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고 - 미군정기 윤박 교수 살해 사건에 얽힌 세 명의 여성 용의자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41
한정현 지음 / 현대문학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ㅣ증정도서ㅣ

p77 - "다 듣지는 못했지만, 얼핏 듣기로 선주혜 씨가 그런 말씀을 하시더군요. '내가 아무리 빨갱이로 낙인찍혀 남조선에서 살 수 없게 된다해도 너에게 몸을 바치는 짓은 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식의 협박으로 몇 명의 조선 여인들을 죽게 한 것이냐'라고요."

작가의 전작인 #나를마릴린먼로라고하자 와 이어진 소설로 읽었다.. 그리고 이번 책에서도 저자는 생존자와 떠난 자를 성(性)과 이름을 교차하여 드러낸다.

남은 자는 떠난 자의 이름을 지고 살아가지만, 소설에서도 말했던 바(p182) 낙관, 세계는 더디더라도 진보한다는 낙관을 심어놓는다.

미군정기 남조선 첫 선거날, 여성 유권자를 후려치는 조선남의 폭력에서 시작한 소설은 여성 검안의 연가성(연가희)이 문학 교수 윤박의 살해 사건을 조사하면서 진의를 드러낸다.

여성 셋(윤선자, 선주혜, 현초의)이 용의자로 지목되지만 사실 범인은 미군.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남성 권력자의 폭력 피해자를 악마화하는 부조리와 미군정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조작이 겹친 데서 소설은 시작한다.

이 소설이 추리소설의 면모를 띄는 것은 이 이면에서 벌어진 진상이 무엇이냐를 조사하는 것이 하나요, 검안의 연가성과 친우(?)인 권운서의 관계와 더불어 이들에게 내재한 성평등주의와 소수자성이 역사에서 왜 배제되는가를 구조적으로 쌓아내는 것이 둘째다.

미군정기라는 혼란한 시기에 식민지 잔재, 성불평등, 소수자 혐오, 극우독재 정권의 정치성 등의 틈바구니에서도 말려죽이지 못한, 살아 숨쉬고자 하는 생명력, 어떤 순간의 제스쳐들.

결국 이 땅을 떠나야만 가능했던 것들이기도 함을 보여주는 (한정현의 여러 소설들의) 결말부는 사실 #광장 보다 절박한 존재의 증언으로 들린다.

불확실하지만 한번이라도 자유롭게 살아보고자 하는 선택을 포기하지 않는 낙관.

p.s. 베란다 청소를 하며 배수구를 봤는데, 폭우 때 위층에서부터 쏟아지는 이것저것이 통과하면서 뭐가 틈새에 쌓였는지 더운 날씨가 겹쳐 싹이 자라고 있었다. 소설의 끝에 이게 생각이 났다.

#마고 #미군정기윤박교수살해사건에얽힌세명의여성용의자 #한정현 #아키비스트 #현대문학 #현대문학핀시리즈 #핀시리즈 #한국소설 #퀴어문학 #퀴어소설 #퀴어 #책 #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딸은 딸이다
애거사 크리스티 지음, 공경희 옮김 / 포레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ㅣ증정도서ㅣ

1952년 필명으로 발표한 소설.

딸은 엄마의 재혼을 적극적으로 반대하여 망치고
엄마는 딸의 결혼을 방관함으로 불행을 방치한다.

생활은 언어로 표현하자면 "해도 지랄, 안 해도 지랄"인 애증의 가족관계...

구조적인 대비가 빼어나지만, 추리 소설 특유의 심리적 밀실(협소한 인간관계)이 작동하고, 이것이 다소 비현실적으로 다가오는 지점이 있다.

더욱이 미혼의 한남인 내가 모두 이해하기엔 한계도 있고.

홀로 딸 세라를 키운 앤 프렌티스는 세라가 스위스로 스키여행을 떠난 사이에 리처드 콜드필트와 약혼을 한다.

여행에서 돌아온 세라는 리처드에게 강하게 반발하고 앤의 재혼은 무산된다.

세라는 나이가 한참 많은 로렌스 스틴의 청혼을 받고 앤에게 넌지시 의견을 묻는다. 앤의 대답은 '결혼은 네 책임'.

서로의 간섭과 무관심이 일으킨 불행을 강력하게 비난하는 결말부의 다툼이 압권이다.

