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과 발견의 과학사 - 우연과 행운, 위기와 집념이 빚어낸 과학사의 순간들 한 컷 교양 과학 시리즈 2
최성우 지음 / 지노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기나긴 시간, 무수히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과 호기심으로 인한 발명과 발견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역사에는 우연과 행운도 있고, 위대함과 천재성의 비결도 있으며, 과학기술의 온고지신도 있다. 어느 쪽이든 무엇 하나 허투루 대하지 않은 마음들이 모여있다.

푸른 곰팡이에서 나온 플레밍의 페니실린과 에테르, 클로로폼 같은 마취제의 개발은 인류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키고 많은 사람들을 고통에서 구원했다. 라에네크는 통나무 소리를 듣고 오늘날의 청진기 원리를 발견했으며, 시체를 훔치러 다니던 해부학자 베살리우스가 있어 의학은 더욱 발달했다.

이공계 분야에서는 뉴턴의 1666년과 아인슈타인의 1905년을 기적의 해라고 부른다. 그만큼 두 사람은 물리학을 넘어 과학사 전체를 흔드는 일을 해냈다.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 미적분법의 발견, 광학의 체계화가 1666년에 태동하거나 이루어졌다.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이론, 광량자설, 브라운 운동의 해석은 1905년에 이룩했다.
하나의 이론만으로도 과학혁명일진데 한해 동안 그 일을 모두 해낸 그들은 가히 천재이자 노력파들이다.
물리학에서는 리처드 파인만이 20세기 이후 아인슈타인 다음으로 뛰어난 인물로 불릴 만큼 팔방미인이다. 나노과학기술, 양자컴퓨터 등 21세기 첨단과학기술 탄생에 큰 기여를 했다.

산업혁명 이후, 현대 과학기술은 니콜라 테슬라와 토머스 에디슨의 세기의 라이벌 대결로 보인다.
테슬라는 당시 온갖 무리수를 두면서도 직류송전방식을 고집한 에디슨 진영을 제치고 오늘날의 교류송전방식 확립에 공헌했다. 이들이 없었으면 지금의 밝은 세상은 없었을 것이다.

현대는 it기술이 대세지만, 여기도 성공과 실패의 사례는 극명하게 갈린다.
ISDN이라는 종합통신망이 1980년 발표되며 기대를 모았지만 인터넷 대중화시대에는 ADSL에 밀리며 사라졌다. 기술시장은 영원한 패자도 승자도 없다. 신 기술이 언제든 대체되기 때문이다.

사례들은 길지않고 설명도 쉬워서 과학의 문외한이라도 수월하게 읽고 이해하기 좋았다.
그러나 모든 과학사의 혁명에 쉽게 이루어진 것은 없다. 과학자들의 피땀어린 노력과 시간들이 하나하나 누적되어 쌓여 왔으며, 현대의 우리는 그 수혜를 누리고 있다.
지금 이 시간에도 자신의 분야에서 열정을 꽃피우는 수많은 과학자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