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메이드 떡레시피]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홈메이드 떡레시피 - 전통부터 퓨전까지 내 손으로 만드는 영양만점 떡
허지연 지음 / 넥서스BOOKS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떡 만들기가 쉽지 않다고 생각하면서 떡은 늘 사먹던 사람 중에 하나였다. 그런데 결혼을 해서 시댁에서 어머님이 직접 떡에 들어갈 재료를 구하시고 손수 떡을 만드는 모습을 직접 보고는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처음엔 집에서 어떻게 떡을 만들지?’ 하면서 의아하게 생각했지만 우리의 조부모 세대는 다들 그렇게 하지 않았겠나 싶었다. 어머님 역시 찜통에다 찹쌀을 쪄서 찧고, 콩을 삶아 으깨서 설탕, 소금을 넣고 고물을 만들다 보니 손이 많이 가기는 했지만 맛은 정말 일품이었다. 내 손으로 만든 인절미를 온 가족이 맛있게 나눠먹는 모습을 보면서 보람도 느끼게 되니 말이다. 대식구가 되어야만 떡을 집에서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던 나에게 이 책은 내 가족을 위해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떡 레시피를 소개해 주고 있다.

 

 

 

 

사실 나는 떡보다는 빵을 좋아하는 편이다. 하지만 이상하게 임신을 하고 나서는 떡도 참 많이 먹었던 것 같다. 몇 달 전엔 화전이 너무 먹고 싶어서 친정엄마에게 만드는 방법을 가르쳐 달라고 조른 적이 있다. 왠지 쉬울 것 같아서 요청했지만 찹쌀가루를 익반죽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물 조절이 잘 안되다 보니 엄청난 양의 찹쌀가루를 사용했던 기억이 있다. 이 책이 있었더라면 다량의 익반죽을 만들 필요가 없었을 텐데 말이다. 떡은 빵보다 덜 달콤하게 느껴지지만 씹는 맛이라든가 그 구수함이 빵과는 다르다. 저자도 아마 그래서 베이킹 보다 떡 만들기에 매료되지 않았나 싶다. 그러다 보니 책의 곳곳에는 퓨전형식의 떡 소개가 많다. 초코머핀을 떠올리게 하는 영양보리떡이나 커피설기, 구겔호프초코케이크, 떡 샌드위치 등은 정말 빵인지 떡인지 구분이 되지 않는다.

 

 

 

 

 

 

 

케이크도 예쁘게 보이는 것이 맛있게 보이는 법이라 떡도 장식을 만드는데 있어서 간단한 노하우를 소개해 주고 있다. 그래서인지 콩설기는 마치 케이크에 꽃이 핀 것처럼 보이고 쿠키가루가 듬뿍 들어간 아이스크림처럼 보이기도 한다. 바나나 떡은 어떤가? 보는 순간 떡이야? 바나나야? 할 정도로 신기했는데 아이의 간식으로 만들어 주어도 좋을 떡이다. 절편말이쌈, 떡 샌드위치의 경우에는 김밥을 떠올리며 도시락에 담아서 소풍을 가고 싶을 정도다. 정말 눈이 즐거운 떡들의 향연이 아닐 수 없다.

 

 

 

 

 

빵과는 다르게 여러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건강에도 신경을 많이 쓴 것 같다. 또한 색 내기용 천연재료 및 부 재료를 상세히 설명해 놓았기에 떡에 대한 지식도 쌓이는 것 같다. 생마를 이용해서 떡을 만든다는 건 생각 못했는데 그런 부분도 인상 깊었고, 아이와 함께 만들어도 좋을 떡도 소개해 주고 있어서 혼자 하는 시간이 아닌 함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어서 좋았다. 어른들이 좋아할 만한 전통 떡이나 한과를 소개한 부분은 센스 있는 아가씨라면 도전해 볼만한 아이템이 아닌가 싶다. 스페셜 파트에는 떡을 즐기는 새로운 방법이라는 주제로 음료와 수프를 소개하고 있어서 시선을 끈다. . 저자의 말처럼 솔직 담백한 우리의 떡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