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에 처 작은 아버지 댁을 찾았어요. 안사람이 아이를 낳을 적에 처 작은 아버지 댁 신세를 많이 졌죠. 어려울 때 도와 주신 것을 잊을 수 없어 명절 때마다 찾아 뵙죠. 처 작은 아버지께선 약주를 좋아하시는데, 제가 술이 약해, 충분히 대작을 못해드려 늘 죄송한 마음이 들어요. 이번 추석도 마찬가지였죠. 소주 두어 잔을 마셨는데 힘들더군요. ㅠ ㅠ
처 작은 아버지께서 건네주신 술잔에 글씨가 써 있어 사진을 찍었어요. 沃은 물댈옥 奉은 받들봉, 옥봉이라고 읽어요. 沃奉은 물과 흙을 반죽하여 두 손으로 정성껏 그릇을 만든다는 의미가 아닌가 싶어요(추측이라 정확하진 않습니다. ㅠㅠ). 네모진 부분의 글씨는 沃奉陶藝(옥봉도예)라고 읽어요. 인터넷을 찾아보니 지명도가 있는 도예가의 공방이름이더군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沃은 氵(물수)와 夭(芙의 줄임자, 연꽃부)의 합자에요. 위에서 아래로 물이 흐르도록 한다는 의미에요. 관개(灌漑)의 뜻이지요. 夭는 음만 담당하는데 음가가 많이 변했지요(요-->옥). 沃은 '기름지다, 윤택하다'의 의미로도 쓰여요. 이런 뜻은 모두 본 뜻에서 연역된 것이지요. 沃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沃灌(옥관, 물을 댐), 肥沃(비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奉은 두 손으로 옥(玉)을 받들고 있는 모습을 그린 거에요. 奉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이 있을까요? 奉仕(봉사), 奉養(봉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물댈옥, 받들봉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肥( ), ( )養
3. 술과 술잔에 얽힌 에피소드를 하나 소개해 보시오.
인터넷을 찾아보니 戒盈杯(계영배)라는게 있더군요. 일정한 양이 차면 술이 새도록 만든 술잔인데, 과음(과욕)을 경계하기 위해 만든 술잔이더군요. 제환공(齊桓公)이 과유불급(過猶不及)의 처세를 잊지 않기 위해 만들었다고 해요. 이 그릇으로 공자께서도 제자들에게 한 말씀 하셨구요: "총명하면서도 어리석음을 지킬 줄 알고 공을 세우고도 겸손할 줄 알며..." 중용의 도를 강조하신 거지요. 내년에는 처 작은 아버지께 이 계영배를 선물해 드릴까 합니다. 조금은 술을 덜 하셔야 할 것 같아서... 그런데 애주가이신 처 작은 아버지께서 좋아하실런지 모르겠습니다. ^ ^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