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 중 한 명은 중독인 시대를 살고 있다.
나의 ‘입문용 마약‘은 무엇이었을까


(게임에 빠진 남학생들의)컴퓨터 옆에 놓인 (소변용) 깡통은 중독의 의미가 달라지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197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중독이란 용어는 대체로강박적인 마약 복용을 지칭했지만, 이후 40년에 걸쳐 개념이 확장되었다. 회고록 저자들은 자신이 도박, 섹스, 쇼핑, 탄수화물 중독이라고 고백했다. 독일의 성 치료사들은 인터넷 포르노를 젊은이들을 중독의 함정으로 끌어들이는 ‘입문용 마약 gateway drug‘이라 불렀다. 〈뉴욕 타임스New York Times>는 한 사설에서 설탕이 ‘마약과 똑같은 방식으로‘ 중독성이 있다고 선언했다. 뉴질랜드의 한 젊은 엄마는 날마다 코카콜라를 10리터씩 마시다가 이가 다 빠지고 관상동맥질환으로 사망하여 언론에 대서특필되었고, 장쑤성에 사는 19세 학생은 무단결석을 일삼다가 인터넷 중독을 치료하기 위해 자기 왼손을 잘라버려 화제가 되었다. 중국 관리들은 청소년의 무려 14퍼센트가 비슷한 중독 상태라고 판단해 인터넷 중독 재활 캠프를 열었다. 한국과 일본도 이런 선례를 따랐다. 대만 국회의원들은 인터넷에 중독된 자녀를 방치하는 부모들에게 벌금형을 내리는 데 찬성하여, 미성년자의 흡연, 음주, 마약 복용, 베텔* 씹기를 금지하는 법을 개정했다. 베텔 씹기 외에 모든 중독 증상이 나타나는 미국의 경우, 2000년대 초 에 이미 미국인의 47퍼센트가 적어도 한 가지 행동이나 물질에 중독 장애를 보였다. - 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