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고 - 미군정기 윤박 교수 살해 사건에 얽힌 세 명의 여성 용의자 ㅣ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41
한정현 지음 / 현대문학 / 2022년 6월
평점 :
증정도서
p77 - "다 듣지는 못했지만, 얼핏 듣기로 선주혜 씨가 그런 말씀을 하시더군요. '내가 아무리 빨갱이로 낙인찍혀 남조선에서 살 수 없게 된다해도 너에게 몸을 바치는 짓은 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식의 협박으로 몇 명의 조선 여인들을 죽게 한 것이냐'라고요."
ㆍ
작가의 전작인 #나를마릴린먼로라고하자 와 이어진 소설로 읽었다.. 그리고 이번 책에서도 저자는 생존자와 떠난 자를 성(性)과 이름을 교차하여 드러낸다.
ㆍ
남은 자는 떠난 자의 이름을 지고 살아가지만, 소설에서도 말했던 바(p182) 낙관, 세계는 더디더라도 진보한다는 낙관을 심어놓는다.
ㆍ
미군정기 남조선 첫 선거날, 여성 유권자를 후려치는 조선남의 폭력에서 시작한 소설은 여성 검안의 연가성(연가희)이 문학 교수 윤박의 살해 사건을 조사하면서 진의를 드러낸다.
ㆍ
여성 셋(윤선자, 선주혜, 현초의)이 용의자로 지목되지만 사실 범인은 미군.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남성 권력자의 폭력 피해자를 악마화하는 부조리와 미군정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조작이 겹친 데서 소설은 시작한다.
ㆍ
이 소설이 추리소설의 면모를 띄는 것은 이 이면에서 벌어진 진상이 무엇이냐를 조사하는 것이 하나요, 검안의 연가성과 친우(?)인 권운서의 관계와 더불어 이들에게 내재한 성평등주의와 소수자성이 역사에서 왜 배제되는가를 구조적으로 쌓아내는 것이 둘째다.
ㆍ
미군정기라는 혼란한 시기에 식민지 잔재, 성불평등, 소수자 혐오, 극우독재 정권의 정치성 등의 틈바구니에서도 말려죽이지 못한, 살아 숨쉬고자 하는 생명력, 어떤 순간의 제스쳐들.
ㆍ
결국 이 땅을 떠나야만 가능했던 것들이기도 함을 보여주는 (한정현의 여러 소설들의) 결말부는 사실 #광장 보다 절박한 존재의 증언으로 들린다.
ㆍ
불확실하지만 한번이라도 자유롭게 살아보고자 하는 선택을 포기하지 않는 낙관.
ㆍ
p.s. 베란다 청소를 하며 배수구를 봤는데, 폭우 때 위층에서부터 쏟아지는 이것저것이 통과하면서 뭐가 틈새에 쌓였는지 더운 날씨가 겹쳐 싹이 자라고 있었다. 소설의 끝에 이게 생각이 났다.
ㆍ
#마고 #미군정기윤박교수살해사건에얽힌세명의여성용의자 #한정현 #아키비스트 #현대문학 #현대문학핀시리즈 #핀시리즈 #한국소설 #퀴어문학 #퀴어소설 #퀴어 #책 #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