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든 하다 보면 뭐가 되긴 해 - 루마니아의 소설가가 된 히키코모리
사이토 뎃초 지음, 이소담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인 최초의 루마니아어 소설가' 라는 독특하고 놀라운 이력의 저자는 사실 은둔형 외톨이, 일명 히키코모리 였다고 한다. 심지어 난치병인 크론병도 앓고 있다는 데, 책에는 그의 놀라운 이력이 만들어진 사연이 담겨있다.
정말 궁금하다. 그 일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었는 지.

2015년, 그의 히키코모리 생활이 시작되었다.
돈, 직업, 친구도 없이 집에만 있으니 시간 감각도 지각자체도 무너지던 때, 그의 마음을 달래준 것이 영화였다고 한다.
모든 영화의기록을 남기고 영화비평도 쓰다가 우연히 인생을 송두리째 바꾼 루마니아 영화 <경찰, 형용사>를 만난다. 이 영화는 루마니아어 자체가 주제인지라 그는 더욱 지적 호기심이 발동해 루마니아어 공부를 시작하게 된다.

사실, 그는 이미 언어오타쿠 였던지라 스페인어와 이탈리아어 경험이 좀 있었다. 그런데 루마니아어에 대해서는 아는 사람들이 거의 없어서 학습이 쉽지 않다.
루마니아어를 일본에서 일본어로 공부하는 것은 그야말로 가시밭길이었다. 자신이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인지도 알 수 없었다. 그럼에도 페이스북에서 루마니아인 4천명 가량에게 친구신청까지 한다.

그후로도 이어지는 그의 좌충우돌 루마니아어 학습기는 재밌고 신기할 정도다.
히키코모리라면 모든 일에 의욕이 없을 것 같았는 데, 어디서 저런 에너지가 나오나 싶을 정도로 루마니아어 학습에 적극적이다.

그의 노력으로 루마니아인 랄루카, 미하일, 키라와 친분이 생기며 그들의 도움으로 루마니아어 언어에 좀 더 다가가고, 90대의 일본인 루마니아 번역가에게도 도움을 받는다.
역시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는 말은 맞나보다. 이런 오타쿠 기질의 히키코모리는 많을 수록 사회가 더 전문적이어지 겠다는 생각마저 들 정도이다.

사실, 우리나라 사람에게도 루마니아는 익숙하지 않은 나라이다. 그러니 나 역시 언어도, 영화도, 문학도 전혀 모른다. 아마 일본도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일본인이 이렇게까지 몰입할 정도라면 루마니아는 분명 매력이 넘치는 나라일 거라는 생각은 든다. 책에는 루마니아 영화와 플레이 리스트까지 소개되어 있는 데, 나도 기회가 된다면 꼭 접해보고 매력을 알아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