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염병 연구소 - 과학, 흑사병부터 코로나19까지 오싹오싹한 세균과 바이러스! ㅣ 세상의 모든 지식
리차드 플랫 지음, 존 켈리 그림, 최현경 옮김, 김명주 감수 / 사파리 / 2021년 7월
평점 :
《전염병 연구소: 흑사병부터 코로나19까지 오싹오싹한 세균과 바이러스!》는 아이가 스스로 궁금해하며 읽을 만한 포인트가 가득한 책이다. 알록달록한 그림 속에서 전염병의 역사와 병원체 이야기가 이어져, 처음 접하는 내용도 자연스럽게 눈에 들어온다.
책은 원생생물·세균·바이러스 같은 대표 병원체를 시작으로 흑사병, 장티푸스, 천연두, 말라리아, 코로나19까지 인류를 괴롭힌 질병을 차례로 소개한다. 단순히 이름과 증상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 퍼졌는지, 어떤 사회 변화를 남겼는지까지 이야기하듯 풀어 주어 아이가 쉽게 따라갈 수 있다. 현미경으로 본 세균과 바이러스 사진도 흥미롭지만, 벼룩·쥐·모기·체체파리 같은 ‘연구원 캐릭터’가 연구소를 안내하듯 등장하는 장치가 특히 재미있다.
읽다 보면 ‘요즘엔 간단히 치료할 수 있는 병이 옛날에는 이렇게 치명적이었구나’라는 사실이 크게 다가온다. 아이도 “이런 병이 이렇게 무서웠다고?” 하며 놀라워했다. 책 속에 실린 당시 환자들의 사진과 기록이 굉장히 강하게 인상을 남긴 것 같았다. 전염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의 모습이 너무 생생해 한동안 페이지를 넘기지 못할 정도였다. 단순히 무섭다는 감정을 넘어, 그 시대 사람들이 겪었을 공포와 절망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는 순간이었다.
천연두부터 코로나19까지 인류가 겪은 팬데믹을 돌아보며, 면역·백신·방역 관리의 중요성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었다. 두려움·궁금함·안도감처럼 익숙한 감정뿐 아니라, 전염병 시대에 나타나는 다양한 감정과 사람들의 대응 방식까지 함께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책을 읽으며 아이는 “앞으로 또 어떤 전염병이 올까?” 하며 걱정이 되는 눈치다. 덕분에 그렇다면 우리는 과연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에대 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전염병을 단순히 ‘과거의 공포’로만 남기지 않고, 지금과 미래를 함께 생각하게 만드는 힘이 있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