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올레트, 묘지지기
발레리 페랭 지음, 장소미 옮김 / 엘리 / 2022년 7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ㅣ증정도서ㅣ
어떤 비극도 살아있는 삶을 이기지 못한다.
ㆍ
p530 - "작별 인사를 하면 못 떠나, 비올레트. 기차역에서 나와 부둥켜 안고 작별할 수 있겠어?"
ㆍ
위탁 가정을 전전하다 필리프 투생을 만나 열아홉에 딸 레오닌을 낳고 건널목 지기를 하던 비올레트는 아이를 잃는다.
ㆍ
천상 오입쟁이인 남편을 견디고 생활을 꾸리며 셀리나, 스테파니, 사샤 같은 친구를 만나기도 하지만 아이를 잃었다.
ㆍ
사샤의 뒤를 이어 아이가 묻힌 묘지의 묘지지기가 된 비올레트의 일상으로 소설은 시작한다.
ㆍ
어린 비올레트가 남자를 만나고 아이를 낳고 잃고 터전을 옮기고 남편이 떠나고 새 연인을 만나고 연인의 어머니의 변곡점을 전해 듣는 과정에서 묘지는 비극과 죽음의 장소인 동시에 새로운 관계가 태어나고, 고통받고 고통받은 사람들이 서로의 고통에 공명하며 위로와 내일을 바라게 만드는 재생의 장소로 정의된다.
ㆍ
누구의 삶도 이유없이 살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일 죽고 매일 태어나는 새로운 날들로 보여준다.
ㆍ
다소 역설적인 메세지는 소설을 현재(묘지지기)에서 과거를 오가는 역설적인 구성으로 진행시킨다. 그리하여 현재에는 완결된 사건들이 과거 시점에선 호기심을 일으키며 추리소설 같은 궁금증을 유발하기도 하는데... 비올레트가 겪는 비극들의 원인이나 결론과 그 구성이 소설에서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각자 비극의 고통을 지나며 살아내며 살아지는 삶이야말로 이 소설의 빛나는 조각 조각들이다.
ㆍ
우리는 서로 전혀 모르는 것 같지만, 아직 알지 못한 곳에서 같은 곳을 지나왔다. 살아있는 동안 우리는 서로 닫을 수 없는 사람들인 것이다. 심지어 기억 속에서도.
ㆍ
#비올레트묘지지기 #발레리페랭 #valerieperrin #freshwaterforflowers #changerleaudesfleurs #장소미 #엘리 #엘리출판사 #프랑스소설 #책 #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