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깨진 청자를 품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나, 깨진 청자를 품다 - 자유와 욕망의 갈림길, 청자 가마터 기행
이기영 지음 / 효형출판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자 가마터 기행'이라고 소개하는 이 책은 오히려 순례에 더 가까운 느낌이다. 황량한 가마터를 직접 방문하면서 천 년 전 도공들의 모습을 그려보고 사금파리 조각을 보며 청자를 되짚어 보는 과정에서 숭고하고 아름다운 우리의 정신과 열정이 느껴졌다. 가마터를 다니면서 있는 모습 그대로를 이야기한 것이 아니라 의문점과 문제점에 대한 내용들도 저자만의 냉철한 지적으로 반성하는 마음이 들게까지 했다. 저자는 왜 사금파리 한 조각에 이토록 많은 관심을 가질까 싶었다. 그의 이력이 독특했다. 외교학과 경제학 공부를 했었기에 넓은 세계를 보는 안목을 가졌으리라. 그러다 우연히 세계 도자기 엑스포 관련 연구, 자문을 행하면서 인연을 맺은 것이다. 더군다나 그는 우리 민화를 도자기에 그려 넣음으로써 문화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으며 현재 도자, 그릇과 관련된 일에 직함을 갖고 있다. 다른 일을 할 수도 있었을 운명이었을 텐데 도자기와 인연을 맺음으로서 인생의 방향전환을 시킨 인물이 아닐까 하며 그가 연구하고 있는 일에 마음으로 응원을 보내본다.

 

 



 

그는 여러 가마터를 다니면서 많은 문제점을 되짚어 보았다. 초창기 가마터에는 분명히 문제점이 많았을 것이다. 도기가 부풀어 터지거나 쌓은 모양으로 인해 받침자국이 남고 실패도 많이 했을 것이다. 온도에 따른 도기 변형과 유약 발림 등으로 많은 도공들이 고민을 했을 것이라는 추측을 해가면서 가마터에 대한 궁금증을 많이 해결해 주었다. 그 중에서 어떤 내용들은 마치 탐정이 사건을 수사하듯이 긴박하고 짜릿한 느낌을 갖게 하는 것도 있었다. 해남 가마터에서 나온 실수투성이의 도편들을 보면서 이는 그만큼 청자의 대중화에 한 걸음 다가가는 노력이 아니었을까 하는 추측은 내겐 놀라운 내용이었다. 청자가 대중화 되었다는 이야기는 금시초문이었기에 책을 통해 많은 것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얻었다. 또한 도편 조각을 보며 같은 가마터에서 나온 것이라 추측하고 확신하는 내용은 나조차도 맞장구치게 만드는 묘미도 있었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장보고에 대한 내용은 나에게 새로운 역사를 알게 해주었다. 청해진에서 해적을 소탕한 인물로 알고만 있었지 해상무역을 하는 사업가였다니 또 다른 모습을 보는 듯 했다. 청해진은 장보고만의 무릉도원이 아니었을까 하는 상상을 해보는데 너무나 가슴 뛰는 내용이었다. 중국의 청자를 국내에서 제작하려는 그의 노력은 빛을 발하지 못했지만 누구보다 애를 쓰며 우리나라 고유의 것을 만들어 보려는 마음 씀이 참 훌륭했던 것 같다. 그는 뛰어난 경제인이었으나 정치인은 아니었기에 결국 부하에게 살해당하고 청해진의 꿈은 무산되었음이 참 아쉬웠다. 청자와 정치적 관계를 추측하는 내용은 상당히 신빙성이 있으며 어쩌면 대중화를 꿈꾸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는 기대를 해보게 했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점차 책을 읽어나가면서 청자의 모습을 갖추어가는 도편을 보면서 나도 모르게 책에 동화되어갔다. 시대별로 생활상을 상상하며 현재의 자신의 모습과 조우되는 모습은 참 인상 깊었다. 또한 진안 가마터에서 만난 할머니와의 대화를 연극 대본 쓰듯이 써내려 간 것도 재미를 안겨주었다. 할머니와의 빅딜 담판으로 얻게 된 청자는 금전적 가치보다 보람과 진심어린 마음의 보상이 아닐까 싶다. 아직 가보지 못한 황해도 가마터에 대한 이야기에서는 그리움도 느낄 수 있었고 가마터가 있던 곳이 지금은 집터, 담벼락, 저수지 심지어 공동묘지, 골프장으로 바뀌어 버린 모습에서 무관심한 우리의 대응에 참으로 반성을 많이 했다. 도편 조각 하나가 무슨 대수냐 싶지만 무분별한 대응과 관리에 대한 질책은 우리나라 국민으로써 숙연하게 만들기까지 했다. 청자는 우리 역사의' 블랙박스'라는 말에 감탄하며 최근의 나는 책을 통해 우리의 것을 알아가고 소중함을 느끼는 일에 대해서 보람을 느낀다. 부제목에 '자유와 욕망의 갈림길'이란 글이 있다. 도공과 호걸들의 자유와 욕망이 아니라 저자 자신의 이야기가 아닐까 한다. 하고자 했던 일과 돈에 대한 욕망, 그리고 그것을 버리고 떠나는 자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