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도 힘든 외설을 판단하는 일, 그래서 그럴싸하게 보이는 판단을 기계가 하기 시작했다.

유튜브에서 가장 명확한 신호는 이용자가 이전에 시청한 영상이지만 다른 요소들도 중요하게 작용했다(그 영상을 하루 중 언제, 어느 국가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시청했는가). 많은 영상을 볼수록 신호 또한 많아졌다. 유튜브의 알고리즘이 개선되는 것이다. 초기에는 알고리즘이 복숭아와 엉덩이를 가려낼 수가 없어 사람이 직접 판단해야 했지만, 이제는 피부를 감지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해 음란한 영상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관련 영상이 더 많은 클릭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새로운 홈페이지가 세상에 등장할 준비를 마친 듯 보였다. - P1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