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파민 가족 - 각자의 알고리즘에 갇힌 가족을 다시 연결하는 법
이은경 지음 / 흐름출판 / 2025년 11월
평점 :
#도파민가족
요즘 우리 집 풍경을 떠올리면, 책 제목이 낯설지 않았다. 하루에도 몇 번씩 “폰 좀 내려놔”라 말하면서, 정작 나 역시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못했던 시간들...책을 읽으며 그 장면들이 하나씩 떠올랐다. 도파민가족에서는 아이의 집중력 문제를 ‘아이 탓’으로 돌리지 않는다.
AI가 양육에 개입하고, 패드와 스마트폰이 일상이 된 지금, 문제는 개인이 아니라 ‘가족 시스템’의 붕괴라고 말한다. 아이의 뇌를 자극하는 건 스마트폰이지만, 그 자극 속에서 가족이 서로를 잃어가고 있었다는 것이 마음에 남는다.
같은 공간에 있어도 서로의 얼굴보다 화면을 더 자주 보는 요즘, 아이는 점점 말이 줄고, 부모는 점점 더 불안해진다. 저자는 그 단절을 꾸짖는 대신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지를 뇌과학과 심리학의 언어로 차분히 풀어낸다.
자극에 길들여진 뇌, 감정을 숨기는 습관, 대화보다 침묵이 익숙해진 거실.
이 모든 것이 ‘도파민 가족’의 현실이었다.
읽는 내내 ‘빠름’에 익숙해진 우리 가족의 모습이 비쳤다.
공부도, 대화도, 휴식도 모두 화면 속에서 이루어지는 요즘, 정작 필요한 건 기술이 아니라 ‘느림’이었다.
책은 가족의 회복은 기술이 아니라 느림에서 시작된다고 말한다.
함께 밥을 먹고, 기다려주고, 말없이 곁에 있어주는 그 시간 속에서 옥시토신이 흐르고, 관계의 회로가 다시 연결된다고...
가족의 회복은 거창한 변화가 아니라 ‘얼굴을 마주 보는 순간’에서 시작된다는 걸 잊지 않게 해준다. 오늘은 아이 옆에 앉아 화면 대신 얼굴을 바라봐야겠다. 그것이 우리 가족의 회복이 시작되는 첫걸음일 것 같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이은경 #흐름출판 #가족심리 #육아서 #뇌과학 #양육에세이 #가족의회복 #느림의힘 #관계의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