다행히 세라의 대모이자 앤의 멘토인 데임 로라와 앤과 세라를 오래 지켜온 가정부 이디스가 관찰자이자 냉감과 온감을 오가는 적절한 조언으로 소설의 예감과 온당한 결론으로 이끈다.

문제는 지혜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듯하다. 종종 고통스럽지만 경험과 시간의 힘은 늘 압도한다.

#딸은딸이다 #adaughtersadaughter #애거사크리스티 #애거서크리스티 #agathachristie #공경희 #포레 #문학동네 #심리소설 #영국소설 #책 #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올레트, 묘지지기
발레리 페랭 지음, 장소미 옮김 / 엘리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ㅣ증정도서ㅣ

어떤 비극도 살아있는 삶을 이기지 못한다.

p530 - "작별 인사를 하면 못 떠나, 비올레트. 기차역에서 나와 부둥켜 안고 작별할 수 있겠어?"

위탁 가정을 전전하다 필리프 투생을 만나 열아홉에 딸 레오닌을 낳고 건널목 지기를 하던 비올레트는 아이를 잃는다.

천상 오입쟁이인 남편을 견디고 생활을 꾸리며 셀리나, 스테파니, 사샤 같은 친구를 만나기도 하지만 아이를 잃었다.

사샤의 뒤를 이어 아이가 묻힌 묘지의 묘지지기가 된 비올레트의 일상으로 소설은 시작한다.

어린 비올레트가 남자를 만나고 아이를 낳고 잃고 터전을 옮기고 남편이 떠나고 새 연인을 만나고 연인의 어머니의 변곡점을 전해 듣는 과정에서 묘지는 비극과 죽음의 장소인 동시에 새로운 관계가 태어나고, 고통받고 고통받은 사람들이 서로의 고통에 공명하며 위로와 내일을 바라게 만드는 재생의 장소로 정의된다.

누구의 삶도 이유없이 살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일 죽고 매일 태어나는 새로운 날들로 보여준다.

다소 역설적인 메세지는 소설을 현재(묘지지기)에서 과거를 오가는 역설적인 구성으로 진행시킨다. 그리하여 현재에는 완결된 사건들이 과거 시점에선 호기심을 일으키며 추리소설 같은 궁금증을 유발하기도 하는데... 비올레트가 겪는 비극들의 원인이나 결론과 그 구성이 소설에서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각자 비극의 고통을 지나며 살아내며 살아지는 삶이야말로 이 소설의 빛나는 조각 조각들이다.

우리는 서로 전혀 모르는 것 같지만, 아직 알지 못한 곳에서 같은 곳을 지나왔다. 살아있는 동안 우리는 서로 닫을 수 없는 사람들인 것이다. 심지어 기억 속에서도.

#비올레트묘지지기 #발레리페랭 #valerieperrin #freshwaterforflowers #changerleaudesfleurs #장소미 #엘리 #엘리출판사 #프랑스소설 #책 #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고 - 미군정기 윤박 교수 살해 사건에 얽힌 세 명의 여성 용의자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41
한정현 지음 / 현대문학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증정도서

p77 - "다 듣지는 못했지만, 얼핏 듣기로 선주혜 씨가 그런 말씀을 하시더군요. '내가 아무리 빨갱이로 낙인찍혀 남조선에서 살 수 없게 된다해도 너에게 몸을 바치는 짓은 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식의 협박으로 몇 명의 조선 여인들을 죽게 한 것이냐'라고요."

작가의 전작인 #나를마릴린먼로라고하자 와 이어진 소설로 읽었다.. 그리고 이번 책에서도 저자는 생존자와 떠난 자를 성(性)과 이름을 교차하여 드러낸다.

남은 자는 떠난 자의 이름을 지고 살아가지만, 소설에서도 말했던 바(p182) 낙관, 세계는 더디더라도 진보한다는 낙관을 심어놓는다.

미군정기 남조선 첫 선거날, 여성 유권자를 후려치는 조선남의 폭력에서 시작한 소설은 여성 검안의 연가성(연가희)이 문학 교수 윤박의 살해 사건을 조사하면서 진의를 드러낸다.

여성 셋(윤선자, 선주혜, 현초의)이 용의자로 지목되지만 사실 범인은 미군.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남성 권력자의 폭력 피해자를 악마화하는 부조리와 미군정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조작이 겹친 데서 소설은 시작한다.

