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태어난 게 잘못이야]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미국에서 태어난 게 잘못이야 - 일중독 미국 변호사의 유럽 복지사회 체험기
토머스 게이건 지음, 한상연 옮김 / 부키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에서 살다보면 가장 많이 듣는 말 중에 하나가 ‘절이 싫으면 중이 절을 떠나야지 절을 바꾸려하는가?’라는 말이다. 그렇지만 학교를 떠난 사람들, 교회를 떠난 사람들, 국가를 떠난 사람들을 비난한다. 실제로 중이 절을 떠나면 항상 욕을 먹는 것은 절이 아닌 중이다. 국민 다수의 의지가 나라의 의지라는 민주주의국가의 시민들이 이 말을 좋아한다는 점이 씁쓸하다. 한국다움이 사라지고 오직 수입된 의지로 국가가 운영되는 듯 보인다. 수입도 오직 미국산이 아니면 빨간딱지가 붙는다. 아직도 색깔론이 먹히는 나라에서 미국에서 태어난 게 잘못이야 라는 제목은 위험해보이기까지 하다.

 

 

  저자는 미국에서 태어나 변호사까지 된 인물이다. 가장 자본주의적이고 미국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는 저자가 우연한 계기로 유럽의 문화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미국의 문제점에 대해서 탐구한 것을 기록한 작업이다. 보고서라기보다 마치 일기형식으로 쓰인 이 책은 진솔할 뿐 아니라 조금 더 생생하게 느껴진다. 크게 중요시되는 것은 사회보장제도, 전문가제도, 생산 위주의 경제체계가 갖는 안전성과 결과적으로 유용성의 측면에서도 유럽의 체계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있다.

 

 

  파리의 여자들이 남자를 고를 때 첫 번째로 고려하는 대상은 돈이 아니다. 이 말이 신선한 충격을 줄 수 있게 된 것은 언제부터인가? 인간을 그 자체로 대우하지 않고 언제부터 스펙이니, 자산이니 하는 것으로 환원해서 생각하게 된 것일까? 일종의 사회보장제도와 의료복지제도가 발달한 나라에 있어서 적어도 생존의 위협을 느끼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이런 제도들이 없는 나라에서 여자가 남자의 재산을 가장 먼저 본다고 잘못을 물을 수 있을까?

 

 

  전문가제도는 일종의 도제제도로 유럽의 사람들은 자신의 직종에서 마스터가 될 때까지 계속해서 남는 경우가 많다. 미국의 노동시장의 유연화를 강조하고 그로인한 성적을 과시할 때 그 압박으로 직장을 바꾸는 경우가 늘어났지만 유럽은 여전히 살면서 1곳 많아야 2~3곳의 직장을 다닌다. 미국 평균 직장 수가 6개 이상이라는 점과 비교된다.

 

 

  비슷한 맥락으로 유럽의 사회민주주의 철학에 기인한 생산중심의 경제체계가 강점으로 보인다. 노동자가 스스로 회사의 의제를 결정하기도 하고, 금융보다 생산산업에 투자가 꾸준하다. 유럽발 금융위기가 실제 유럽적인 것이 아닌 미국적 경제체계를 수입한 영국, 아일랜드, 스페인 등에서 가장 먼저 시작했다. 물론 미국도 지금은 안전한 상황으로 보이지 않는다. 월가에서는 하루가 멀다 시위가 벌어진다. 실제 GDP는 생산량이지 돈의 액수가 아니다. 실제 생산을 하지 않고 소비만 하고 돈놀이에 열중한 체제는 오래가지 않는다. 실제 경기침체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국가는 미국식 자본주의, 신자유주의경제를 채택한 국가다.

 

 

  책을 읽고 공감했다고 지금의 체제를 완전히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의료보장제도의 경우에 있어서 한국의 경우 꽤나 우수한 체제를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너무 미국적이지도 너무 유럽적이지도 않은 어쩌면 제3의 길로서 한국적인 성공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미국다움만을 하나의 진리로서 추구하는 이 시점에서 유럽다움이 무엇인지, 그것이 미국다움에 비해서 갖는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태어날 아이에게 죄가 없다. 한국에서 태어날 아이에게 원죄를 물려주지 않기 위해 읽어야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