앞으로 어떤 변화가 올지를 쉽게 설명해주는 책이다.
서울대학교 김경민 교수와 연구진은 이 책에서 이렇게 말한다.
“강남에서 시작된 상승세가 한강을 건너 강북으로 번지고 있다.”
즉, 서울의 집값이 다시 오르고 있으며, 그 흐름이 강남에서 강북으로, 그리고 수도권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뜻이다. 단순한 예측이 아니라 금리, 공급, 전세 가격 등 실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 상승 도미노란?
책에서 말하는 ‘상승 도미노’는 한 지역의 집값이 오르면 주변 지역도 따라 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2025년 강남과 송파의 아파트가 신고가를 기록했고, 그 영향이 성동, 마포, 서대문 등으로 번지고 있다. 이제는 노원, 도봉, 성북 같은 강북 지역에도 이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저자는 이 현상은 잠깐의 반짝 상승이 아니라 구조적인 흐름이라고 설명한다. 금리 인하로 대출이 쉬워지고, 새 아파트 공급이 줄어들고, 전세 가격이 오르면서 집값을 밀어 올리는 힘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정부 정책에만 의지하지 말라고 말한다. 최근 발표된 ‘6·27 대책’이나 ‘9·7 대책’ 같은 정책은 단기적인 규제에 불과하고, 시장의 큰 흐름을 바꾸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조언한다.
“정부를 기다리지 말고, 지금 살 수 있는 가장 좋은 집을 사라.”
물론 무작정 집을 사라는 뜻은 아니다. 자신의 자산 범위 안에서, 시장의 흐름을 보고 신중하게 결정하라는 뜻이다. 집값을 예측하려 애쓰기보다, 데이터와 현실을 바탕으로 판단하라 한다.
책에는 실제로 도움이 되는 정보가 많다.
‘16개 대장 단지 리포트’에서는 9억 원 이하로 살 수 있는 서울과 수도권 주요 단지들을 소개한다. 또, 대부분의 책에서 잘 다루지 않는 빌라 시장에 대한 분석도 있다.
서울에서 빌라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지만, 정부의 공급 정책 때문에 빌라 공급도 줄어들고 있다고 말하며, 앞으로는 서울의 주택 부족이 더 심해질 수 있다는 경고도 잊지 않았다.
결국 부동산은 결국 데이터 싸움이었다.
여론이나 감정보다 공급, 금리, 수요 같은 숫자가 더 정확한 기준이 된다.
<<부동산 트렌드 2026>>은 투자를 위한 책이 아니라,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시장을 보는 눈을 길러주는 책이다.
지금 내가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궁금하다면, 이 책을 꼭 읽어보시길 추천한다.
<<부동산 트렌드 2026>>은 어렵고 복잡한 부동산 이야기를 현실적으로 풀어낸 책이다.
“언젠가 집을 사고 싶다”는 꿈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 책을 통해 시장 흐름을 읽는 눈부터 키워보길 바란다.
>>
>밑줄_p30,31
따라서 빌라 시장은 단순히 부동산 하위 시장이나 변방이 아니라, 서울 주택 시장 전반의 구조적 이해와 향후 정책 설계를 좌우하는 핵심 변수다. 이 시장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변화의 흐름을 정확히 포착하는 일은 주거 다양성과 사회적 포용성을 회복하는 첫걸음이자, 도시의 지속 가능한 균형 발전을 돕는 필수 작업이라 하겠다.
>밑줄_p183
서울 주요 지역의 이동평균선을 분석해보면 상승 신호, 즉 '골든 크로스 발생 시점'이 시차를 두고 확산하는 흐름이 뚜렷하게 보인다. 강남에서 가격 상승이 시작돼 서울 외곽으로 퍼지는 행태다.
>> 이 서평은 와이즈맵(@wisemap_book)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부동산트렌드2026 #김경민 #정재훈 #김규석 #이소영 #이영민 #와이즈맵
#부동산투자 #부동산미래전망 #2026트렌드분석
#상승도미노본격 #기회
#신간 #책추천 #부동산투자추천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서평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