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밥상]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오늘의 밥상 - 매일매일 건강한 1식 3찬
함지영 지음 / 경향미디어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식사를 차리는 주부의 고민은 대부분 비슷할 것이다. 오늘은 또 어떤 반찬을 해야 하나? 가족들이 이 요리를 맛있게 먹어줄까? 하는 고민과 기대 속에서 늘 식사를 차리게 마련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의 주제가 되는 ‘1 3은 나에게 많은 의문점을 가져다 주었다. 한끼에 반찬이 3개뿐이라고? 영양 섭취가 골고루 될까? 너무 소박한 건 아닐까? 하지만 책을 접하고 나서는 우리 식탁이 바뀌었다. 오히려 간단하고 깔끔한 반찬 덕분에 가지 수가 줄어도 행복한 식사를 하고 있다.

 

 

 

 

 

제철 음식을 요리하는 건 정말 건강에도 좋고 싱싱한 음식을 먹을 수 있어서 행복한 일이다. 그 제철 음식으로 식단을 짜되 영양소 별로 골고루 간단하게 한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 많이 배웠다. 또한 반찬은 먹을 양 만큼 조리한다라는 규칙을 지키니 냉장고도 훨씬 가벼워짐을 배웠다. 사실 이론으로는 알고 있었지만 재료들을 사면 주재료를 남기지 않으려고 거기에 양을 맞추다 보니 항상 반찬이나 다른 음식들이 남았고 그로 인해 먹지 않는 음식들이 냉장고에 쌓이면서 악순환이 계속 되었다. 물론 머리로는 정리해야지, 적게 요리해야지 하면서도 실천이 잘 안되었는데 희한하게도 이번 책을 통해서는 실천이라는 것을 배웠다. 아마 이 책의 장점이 아닐까 싶다. 거의 2~3인분이 될 정도로 요리법이 설명되어 있어서 우리 가족에겐 안성맞춤이었다. 아침, 점심, 저녁 밥상 외에 손님 맞이 밥상도 알뜰하게 해 두었는데 그것을 그대로 하기보다는 필요할 때 마다 선택해서 요리하는 재미도 있었다. 몇 달 전 부모님 생신 때 음식점에서 먹었던 버섯들깨탕을 극찬했는데 마침 그 요리법이 있어서 실제로 해보았더니 일품요리가 되어서 남편은 물론 어른들께도 대접하는 기회를 가졌다.

 

 

 

 

간식을 제외한 요리가 130가지가 넘지만 나는 여기에 있는 요리법으로 10가지 이상의 음식을 실제로 만들어 보았고 가족의 반응 또한 좋았다. 늘 먹던 멸치 볶음이나 겉절이의 경우 맛이 좀 달라졌지만 오히려 깔끔하다고 좋아했다. 아마 요리법의 정량을 지키고 나도 몰랐던 첨가물이 생기다 보니 비법을 알아낸 셈이다. 초보 주부였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서 발전한 모습의 주부가 된다는 자부심도 갖게 되고 이제는 요리법에 설탕이 많이 들어가게 되면 매실 액이나 다른 단것으로 대체하는 센스도 생겼다. 또한 요리 메뉴를 보면서 냉장고나 냉동실에 묵혀 놓았던 재료들을 사용함으로써 더불어 냉장고 청소도 하게 되었다. 두릅 고추장 무침의 경우 올 봄에 친정어머니께서 캐주신 것 냉동시켜 놓았는데 녹여서 무침을 해먹었더니 새로운 반찬을 먹을 수 있어서 유익했다. 겨울에 먹으라고 어머님이 만들어주신 유자차를 차로만 마셨지만 이번엔 유자청을 이용해 샐러드에도 이용해 먹고 조개탕을 과감히 끓여내고 더 나아가 응용해서 홍합탕까지 도전해서 성공했으니 만족스러웠다.

 

 

 

 

아쉬웠던 점은 부분 오타가 있었던 점인데 그림에는 대파가 있는데 재료준비에는 없다거나 만드는 순서에 빠진 재료가 있는 경우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별 점 5개를 주는 이유는 내가 본 요리책 중에서 가장 손쉽게 할 수 있게 간략한 설명과 새로운 양념재료가 필요치 않았다는 것이다. 늘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본 양념으로 맛있는 요리를 할 수 있음에 자신감을 부여했고 특히 우리 집의 경우엔 오븐이 없기에 오븐을 너무 많이 사용한 요리법은 부담스러웠다. 그렇기에 특별한 요리기구를 필요치 않고 소박하지만 행복한 식탁을 꾸밀 수 있어서 만족한다. 얼마 전 감기가 심하게 걸려서 북어국을 끓이는데 남편에게 요리책에 있는 대로 해달라고 했더니 아픈데도 요리법을 지키려고 한다면서 우스워하기도 했다. 이번 감기가 낫고 나면 황태구이로 영양 가득한 요리를 해볼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