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세계 종언의 세계록 1 - 재림의 기사, Novel Engine ㅣ 세계 종언의 세계록 1
사자네 케이 지음, 이승원 옮김, 후유노 하루아키 그림 / 데이즈엔터(주) / 2017년 11월
평점 :

상급 스포일러, 개인적인 해석 주의
300년 전, 세계를 구한 영용(이하 영웅)을 쏘옥 빼닮은 주인공. 세계는 옛 영웅을 그리며 추억하고 노래하고 떠받듭니다. 그런 세계에서 영웅과 똑같이 생긴 주인공이 등장했을 때, 세계는 기대했을 테죠. 실상은 평범한 범부에 지나지 않았지만요. 그러니 사람들은 옛 영웅과 비교하며 무시하고 바보 취급 하는 건 당연하다는 듯이 굽니다. 뭘 멋대로 기대하고 뭘 멋대로 실망하는 걸까. 여기는 성 피오라 여학원(旅學園) 여자들만 다니는 학원이 아니라 군사학을 배우는, 인류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에덴의 동산같이 싸움에 근원을 둔 뭐 그런 학원 같은데 실상은 제 잘난 맛에 사는, 먼저 인간부터 되어라라고 말해주고 싶은 군상들이 있는 곳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학원의 당면 목표는 300년 전 영웅이 남긴 수기(세계록). 그에 따라 아이들을 가르쳐 세계로 내보내 수기를 찾게 하는 것. 수기의 가치가 대체 얼마나 크길래 찾으면 300년 전 영웅에 준하는 영웅의 칭호를 주겠다는 당근책을 제시하는 걸까. 주인공은 3년째 이 학원에 다니고 있습니다. 3년 동안 옛 영웅과 닮은 주제에 능력이 없다는 이유로 온갖 괴롭힘을 당해왔습니다. 부조리도 이런 부조리가 없을 정도로요. 1년 유급한 것도 어쩌면 괴롭힘의 일종이 아닐까 싶을 정도죠. 주인공은 어릴 적부터 영웅의 이야기를 들으며 자라왔고 동경을 하게 되어 이 학원에 입학은 하였습니다만, 아무리 실력을 갈고닦아도 옛 영웅의 발치에도 미치지 못하는 범부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주인공딴에는 노력한다고 했는데도 그보다 뛰어난 학생들은 얼마든지 있었고, 그런 학생들의 결투를 받아 처참하게 발리는 일상을 보내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무시당하고 바보 취급 당하고 비 오는 날 먼지 나도록 두들겨 맞아도 학원에 계속 있는 이유는 옛 영웅을 동경해서일까? 아님 세계로 떠나는 걸 두려워한 걸까. 노력해도 틀에 박힌 수업으로 성장할 수 없다면 옛 영웅이 그랬던 것처럼 여행을 하며 자신을 키워가는 건 어떨까. 초반에는 다소 발암적인 요소를 보여줍니다. 한발 내딛는 걸 주저하는 모습을 보이죠. 3년 동안 시달렸으면 마음이 망가져 소심해지고 패배자 근성이 되는 것도 어쩔 수 없을 것입니다. 어느 날 그런 그에게 변화의 바람이 불죠. 학년 선배인 피아(히로인)가 졸업도 하기 전에 옛 영웅이 남긴 수기를 찾아 세계로 여행을 떠나겠다고 주인공에게 알려옵니다. 처음엔 아무리 무능력 주인공이라도 히로인이 붙는 클리셰일까 했습니다만, 때에 맞춰 키리셰(메인 히로인)가 학교에 찾아와서 피아와 같이 하게 됩니다(우연이 아니라 예정된). 그리고 그녀들은 주인공에게 같이 갈 거냐고 제의를 하죠. 이것은 전설의 시작. 피아는 줄곧 주인공을 지켜봐 왔습니다. 옛 영웅의 환생이 아닐까 하고, 아니어도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까 보고 싶어 했습니다. 키리셰는 마을에서 우연히 주인공과 마주했습니다. 그녀들은 옛 영웅과 똑닮은 주인공을 봤을 때 얼마나 가슴이 뛰었을까. 그야 그녀들은 300년 전 옛 영웅과 함께 했던 무희들이니까요.
