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바라볼 것인가 - 천재들을 이끈 오펜하이머 리더십
박종규 지음 / 터닝페이지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아는 오펜하이머는 위대한 과학자이자 물리학자이다. 그러나 이 책은 그의 리더쉽에 관한 책이다.
로스앨러모스 연구소의 맨해튼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오펜하이머는 당시에 전세계 천재과학자들을 리드하여 최대한 빨리 핵폭탄을 개발해야 하는 임무가 있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해야 하는 일, 그것도 각자 개성이 넘치는 당대 최고 천재들을 하나로 뭉치게 해야했다.
오펜하이머는 결국 그 일을 해냈고 역사를 바꾸었다.

그는 어떻게 그 일을 성공할 수 있었을까?
그의 리더쉽과 관련한 몇 가지를 들자면
그는 그들에게 단순히 원자폭탄 개발이 아닌 지금까지 인류에게 불가능했던 것을 창조하는 기회이자 도약이라는 비전을 주었다. 구성원들의 뜻을 하나로 모이게 만드는 것은 리더의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다음으로는 전문성이다. 양자물리학과 핵물리학 분야에 대한 그의 능력치는 모두의 존경을 받을 만 했으므로 당대 최고의 과학자들도 그의 의견을 믿고 따랐다. 그는 물리학 이외에도 철학, 인문학.예술 등 다방면에 관심이 많았는데 당시에 그의 눈빛. 정신. 언어의 카리스마는 연구원들을 압도했다고 한다.
또한 누구보다 인재영입에 적극적이었다. 그 스스로 "비양심적인 리크루팅"이라고 할 만큼 다른 프로젝트에서 인재들을 빼오기 까지 했다. 그는 인재들의 대인관계능력과 협력의지도 살펴봤다. 또한 그는 연구원들의 여성가족들 중에서도 인재를 찾아 연구소에 고용했다.

처음 그가 로스앨러모스 연구소장이 되었을 때만 해도 주변에서는 그가 리더에 적합하지 않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는 리더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자신을 바꿔 나갔다. 사실 모두가 날 때부터 리더인 것은 아니다.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고 리더에 맞게 발전시키는 것이다.
실제로 그는 대학시절. 지도교수 블래킷을 죽이고 싶어할 만큼 질투하여 정신과 치료까지 받게 된다. 때로는 자존감 부족으로 괴로워하기도 하고, 때로는 타인들이 자신처럼 천재가 아니라는 것에 오만함을 보이기도 한다. 그도 그저 한 인간이었다.
또한, 핵폭탄 개발에 열의를 보인 때와 달리 이후에 핵폭탄 반대에 앞장서서 모순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반대할 수 있었다는 것은 본인만의 생각이 투철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스로에게 자신이 없는 사람이 자기 잘못을 인정할 수는 없을 테니까 말이다.

영화 오펜하이머는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라는 책을 원작으로 한다. 프로메테우스가 신들에게 불을 훔쳐 인간에 준 죄로 고통스러운 형벌을 받는 것처럼 오펜하이머는 인류평화를 위해 앞장 선 핵무기 개발로 인해 평생 죄책감에 시달리게 된다. 메카시즘이 몰아치던 당시의 정계는 강제로 오펜하이머를 핵 관련 일에 배제시키고 토사구팽하지만 역사는 그가 죽은 지 55년후 그가 옳았다고 판단하여 복권시킨다. 그는 자신의 위치에서 핵을 개발할 때나 반대할 때도 신념에 맞게 최선을 다했다.

이 책은 오펜하이머의 일생을 바탕으로 성공한 리더쉽이 무엇인지 이야기한다. 주의깊게 볼 점은 오펜하이머를 완벽한 리더로 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의 장점과 단점을 모두 이야기 한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천재 과학자와 나를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영광이다. 그리고 내가 그보다 나은 점도 있다고 느낀다.
세상에 완벽한 인간은 없다. 그러나 리더가 되기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좋은 리더였던 사람에게서 장점을 배우고 단점을 고치며 노력해야 하기에 오펜하이머를 읽는 시간이 즐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