이 소설이 추리소설의 면모를 띄는 것은 이 이면에서 벌어진 진상이 무엇이냐를 조사하는 것이 하나요, 검안의 연가성과 친우(?)인 권운서의 관계와 더불어 이들에게 내재한 성평등주의와 소수자성이 역사에서 왜 배제되는가를 구조적으로 쌓아내는 것이 둘째다.

미군정기라는 혼란한 시기에 식민지 잔재, 성불평등, 소수자 혐오, 극우독재 정권의 정치성 등의 틈바구니에서도 말려죽이지 못한, 살아 숨쉬고자 하는 생명력, 어떤 순간의 제스쳐들.

결국 이 땅을 떠나야만 가능했던 것들이기도 함을 보여주는 (한정현의 여러 소설들의) 결말부는 사실 #광장 보다 절박한 존재의 증언으로 들린다.

불확실하지만 한번이라도 자유롭게 살아보고자 하는 선택을 포기하지 않는 낙관.

p.s. 베란다 청소를 하며 배수구를 봤는데, 폭우 때 위층에서부터 쏟아지는 이것저것이 통과하면서 뭐가 틈새에 쌓였는지 더운 날씨가 겹쳐 싹이 자라고 있었다. 소설의 끝에 이게 생각이 났다.

#마고 #미군정기윤박교수살해사건에얽힌세명의여성용의자 #한정현 #아키비스트 #현대문학 #현대문학핀시리즈 #핀시리즈 #한국소설 #퀴어문학 #퀴어소설 #퀴어 #책 #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인 - 개정판 잭 매커보이 시리즈
마이클 코넬리 지음, 김승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은 지역 유력지의 살인사건 전문기자인 잭이 경찰인 형의 자살 소식을 전하러 온 동료 경찰의 방문을 받으며 시작한다.

장르소설은 보통 자극(비극)적인 사건으로 독자의 주의를 환기하며 시작하고, 이 비극을 얼마나 끈끈하고 '안전'하게 끌고가느냐가 몰입도의 핵심인데, 물론 능숙하다. 반전의 포인트도 절묘한 데가 있다.

p602
"PTL 네트워크라는 이름이죠."
레이철의 얼굴에 놀란 표정이 떠올랐다.
"주님을 찬양하라(Praise the Lord)?"
"그러면 얼마나 좋겠어요. 우리는 그게 프리틴 러브(Pre-Teen Love, 열 살 이하 어린이들에 대한 사랑)의 약자라고 보고 있어요."

형의 자살의 의심스런 점을 발견한 잭은 재수사를 이끌어내는데, 탐사 과정에서 비슷한 경찰 자살사건들이 미국 전역에서 여러 차례 발생 했었다는 사실을 밝혀낸다.

결국 FBI가 사건에 개입하게 되고, 물과 기름 같은 기자와 수사관이 한 배에 올라타 '에드거 앨런 포'의 시구를 흔적으로 남기는 '시인'을 뒤쫓게 된다.

'92년도에 데뷔한 작가가 '96년도에 낸 책이니, 작가작인 욕심은 물론이거니와 20년도 더 지난 지금 개정판으로 읽어도 악력이 충분하다. 동시에 온라인의 소아성애자들이 이제나 저제나 변태적 도착증을 '취향'이나 '개성'으로 여기며 활보하고 다니며 서로를 격려한다는 데서 끔찍한 평행세계를 마주보는 것 같다.

몇 가지를 환기하게 된다.

소설 속 소아성애자와 공권력의 직무유기자들처럼 각각 따로 떨어져 있는 듯 보이는 썩은 점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서 약자와 개인들을 사냥하며 희희낙락 거리는지.

작가가 어떻게 이야기를 후속작으로 이어갈 수 있었는지. 그리고 아직 읽지도 않은 후속작의 존재만으로 그 인간들이 얼마나 징그러운지.

발로 뛰는 탐정소설의 성실함이 성실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그 집요하고 추잡스러운 변태들.

#시인 #마이클코넬리 #thepoet #michaelconnelly #김승욱 #rhk #알에이치코리아 #랜덤하우스코리아 #미국소설 #해리보슈 #탐정소설 #책 #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