그리고 그녀들과 함께 세계로 발을 내딛는 주인공.
본 작품의 주인공은 영웅으로서 기대를 받지만 영웅에 한참 못 미치는 힘으로 인해 무시를 당합니다. 사실 이건 표면적인 거고 주인공 나름대로 조금씩 성장해가는 중이었고, 그걸 못마땅히 여긴 주변이 이러다 진짜 옛 영웅처럼 되는 거 아니냐는 질투심에서 비롯된 괴롭힘이라는 음습한 이야기를 보여주고 있죠. 그 이면에는 옛 영웅이 남긴 수기를 찾아 그걸 근거로 자기가 영웅이 되고 싶어 하는 이기심이 있습니다. 그로 인해 대악마가 나타났을 때 협동심은 개나 줘버리고 서로 공을 차지하겠다고 대악마에게 덤볐다가 갈려 나가는 웃지 못할 이야기를 보여주죠. 물론 대악마를 처치하는 건 주인공이 된다는 흔한 클리셰이지만 여기서 눈여겨볼 것은 그 과정이죠. 패배자 근성에서 사람들을 구하는 영웅으로, 힘이 없다고 멀뚱멀뚱 다른 사람에게 기대는 것보다 자신이 나서서 힘이 없어도 사람들을 구하고, 진정한 영웅이 누구인지를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말로만 구할거야라며 발암적인 모습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주는 장면들이 인상적이죠. 그리고 절대 이길 수 없는 대악마를 상대로도 기죽지 않고 영웅에 준하는 용기를 보여주는, 하지만 주인공이니까 반드시 이기겠지 하는 클리셰는 또 보여주지 않는 게 이 작품의 특징입니다. 조금씩 성장 중이라지만 아직은 풋내기에 지나지 않는 정도의 길을 보여주죠. 그렇담 주인공은 죽는 건가? 사자네 케이 작가의 작품에는 어떤 특징이 있습니다. 적, 아군 가리지 않고 히로인들은 주인공에게 무르다는 것.
맺으며: 옛 영웅과 똑닮은 주인공과 여행을 떠나는 히로인들(나중에 10살 마왕도 합류함). 옛 영웅의 발자취를 쫓고 그가 남긴 수기(세계록)를 찾는다. 찾아서 뭐 하려는지 모르겠지만(여러 가지 정보가 담겨 있긴 함) 주인공으로서는 굉장히 가슴 설레는 이야기죠. 풋내기(주인공)에게 손을 내밀어 같이 가자고 해주었던 히로인들. 있을 곳이 없고, 사람 취급 안 해주는 학원이라는 우물에서 벗어나 세계를 여행한다는 것. 하지만 집 나오면 개고생이라고 대악마를 만나 죽을 위기를 맞아가고, 자퇴하면서까지 밖으로 나왔는데 선배라는 놈들은 왜 아는 척하는지, 예쁜 히로인들과 같이 여행을 한다는 두근 거림보다는 치근덕거려서 귀찮은 일이 더 많은 여행이 과연 행복할까? 피아(히로인)는 밤에 하는 레슬링 가르쳐 줄까 이러고, 키리셰(히로인)는 대놓고 침대에 숨어들어 같이 자고, 라이트 노벨에서 빠지지 않는 클리셰 이야기는 사실 좀 마이너스가 아닐까 싶죠. 게다가 이세계물에서는 흔한 마법의 주머니도 없어서 짐을 짊어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도 있고요. 17살이 되도록 여자 손 한번 못 잡아 봤는지 동정 티 팍팍 내는 주인공도 좀, 어른스럽게 굴면 좋겠다는 느낌이 없잖아 있습니다. 또 아쉬운 건 학원에서 괴롭힘당하는 주인공을 제대로 살리지 못했다는 것이군요. 어떤 괴롭힘이 있었는지를 설명으로 대충 때우고 실질적인 장면들이 없다는 것인데 그러다 보니 여행에 나서는 동기가 조금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게 하죠. 설정 부분에서는 여러 복선을 깔면서 조금 탄탄한 면을 보여주는데 이건 앞으로 조금씩 언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